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LR0725/글자수세기

암세포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는데, 본래 기원한 세포의 종류에 따라서 구분할 수 있다. 암세포는 현미경으로 보았을 때 정상 세포와 구별되는 독특한 조직학적 특징을 보인다. 암세포의 세포핵은 크고 불규칙한 모양을 가지는 경우가 많으며, 세포질 역시 비정상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또한 세포 사이의 다형성이 커지며, 정상 세포에서 나타나지 않는 양상의 유사분열이 관찰되거나, 세포들의 규칙적인 배열이 소실되기도 한다. 세포핵[원본 편집] 악성 암세포에서는 세포핵의 모양, 크기, 단백질 조성, 질감 등이 종종 변화한다. 세포핵은 모양이 불규칙해지거나, 염색질이 과다해지고, 핵소체가 커지기도 한다. 정상 세포의 경우 세포핵은 동그란 모양을 가지는 경우가 많지만 암세포 세포핵의 윤곽은 불규칙해지기도 한다. 암의 종류에 따라 세포핵에 특이한 모습이 나타나, 진단과 병기 결정에 유용하게 쓰이기도 한다. 핵이 커지면서 핵/세포질 (N/C) 비율이 증가하며, 세포핵 간의 모양과 크기의 차이가 심해진다. 세포 분열을 조절하는 유전자가 손상을 입었을 때 암세포가 발생할 수 있다. 발암 과정은 정상 세포를 구성하는 유전자의 돌연변이와 후생변이로 인해, 세포의 증식과 사멸 간 균형이 깨지고 세포 분열이 조절되지 못하면서 일어난다. 증식이 조절되지 않으며 (종종) 급속히 일어나면 양성 내지는 악성 종양이 발생한다. 양성 종양은 신체 다른 부분으로 전이하거나 다른 조직을 침습하지 않는다. 악성 종양은 다른 장기를 침범하고, 멀리 위치한 장기로도 전이하며 생명을 위협하기도 한다. 발암에는 하나 이상의 유전자 돌연변이가 필수적이다. 대개 정상 세포가 암세포로 변화하기 위해서는 여러 유전자가 일련의 돌연변이를 거쳐야 한다. 방사선, 화학물질, 그 외 환경적 요인에 노출되면서 DNA에 손상이 가해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런 외부적 요인 없이도, DNA 전사 과정의 교정되지 않은 오류가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적으로 축적될 수 있다. 따라서 연령은 그 자체로 위험 인자가 된다. 암을 일으키는 종양바이러스도 특정 암을 유발할 수 있다. 인유두종 바이러스, B형 간염 바이러스, C형 간염 바이러스,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거대세포 바이러스, 카포스 육종 연관 헤르페스 바이러스 등이 암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진 바이러스이다. 선천적으로 물려받은 유전자 역시 발암 과정에 관여한다. 사람의 암을 옛날부터 인식하고 있었다는 근거는 고대 이집트의 에베르스 파피루스(기원전 1538년)와 미라 유해를 통해 알 수 있다. 2016년, 170만 년 전 발생했던 골육종 사례가 보고되어 문서화된 가장 오래된 호미닌의 악성 암이라는 타이틀을 얻었다. 암의 이해는 르네상스 시대 해부학의 발전과 대항해 시대를 거치면서 급속히 발전했다. 독일의 생물학자이자 정치인이었던 루돌프 피르호는 미세병리학을 연구하였는데, 현미경을 통한 관찰을 질병과 연관지어 설명하였다. 이 덕에 피르호는 "세포병리학의 선구자"라고도 불린다. 1845년, 피르호와 존 휴스 베넷은 각각 독립적으로 환자 백혈구 수의 비정상적인 상승을 관찰하였다. 피르호는 이를 혈액 질환으로 보고 leukämie 라는 이름을 1847년 붙였다. 이는 현재 백혈병의 영어 표기인 leukemia로 바뀌었다. 1857년, 피르호는 머리뼈바닥의 비스듬틀(사대, clivus)에서 기원한 척삭종을 처음 기술하기도 하였다. 담배와 알코올을 끊으면 두경부암 발생 위험을 낮출 수 있다. 인유두종 바이러스 백신은 첫 성적 활동 이전에 투여 받았을 때 구강암의 평생위험도를 줄일 수 있다고 생각되나, 2060년 정도가 되기 전까지 확정적인 결론은 나오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는 구인두암이 50대에서 70대 정도에 보통 발생하며, 백신이 비교적 최근 개발되었기 때문이다. 일반 인구를 대상으로 한 선별검사는 유용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되나, 인후 검사를 통해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시행하는 선별검사는 유용할 수 있다. 