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QISrights/진영희/혜공왕

景德王(경덕왕)·忠談師(충담사)·表訓大德(표훈대덕) (唐:당에서)(道)德經等〔(도)덕경등〕을 (보내니) 大王(대왕)이 禮(예)를 갖추어 받았다【譯者註(역자주)=此一節(차일절)은 뒤의 孝成王條(효성왕조)에 連續(연속)될 것】. 王(왕)이 御國(어국)한 지 二十四年(24년)에 五嶽(오악) 三山(삼산)의 神(신)들이 간혹 現身(현신)하여 殿庭(전정)에서 왕을 모시더니, 三月三日(3월3일)에 王(왕)이 歸正門(귀정문) 樓上(누상)에 납시어 左右(좌우)에게 묻되 누가 능히 途中(도중)에서 한 榮服僧(영복승)을 데려올 수 있겠느냐 하였다. 이때 마침 威儀(위의)가 깨끗한 한 大德(대덕)【高僧(고승)】이 있어 길에서 徘徊(배회)하고 있었다. 左右(좌우)가 보고 데리고 와서 보이니, 王(왕)이 가로되 내가 말하는 榮僧(영승)이 아니라 하고 도로 보냈다. 다시 한 중이 衲衣(납의)를 입고 櫻筒(앵통)【혹은 荷簀(하책)이라 함】을 지고 南(남)쪽에서 오는지라, 王(왕)이 기뻐하여 樓上(누상)으로 迎接(영접)하고 그의 통속을 보니 茶具(다구)가 담겨 있었다. 네가 누구냐고 물으니, 忠談(충담)이라고 대답하였다. (또) 어디서 오느냐고 물으니, 가로되 내가 매양 重三(중3)과 重九日(중9일)에는 차【茶:다】를 다려서 南山(남산) 三花嶺(삼화령)의 彌勒世尊(미륵세존)에게 드리는데, 오늘도 드리고 오는 길입니다 하였다. 王(왕)이 나에게도 차 한 그릇을 주겠느냐 하니 중이 차를 다려 드리었다. 차의 맛이 異常(이상)하고 그릇 속에서 異香(이향)이 풍기었다. 王(왕)이 가로되 내가 들으니 師(사)의 耆婆郞(기파랑)을 讚美(찬미)한 詞腦歌(사뇌가)가 그 뜻이 매우 높다 하니 果然(과연) 그러하냐. 대답하되 그러합니다. 그러면 나를 위하여 安民歌(안민가)를 지으라 하였다. 忠談(충담)이 곧 命(명)을 받들어 노래를 지어 바치니 王(왕)이 아름다이 여겨 王師(왕사)를 封(봉)한대 忠談(충담)이 再拜(재배)하고 굳이 사양하며 받지 아니하였다. 그의 安民歌(안민가)에 가로되 「君(군)은 아비요 臣(신)은 사랑스런 어미시라, 民(민)을 즐거운 아해로 여기시니, 民(민)이 恩愛(은애)를 알지로다, 구물구물 사는 物生(물생)들, 이를 먹여 다스리니, 이 땅을 버리고 어디로 갈소냐, 나라를 지닐 줄 알지로다」하고, 後句(후구)에는 「君(군)답게 臣(신)답게 民(민)답게 할찌면, 나라는 太平(태평)하리이다」하였다. 讚耆婆郞歌(찬기파랑가) 「열치(헤치)고 나타난 달(月:월)이, 흰구름 쫓아 떠가는 어디에, 새파란 냇물속에, 耆郞(기랑)의 모습 잠겻세라, 逸(延?)烏川〔일(연?)오천〕 조악돌이 郞(낭)의 지니신 마음 갓【際(제)】을 쫓고자, 아-잣【栢(백)】가지 높아 서리【霜(상)】 모를 꽃판(花判:화판)이여」 王(왕)【景德(경덕)】의 玉莖(옥경)의 長(장)이 八寸(팔촌)이었는데 아들이 없으므로 妃(비)를 폐하여 沙梁夫人(사량부인)을 封(봉)하였다. 後妃(후비) 滿月夫人(만월부인)의 諡號(시호)는 景垂太后(경수태후)니 依忠角干(의충각간)의 딸이다. 王(왕)이 하루는 表訓大德(표훈대덕)을 불러 「내가 福(복)이 없어 아들이 없으니 大德(대덕)은 上帝(상제)에게 請(청)하여 아들을 있게 하여달라」하였다. 表訓(표훈)이 天帝(천제)에게 올라가 告(고)하고 돌아 와서 아뢰되 「上帝(상제)가 말하기를 딸은 可(가)하나 아들은 不當(부당)하다 하십디다」. 王(왕)이 말하되「딸을 바꿔 아들로 해주기를 願(원)한다」. 表訓(표훈)이 다시 올라가 天帝(천제)에게 청하니 天帝(천제)-가로되 「그렇게 할 수는 있으나 아들이 되면 나라가 위태하리라」하였다. 表訓(표훈)이 내려오려 할 때 天帝(천제)가 다시 불러 이르기를 「하늘과 사람 사이를 문란케 못할 것이니, 지금 大師(대사)가 이웃과 같이 往來(왕래)하여 天機(천기)를 누설하니, 금후에는 다시 다니지 말라」하였다. 表訓(표훈)이 돌아와서 天語(천어)로써 이르매 王(왕)이 가로되 「나라는 비록 위태하더라도 아들을 얻어 뒤를 이으면 足(족)하다」하였다. 그후 滿月王后(만월왕후)가 太子(태자)를 나으니 王(왕)이 매우 기뻐하였다. 太子(태자)가 八歲(8세) 때에 王(왕)이 돌아가므로 卽位(즉위)하니 이가 惠恭大王(혜공대왕)이다. 王(왕)이 어린【幼(유)】 까닭에 太后(태후)가 攝政(섭정)하였는데 政事(정사)가 다스려지지 못하고 盜賊(도적)이 벌떼와 같이 일어나 이루 막을 수 없었으니, 表訓(표훈)의 말이 맞았다. 王(왕)이 女子(여자)로서 男子(남자)가 되었으므로, 돌날로부터 王位(왕위)에 오를 때까지 항상 婦女(부녀)의 짓을 하여 비단주머니 차기를 좋아하고 道流(도류)【道士(도사)】와 함께 희롱하므로, 나라가 크게 어지러워 졌다. 마침내 王(왕)은 宣德(선덕)과 金良相(김양상)의 죽인 바가 되었고 表訓以後(표훈이후)에는 新羅(신라)에 聖人(성인)이 나지 아니하였다 한다.

(출처 : www.krpia.co.kr )



삼국사기*삼국유사 이병도 역 삼국유사 권 제2 기이 제2 경덕왕*충담사*표훈대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