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Ministerialmeet/연습장

OECD에서 개최하는 기존의 과학기술 장관회의에 세계과학기술포럼, ASEAN+3 장관급 포럼, 대한민국 과학발전 대토론회, OECD 과학기술정책위원회(CSTP) 총회와 연계행사를 추가 구성하여 세계 최대 규모의 과학기술분야 회의로 확대 개최


공식명칭

편집

국문: 2015 세계과학정상회의

영문: OECD Ministerial Meeting Daejeon 2015, World Science & Technology Forum

일시 및 장소

편집

일시: 2015.10.19(월)-23(금), 5일 간

장소: 대전 컨벤션 센터(DCC) 등 대전시 일대

주제

편집

국문: 과학기술혁신을 통한 글로벌 미래 창조

영문: Creating our Common Future through Science, Technology and Innovation

예상 참가자 규모

편집

66개국 OECD 및 ASEAN 회원국 장·차관, 국제기구 수장 및 노벨상 수상자, 글로벌 CEO, 세계적인 석학 등 약 3,000여명

OECD 회원국 (34개국)

편집

대한민국, 호주, 프랑스, 오스트리아, 벨기에, 캐나다, 체코, 덴마크, 핀란드, 독일, 그리스, 일본, 룩셈부르크, 아일랜드, 헝가리, 아이슬란드, 포르투갈, 슬로바키아, 노르웨이, 멕시코, 에스토니아, 터키, 폴란드, 스페인, 스웨덴, 뉴질랜드, 슬로베니아, 네덜란드, 영국, 미국, 칠레, 스위스, 이스라엘

OECD 협력국 (11개국)

편집

아르헨티나, 브라질, 중국, 리투아니아, 인도네시아, 라트비아, 코스타리카, 이집트, 콜롬비아, 인도, 남아프리카공화국

ASEAN 회원국 (9개국)

편집

필리핀, 브루나이, 캄보디아,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미얀마, 태국, 라오스, 베트남

※ ASEAN 회원국에서 인도네시아는 OECD 협력국

국제기구 (12개)

편집

•ASEAN: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EC : European Commission

•WB : World Bank

•IDB : Inter-American Development Bank

•UNCTAD :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Trade and Development

•UNESCO :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UNESCAP: United Nations Economic and Social Commission for Asia and Pacific

•ICSU : International Council for Science

•TUAC : Trade Union Advisory Committee to the OECD

•BIAC : Business & Industry Advisory Committee to the OECD

•Council of Europe

•ECLAC : Economic Commission for Latin America and the Caribbean

주요 일정

편집
10월 19일 (월) 10월 20일 (화) 10월 21일 (수) 10월 22일 (목) 10월 23일 (금)
세계과학기술포럼 ASEAN+3 장관급 포럼 OECD 과학기술 장관회의 OECD 과학기술정책위원회 총회 대한민국 과학발전 대토론회
OECD 과학기술 장관회의

구성행사 개요

편집

(OECD 과학기술장관회의) 지속적인 경제성장 및 글로벌 도전과제 해결을 위해 66여명의 장관 및 국제기구 수장들을 초청하여 향후 10년 간 국제과학기술혁신 정책방향 논의 및 ‘대전선언문’ 채택

(세계과학기술포럼) 노벨상 수상자 등 세계 석학들과 글로벌 CEO 등이 참여하여 과기발전의 미래 및 과기혁신을 통한 성장 방안 논의

(대한민국 과학발전 대토론회) 광복 70년 및 세계과학정상회의 개최를 맞아 우리나라의 국가발전을 이끈 과학기술의 성과와 향후 과제에 대한 과학기술분야 전문가들의 토론회

(ASEAN+3 장관급 포럼) ASEAN 회원국 과학기술 장관급 초청을 계기로 ASEAN+3과 글로벌 경제의 성장엔진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ASEAN 회원국과의 컨소시엄 사업 등을 논의

(연계행사) 일반인을 위한 학술포럼 및 전시회 등 과학문화행사를 연계 개최하여 국민의 참여도를 높이고 과학문화 확산 제고

세계과학정상회의 개최 배경 및 의의

편집

개최 배경

편집

기존 유럽 중심에서 아시아·개도국을 포함한 新글로벌 과학기술혁신 협력체계 구축을 위해 한국에서 세계과학정상회의 개최 추진

• 세계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지속적인 성장을 도모하고 기후·에너지·보건·빈곤 등 글로벌 도전과제를 극복하기 위한 발전 패러다임을 성장 중심에서 성장과 함께 환경‧빈곤 등 다양한 가치를 함께 고려하는 방향으로 전환 중

• 과학기술혁신은 이러한 글로벌 패러다임의 전환을 위한 핵심 전략이자 이행 수단으로 평가

• 유럽․선진국 중심 글로벌 과학기술 정책 논의가 이뤄져 왔으나, 개도국 문제 해결 위한 글로벌 과학기술혁신정책의 필요성이 대두, 최근 과학기술혁신에서 아시아‧신흥국이 주목 받고 있음

• OECD의 과학기술분야 장관회의 시작 52년 만에 최초로 OECD 본부가 아닌 해외(한국)에서 회의를 개최. 지속적·포용적인 성장을 위한 글로벌 과학기술 협력을 선도

개최 의의

편집

• (과학강국 이미지제고) 전 세계가 당면한 중요 이슈의 해법 논의를 우리나라가 주도함으로써 과학 외교력과 국제적 위상이 높아질 것임

• (창조경제 전파) 회의 주제 ‘과학기술혁신을 통한 글로벌 미래창조’는 우리나라의 창조경제 핵심과 일치, 이번 포럼과 장관회의에서는 우리나라의 창조경제가 ‘모범사례(Best Practice)’로 소개되는 등 창조경제의 성공적 추진과 관련이 있는 과학기술, 정책, 글로벌 협력 등 논의가 이루어질 예정

• (대전시 위상제고) 대전시 이미지 제고와 지역 경제 활성화, 과기특성화 대학, 각종 연구기관 및 국제 비즈니스벨트가 위치한 대전을 세계 속의 ‘과학도시’로 각인

참고 사이트

편집

2015 세계과학정상회의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