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Leeeunsuk/연습장1

한국의 다문화 가정

편집

한국의 다문화 가정한국문화에 대한 배경이 없는 사람들로 구성된 가정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시간이 지날수록 한국 사회에서 다문화 가정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다문화 가정의 아이들의 수도 같이 증가했다. 다문화 가정의 아이들이 직면한 문제들에 대응하기 위해 새로운 정책들이 만들어졌다.

정의

편집

한국의 다문화 가정을 지원하기 위해 고안된 정책은 한국 국적을 취득한 사람들이 있는 가정을 대상으로 한다.

다문화 가정의 아이들은 한국인의 배우자와 문화적 배경이 다른 외국인 거주자 사이에서 태어난 자녀로 정의된다.[1]

아이들의 분류

편집

국제결혼이민자의 자녀

편집

첫째, 국제결혼 이민자들의 자녀들이 있다. 부모 중 한 명은 한국 국적을 가지고 있고 다른 한 명은 외국 국적을 가지고 있는 아이들이다. 둘째, 외국인 노동자 가족의 자녀들이 있다. 셋째, 탈북자 가족의 자녀들은 탈북자로 '새터민'으로 불렀다.[2]

이민 청소년

편집

이민 청소년은 부모가 한국인과 재혼하거나 국제결혼 가정의 자녀가 청소년기에 부모 중 한 나라에서 성장한 뒤 한국에 오는 청소년을 말한다.

한국의 혼혈아

편집

한국에서 혼혈아가 된다는 것은 삶이 소수자로 시작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통적으로 한국은 단일 민족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인종을 혼합하는 것은 전통적으로 지지받아 온 것이 아니다.  하지만, 다른 나라의 여성들과 한국 남성들 사이의 결혼의 수 때문에 혼혈아들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현재 상황

편집

2015년 다문화가정 자녀 수는 207,693명입니다. 6세 미만 자녀는 110,000명으로 60%를 차지한다. 초·중·고 교육을 받아야 하는 학령기 청소년은 매년 7,000~10,000명씩 증가하고 있으며, 유아기에도 마찬가지다.[3]

법적 측면

편집

다문화가족지원법은 2008년 제정되어 다문화가족 기본계획을 수립하였다. 2016년에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생애주기 조정을 위한 조치가 취해졌다.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측면

편집

사회적 측면

편집

현황: 2015년 초중고 다문화가정 학생수는 83,000명이다. 다문화가정 학생은 전체 학생의 약 1.4%이다. 다문화가정 학생은 2015년 기준 초등학생이 약 73%, 중학생이 약 16.8%, 고등학생이 10.2%이다.[4]

 
다문화 가정의 학생 수
 
다문화 가정 학생과 학생의 학교 출석률

지원정책: 한국 중앙정부의 다문화교육 복지 정책은 공교육 내부에 위치하는 다문화교육 정책과 공교육 외부에 위치하는 다문화교육 정책으로 나누어진다.[5]

경제적 측면

편집

현황: 15세 이상 다문화가정 자녀의 취업률은 2015년 27.1%로 전체 아동 38,052명 중 10,329명만이 취업한 셈이다. [6]

지원정책 : 다문화가정아동지원센터 중 무지개청소년센터에서 다문화가정 자녀의 직업교육 프로그램인 '내일을 잡(job)아라'로 운영하고 있다.[7]

문화적 측면

편집

현황: 일반적으로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은 자신의 정체성 에 대해 혼란스러워 한다.[8]

지원정책 : 한국에서는 지자체별로 다문화가정 자녀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지원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청주시 다문화

가족지원센터에서는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함양군 다문화가족지원센터는 다문화가정 자녀를 대상으로 한 '다문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9]


참조

편집
  1. 박솔지(Park Solji)(2010.2).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아존중감과 학습동기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The Influence of Multi Cultural Family Children’s Self Esteem and Learning Motivation on School Life Adjustment
  2. 박현숙 ( Hyun Sook Park ),김광웅 ( Kwang Woong Kim ), "다문화가정 자녀 연구 동향= Research Trends Regarding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한국놀이치료학회지(Korea play psychotherapy journal)(놀이치료연구=Play psychotherapy study)/15(4), 2012., 459-485, 한국놀이치료학회(Korea play psychotherapy academy)
  3. “[취재후] 다문화 자녀 20만 명, 제도는 바뀌었지만…”. 2023년 4월 1일에 확인함. 
  4. 2016 청소년 통계(2016 teenager statistic)
  5. 공경윤(공경윤)(2014). 다문화가정 자녀의 교육 이후 지원에 관한 연구=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교육복지정책에 관한 연구
  6. “KOSIS”. 《만 15세 이상 다문화 가족 자녀 취업시기 2015(다문화가정 자녀 취업현황 통계자료 2015)》. 2023년 4월 1일에 확인함. 
  7. “무지개청소년센터, 내-일을 잡아라’ 직업훈련 실시”. 2023년 4월 1일에 확인함. 
  8. 김현희(Kim Hyeonhui). 다문화복지 ∙ 청소년의 실태와 과제= 아동·청소년을 위한 다문화복지의 실태와 과제 청소년지도보호연구11(청소년보호지도연구) (2007): 75-92.
  9. 초점뉴스(Focus News), 남광균 기자(남광균 기자), 함양군, 다문화가정 자녀의 성장을 돕는 '다(多)재다능' 프로그램(함양군, 다목적 프로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