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Onyu36/연습장

흑백사진 현상/인화 약품

편집

현상약품

편집

흑백 필름의 현상약품으로는 현상액, 정지액, 정착액, 기타약품 등이 있다.

  1. 현상액 : 필름 현상에 사용되는 용액으로, 알카리성을 띈다. 흑백 필름의 현상액으로는 코닥 D76, T-Max, HC-110 등이 사용된다. 칼라 필름의 경우, C-41을 사용한다.
  2. 정지액 : 중간정지액. 필름의 현상작용을 정지시키며, 정착액의 효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현상액과 정착액의 중간과정에서 사용되는 약한 초산 용액.[1]정지액으로 Stop bath제품이 사용되며, 빙초산을 희석해 사용할 수도 있다.
  3. 정착액 : 감광(感光)된 사진필름이나 사진건판 등을 현상 후 미감광 부분을 제거하여 화면이 빛을 받아도 변하지 않도록 처리하는 용액.[1]Fixer제품이 사용된다.
  4. 수적 방지제 : 현상처리 과정에서 세척 후 필름을 건조시키기 전에 표면의 물방울 생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담그는 약제.[1] Photo Flo제품이 사용된다.

인화약품

편집

흑백 사진의 인화약품으로는 인화지 현상액, 정지액, 정착액 등이 있다.

  1. 인화지 현상액 : Paper developer. 인화를 위해 사용되는 현상액으로, 코닥 D-72등이 사용된다.
  2. 정지액과 정착액은 현상시 사용하는 약품과 같은 약품을 사용할 수 있다.

사진 약품의 폐액처리

편집

사진 현상/인화 약품의 성분에는 유해물질이 포함되어 있기때문에 세면대에 그냥 흘려보내지 않도록 주의한다.

자가 현상/인화 시 사용된 폐액은 현상액, 정착액을 분류해 모아서 지정 폐기물 업체를 이용해야한다. 인근 사진관에 처리를 부탁하는 방법도 있다.

학교나 단체 등 대량의 폐액이 발생하는 곳은 폐약통에 폐액 처리 스티커를 부착해 배출해야하며, 폐액 처리 스티커를 작성 시 각 약품의 성분을 적어야한다.

흑백사진의 대략적인 약품 성분은 다음과 같다.

  • 현상액 : 하이드로퀴넌, 메톨,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 정지액 : 아세트산 (정지액의 경우, 희석 비율이 미미하기 때문에, 폐액 처리없이 버릴 수 있다)
  • 정착액 : 포르말린, 명반, 아황산소다, 티오황산소다, 티오황산암모늄, 브롬화칼리

같이보기

편집
  1. 네이버 지식백과, 비파괴 검사 용어사전, 2008.1.20, 도서출판 노드미디어.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test"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