두경부암은 일찍 진단하면 치료가 가능한 경우가 많지만, 진단이 늦어질수록 예후는 나빠진다. 수술, 방사선치료, 화학요법, 표적치료 등 여러 방식을 병용하여 치료한다. 두경부암의 이전 병력이 있는 사람은 이차성 두경부암 발생이나 재발 위험이 더 높다. 국제적으로 두경부암은 매년 평균 650,000명이 발생, 330,000명이 사망한다. 2018년 기준 전 세계에서 7번째로 흔한 암이었으며, 기록상 890,000명이 새로 두경부암에 걸렸고 450,000명은 두경부암으로 인해 사망하였다. 미국의 경우 연간 평균 약 53,000명의 새로운 환자가 발생하여 전체 암 발병 사례의 대략 3%를, 암 사망 사례에서는 1.5% 정도를 차지한다. 전 세계에서는 2017년 기준으로 (비흑색종 피부암 제외) 두경부암이 전체 암의 5.3%를 차지한다. 주목할 만한 점은 만성 알코올 섭취와 흡연으로 인해 발생한 두경부암은 꾸준히 감소하고 있는데, 이는 만성 흡연 인구가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인유두종 바이러스 관련 구인두암은 증가하고 있는데, 특히 서구권 국가의 젊은층을 중심으로 늘고 있다. 이는 구강 성교 파트너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것과 연관된 것으로 추정된다. 1970년대를 기점으로 구인두암의 발병은 증가하였고 특히 부유한 국가와 남성 인구가 가장 큰 영향을 받았다. 남성 인구가 영향을 많이 받은 이유는 여성이 감염에 대한 면역 반응이 더 잘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인유두종 바이러스가 여성에서 남성으로 전파될 확률이 남성에서 여성으로 전파될 확률보다 높았기 때문이다. 미분화 다형성 육종(undifferentiated pleomorphic sarcoma, UPS), 또는 다형성 근섬유육종(pleomorphic myofibrosarcoma), 고등급 근섬유모세포육종(high-grade myofibroblastic sarcoma) 고등급 근섬유육종(high-grade myofibrosarcoma),은 2020년 세계보건기구(WHO)가 정의한 희귀 육종으로, 분화도가 나쁜 신생물이다. 종류나 기원이 명확하지 않은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한다. WHO는 다형성 미분화 육종을 "불확실한 분화도의 종양"(tumors of uncertain differentiation) 카테고리 안의 미분화/미분류 육종으로 분류했다. 육종은 일반적으로 뼈, 근육, 지방, 혈관, 림프관, 힘줄, 인대 등으로 발달해야 할 중간엽 줄기세포에서 유래한다고 알려진, 혹은 그럴 것으로 생각되는 암이다. 육종의 아형은 70가지 넘게 기술되어 있다. UPS 아형의 육종은 분화도가 나빠 방추형 세포, 조직구, 거대세포 등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는 종양 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UPS는 철저한 조직학적, 면역조직화학적, 초미세구조적 검사로 관련 세포의 종류를 확인하지 못한 뒤, 어떠한 하위 분류에도 암이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만 진단을 고려한다. 초기에 UPS의 진단은 악성 섬유성 조직구종(malignant fibrous histiocytomas, MFH)을 포함하였다. MFH는 현재 육종양 암종이나 흑색종과 같은 다양한 육종을 모아놓은 쓰레기통 분류(wastebasket category)로 여겨진다. 여러 연구에서는 MFH 종양이 조직구(혈액 내 단핵구에서 기원한 세포)에서 유래하지 않고, 중간엽세포에서 유래한다고 강력히 주장한다. 또한 UPS는 저등급 근섬유모세포육종과 중등급 근섬유모세포육종의 보다 공격적이고 전이가 자주 발생하는 형태라고 간주되어 왔다. WHO는 저등급와 중등급 근섬유모세포육종을 하나의 질환으로 통합하여, UPS와는 꽤 구분되는 질환인 중등급(전이가 드묾) 섬유모세포 및 근섬유모세포 종양(fibroblastic and myofibroblastic tumors) 중 하나로 분류하였다. 발생률이 낮으며 예전에는 현재 다른 종류의 육종으로 분류하는 암과 묶여서 분류되었기 때문에, UPS의 임상 양상, 적절한 치료, 예후에 관한 과거 연구는 이후의 연구를 통해 개정될 수 있다. UPS 종양 다수는 극히 공격적이며, 수술을 통한 제거 이후에도 종종 재발하며, 전이하는 경우도 잦다. 