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Motoko C. K./과학혁명의 구조

과학혁명의 구조(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는 철학자 토머스 S. 쿤이 저술한 과학사에 대한 책이다. 이 책의 출판은 과학사, 과학 철학과학 지식 사회학에서의 기념비적 사건이며, 현재에도 진행되고 있는 광범위한 평가와 반응을 촉발하였다. 쿤은 정상 과학에서의 진보에 대한 일반적인 이식에 도전하였다. 일반적인 과학적 진보는 이미 수용된 사실과 이론의 "축적에 의한 발전"으로 인식되었다. 쿤은 정상 과학에서의 이러한 개념적인 연속성의 시기가 혁명적인 과학의 시기에 의해 방해되는 불연속적인 모델을 주장하였다. 혁명의 시기 동안에 발견된 "이상 현상"은 새로운 패러다임을 야기한다. 새로운 패러다음은 오래된 데이터에 대하여 새로운 질문을 던지며, 이전 패러다임의 "수수께끼 풀기"을 넘어, 게임의 법칙과 새로운 연구의 방향의 방향을 지시하는 "지도"를 변경한다.[1] 

예를 들어 쿤의 코페르니쿠스 혁명에 대한 분석은 처음에는 천체 현상에 대한 지구중심설보다 더욱 정확한 예측을 제공하지 못하였으나, 미래의 어느 시점에서 발전할 더 나은, 더 간결한 해결책의 전망을 가진 실행자에게는 매력적인 이론이었다. 쿤은 우세한 혁명의 대한 핵심적 개념을 패러다임이라고 불렀으며, 이 단어를 20세기 후반에 광범위한 분석 활동에 활용하게 하였다. 패러다임의 전환은 사회학, 맹신, 과학적 전제의 혼합이며, 논리적으로 명확한 과정이 아니라는 쿤의 주장은 대단한 논쟁을 일으켰다. 쿤은 제2판의 1969년 후기에서 우려를 표한 바가 있다. 일부 평론가는 쿤의 책은 과학의 핵심에 실재적인 인문주의를 도입한 것으로 평가하는 반면, 다른 평가론가는 가장 위대한 성취의 중심에 비이성적인 요소를 도입하여 과학의 고귀함을 파괴했다고 평가한다. 

영향

편집

과학혁명의 구조는 쿤이 논의한 "패러다임의 전환"을 촉발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 책이 출판된 이래로, 16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된 것을 포함하여 백만 부 이상이 판매되었다. 1987년에는 예술과 인문학에서 1976년부터 83년 사이에 가장 빈번하게 인용된 20세기 책으로 보고되었다.

정치, 사회, 경제에서 일어난 변화는 쿤의 용어로 표현되기도 한하지만, 과학자와 과학사가에게 이러한 것을 과학의 관습에 대입하는 것은 빈약해 보일 수 있다. 패러다임, 패러다임의 전환이라는 용어는 내용을 결여한 것으로 보이는 클리셰와 전문가인 척하는 용어가 되었다.[2] [3]

철학

편집

과학혁명의 구조에 대한 최초의 광범위한 검토는 파울 파이어아벤트, 노우드 러셀 핸슨 등의 과학 철학자가 주장한 반실증주의적 의견의 연장으로 해석한 철학자 Dudley Shapere에 의해 이뤄졌다. Shapere는 이 책을 "과학적인 변화가 점진적으로 발전하는 지식의 선형적 발전이라는 일반적인 이미지에 대한 지속적 공격"으로 부르며, 그 당시의 철학적 상황에 이 책이 준 영향을 강조하였다.[4] 철학자 Michael Ruse에 따르면, 에른스트 나이젤이 저술한 과학의 구조(The Structure of Science)의 과학 철학에 대한 반역사적인, 규범적인 접근을 신뢰하지 않았다.[5] 쿤의 철학은 비록 쿤의 의도는 아니었으나 실증주의에 대한 유사주의적 반란을 촉발시켰다.[6] 사실 쿤은 자신의 책을 통합 과학 국제 백과전서에서 출판하기 위하여 주요한 실증주의자인 루돌프 카르나프를 접촉하였다.[7] 

  1. Kuhn, Thomas S.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3rd ed.
  2. Robert Fulford, Globe and Mail (June 5, 1999).[1]
  3. "The Complete Idiot's Guide to a Smart Vocabulary" pp. 142-143, author: Paul McFedries publisher: Alpha; 1st edition (May 7, 2001), ISBN 978-0-02-863997-0
  4. Shapere, Dudley (1964).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The Philosophical Review》 73: 383. doi:10.2307/2183664. 
  5. Ruse, Michael (2005). Honderich, Ted, 편집. 《The Oxford Companion to Philosoph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637쪽. ISBN 0-19-926479-1. 
  6. K. Brad Wray, Kuhn's Evolutionary Social Epistem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 p. 87.
  7. Fuller, Steve (1992). “Being There with Thomas Kuhn: A Parable for Postmodern Times”. 《History and Theory》 31.3: 244. 

[[분류:1962년 책]] [[분류:영어 책]] [[분류:과학학]] [[분류:과학 혁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