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RJKIM1031/연습장


이주 프로그램


기술 직업 비자 - 호주 워킹 비자는 가장 일반적으로 전문 기술직에게 부여된다. 신청자들은 점수 기반 시스템에 의해 평가되고, 그 포인트는 특정 교육 기준에 따라 할당이 된다. 이 비자는 종종 특정 필요에 의해 근무자를 모집하는 개별 주가 스폰서하기도 한다. 비자는 호주 사업체에 의해서 스폰서 받는 신청자들에게 발급되기도 한다. 가장 흔한 스폰서 워킹 비자는 1996년에 도입된  457 비자로, 현재 텀불 정부가 이를 폐지시켰다.


학생 비자 - 호주 정부는 활발하게 외국인 학생들을 유치하고 있다. 많은 학생 비자 종류가 있고, 대부분의 학생비자는 교육 기관의 공식 제안서가 필요하다.


가족 비자 - 비자는 종종 호주에서 가족 관계에 따라 발급이 된다. 기여 부모 비자 및 배우자 비자 등 많은 종류의 호주 가족 비자가 있다.


워킹 홀리데이 비자 - 이 비자는 여행자들이 교육을 보충하기 위해 발급해주는 국가에서 취업(혹은 학업)을 할 수 있는 주거 비자이다.


취업 및 가족 비자는 종종 호주 시민권으로 이어질 수 있지만, 신청자는 호주에 최소 4년 거주해야 하고 영주권자로서 최소 1년 거주한 이력이 있어야 한다.


투자자 비자 - 외국인 투자자는 호주 영주권 취득을 위해 사어베에 투자하거나 호주에 자금투자를 할 수 있어야 하고, (비자를 취득한 당해를 포함하여) 4년이 지난 후에, 호주 시민이 되기 위하여 시험을 치르고 신고를 해야 한다.

호주 이민 프로그램이 연령 차별 법안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고 일반 기술 이민에서 50세 나이제한을 철폐라거나 개정하라는 요구가 잇달았다.


난민 지위에 관한 협약에 따른 난민 카테고리 비자 본국에서 심각한 인권 침해에 해당하는 실질적인 차별을 받고 있는 사람을 위한 특별 인도주의 프로그램(SHP) 비자

인도주의 프로그램에 따라 부여되는 비자 한도는 2015~2016년에 13,750개였으며, 시리아와 이라크 분쟁으로 인한 난민에게 추가로 12,000개의 비자가 제공되었다.


이민 및 정착 서비스

호주 정부와 지역사회[어느 곳?]는 다양한 이민 지원 및 정착 지원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인도주의, 가족 및 기술 비자 스트림의 적격 이민자가 이용할 수 있는 성인 이민자 영어 프로그램은 기능적인 영어가 없는 사람들을 위해 무료 영어 코스를 제공합니다. 호주에 정착한 첫 5년 동안 최대 510시간의 영어 코스가 제공됩니다.

내무부는 비영어 사용자와 통역사 간의 연락을 용이하게 하여 정부 및 지역사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24시간 연중무휴로 전화 통역 서비스인 통역 서비스 국가(Translating and Interpretation Service National)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정착 보조금 프로그램은 인도주의적 입국자와 이민자가 호주에 정착하고 도착 후 가능한 한 빨리 호주 사회에 공평하게 참여할 수 있도록 자금을 제공합니다. 이 프로그램은 인도주의적 입국자, 영어 실력이 낮은 가족 이민자, 영어 실력이 낮은 지방 및 농촌 지역의 숙련 이민자의 부양가족에게 정착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호주 문화 오리엔테이션 프로그램은 호주 정착을 준비하는 난민 및 인도주의 비자 소지자에게 호주 여행과 호주 생활에 대한 실질적인 조언과 궁금한 점을 물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 프로그램은 비자 소지자가 여행을 시작하기 5일 전에 해외에서 진행됩니다.

난민 및 인도주의 비자 소지자는 집중적인 정착 지원을 제공하고 초기 정착 기간 이후에도 독립적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기술과 지식을 갖춘 인도주의 정착 서비스 프로그램을 통해 도착 즉시 정착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