수술, 방사선치료, 화학요법 등을 적절히 조합하여 치료한다. 보다 최근에는 UPS 종양을 항체 치료를 통해 치료하기도 하였다. 즉, 림프구의 일종인 T세포 표면에 있는 특정 항원에 결합하는 항체를 이용하여, T세포의 능력을 증강시켜 UPS 종양 세포를 공격하도록 하는 것이다. UPS는 50세에서 70세 사이의 사람들에서 흔히 깊은 위치의, 급속히 자라는, 통증이 없는 덩어리 형태로 발생한다. 이런 덩어리는 드물게 얕은 쪽에도 존재하며 소아 인구에서도 드물게 발생한다. 환자 266명을 대상으로 한 후향적 연구에서 UPS 종양은 가장 큰 쪽의 직경이 1~55 cm까지 다양했다. 평균값은 8.8cm였으며, 0~1, 5~9, ≥10 cm인 환자군이 각각 25%, 38%, 38%였다. UPS 진단을 받은 205명의 환자(중앙 연령 59세)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종양의 위치는 팔다리(47.3%), 복부 또는 골반(26.8%), 흉부(17.6%), 두경부(8.3%) 순서였다. 드물게는 후복막공간, 간, 폐의 흉막, 심장, 소장에 발생한 사례도 보고된 바 있다. 후향적 연구에서, 원격 전이는 초기 진단 당시를 기준으로 266명의 환자 중 6.4%에서 발생하였다. 전반적으로, 전이는 UPS 환자의 40%에서 발생하였거나, 진단 이후 발생한다. 전이하는 장소는 폐(40%에서 55%)가 가장 많았으며, 그 외에는 보다 드물지만 원발 종양 근처의 림프절, 뇌, 췌장, 심장 등 다른 부위가 보고되기도 하였다. UPS의 조직병리 소견은 비특이적이므로 진단은 배제진단, 즉 가능한 질환을 하나씩 제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UPS 종양 세포는 현미경으로 관찰했을 때 미분화, 즉 어또한 특정 종류의 세포도 닮지 않았으며 크기, 모양, 색 등이 세포마다 크게 다른 다형성이다. 따라서 UPS 진단은 흔히 UPS 종양 세포가 발현하는 특이적인 단백질들을 검출하여 실시한다. UPS 환자 52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종양 세포의 세포막에 PD-L1 단백질이 국소적(전체의 36.5%) 또는 강하게(전체의 9.62%) 발현되어 있었다. 또한 전체의 48.1%에서는 IDO1 단백질도 발현하고 있었다. PD-L1을 강하게 발현하는 종양 세포는 CMTM6 단백질도 발현하고 있었다. 질병 경과에 있어서 강한 PD‑L1 발현은 나쁜 예후 인자로, IDO-1 발현은 좋은 예후 인자로 알려져 있다. CMTM6 단백질을 강하게 발현하는 종양 세포를 가진 환자 역시 예후가 나빴다. CMTM6 발현 증가는 CMTM6을 암호화하는 유전자인 CMTM6 유전자의 수가 증가하는 돌연변이와 관련되어 나타났다. 8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후속 연구에서, 72.8%의 환자가 종양 세포에서 PD-L1을 발현하였다. 그중 53%는 약하게, 35%는 중간 정도, 12%는 강하게 PD-L1을 발현하였다. 또한 73명의 UPS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39명은 AMPD2 면역반응성을 보이지 않았고 23명은 약하게, 10명은 중간 정도, 11명은 강하게 활성을 보였다. AMPD2 단백질 면역반응성 획득은 AMPD2 유전자의 복제수 획득과 연관되어 있었다. AMPD2 농도가 높은 환자는 그렇지 않은 환자에 비해 예후가 나빴는데, 5년 생존율이 AMPD2 양성 환자는 38%, 음성 환자는 59%였다. 일부 혹은 단독 UPS 사례에서 발견된 이상으로는 1) 세포 증식과 사멸을 조절하는 세포내 신호 경로인 히포 신호전달경로 증폭. 이러한 증폭은 히포 신호전달경로상에서 VGLL3 유전자가 생산하는 VGLL3 (vestigial-like family member 3) 단백질과, YAP1 유전자가 생산하는 YAP1(yes-associated protein 1) 단백질의 과발현을 일으킨다. 2) 활성화되었을 때 다양한 암세포의 성장과 생존을 촉진하는 것으로 밝혀져 있는 노치 신호전달경로의 비정상적인 활성화. 3) 다양한 암의 종양 세포에서 상승하는 DKK1(Dickkopf-related protein 1)의 과발현 등이 보고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