사용자:Hearpade/번역장

표제어 번역 문제로 못한 문서들을 올립니다. 영어판에 없고 제가 작성하는 것도 표제어를 정확하게 번역하지 못한 것은 올립니다.

biggest little polygon

편집

n각형에서 위는 다각형의 지름 (가장 긴 대각선이나 변의 길이)이 단위길이 일때 넓이가 최대인 다각형으로 정의된다. 정다각형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항상 그런것은 아니다.

일반적인 경우

편집

라인하르트는, 1922년 홀수각형에서는, 정다각형이 위의 도형이 됨을 보였다.[1] n=4에서는 정사각형을 비롯하여, 두 대각선이 직교하고, 길이가 1이며, 한변의 길이가 1보다 크지 않은 사각형들이 된다. n=6이상인 경우는 미해결이었으나, n=6인 경우는 그레이엄이 1975년에, n=8인경우는 오데트가 이 도형이 무엇인지 밝혀냈다.

인용

편집
  1. Reinhardt, K. "Extremale Polygone gegebenen Durchmessers." Jahresber. Deutsch. Math. Verein 31, 251-270, 1922.

gramhams biggest little hexagon

편집

m,n,k-game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