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Realserime/연습장

설명

편집

국제회의 통역사 및 번역사 인력 수요의 확대에 대비하여 1979년에 설립된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은 현재 8개 언어(영어, 불어, 독일어, 노어, 스페인어, 중국어, 일본어, 아랍어)과정을 개설하고 있다. 또한 학문으로서의 통번역학 연구영역을 확장하기 위해 1999년 11월에 국내 최초로 통번역학 박사과정을 신설하여, 2012년 현재까지 총 26명의 통번역학 박사를 배출하였다. 2005년에는 전 세계 통번역 교육기관 협의체인 CIUTI(세계통번역대학원협회)의 아시아지역 최초의 회원교가 되었다.

시설

편집

8개 언어 동시통역 서비스가 가능한 국제회의장을 비롯하여, 동시통역실, 국제회의 통역실, 멀티미디어 강의실, 소규모 스터디 룸, 30개 언어로 110개 채널이 상시 수신 가능한 위성방송시청 시설, 도서관, 컴퓨터 실습실 등을 갖추고 있다.

부속기관

편집

부속기관으로 통번역센터와 통번역연구소가 있다.

개설 과정

편집

석사학위과정

편집
  • 2개언어과정(8개학과)및 전공

한영과: 번역전공, 국제회의통역전공, 통번역전공
한불과: 국제회의통역전공, 통번역전공
한독과: 국제회의통역전공, 통번역전공
한노과: 국제회의통역전공, 통번역전공
한서과: 국제회의통역전공, 통번역전공
한중과: 국제회의통역전공, 통번역전공
한일과: 국제회의통역전공, 통번역전공
한아과: 국제회의통역전공, 통번역전공

  • 3개언어과정(7개학과) 및 전공

한영불과: 국제회의통역전공, 통번역전공
한영독과: 국제회의통역전공, 통번역전공
한영노과: 국제회의통역전공, 통번역전공
한영서과: 국제회의통역전공, 통번역전공
한영중과: 국제회의통역전공, 통번역전공
한영일과: 국제회의통역전공, 통번역전공
한영아과: 국제회의통역전공, 통번역전공

한영과 번역전공을 제외한 모든 학과는 1학년을 마치고 2학년 진급 시 전공구분시험을 통해 국제회의통역전공 또는 통번역전공으로 구분하여 진학한다.

박사학위과정

편집

통역학
번역학
통번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