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Rlaehdgks/연습장

이진충의 난 [李盡忠 亂]

‘영주의 난’ 이라고도 한다. 거란족장 이진충과 부하 손만영 그리고 대조영이 당나라의 지배에 항거하여 일으킨 반란이다.  

원인

당나는 요서 지역의 영주(營州)에 도독부를 설치하고 그 일대의 여러 종족들을 관할 통제하고 있었다. 이곳에는 본래 거란족이 살고 있었으나 당나라의 사민정책에 의해 이주한 고구려· 말갈인 등도 상당수 거주하고 있었다. 이때 영주를 관할하던 인물은 영주도독 조홰(趙翽)였다. 조홰(趙翽)는 전형적인 탐관오리로 이민족들에가 가혹할 정도로 높은 세금을 매겨 착복하고 있었으며 조홰에 대한 원성이 가득했다.

696년에 접어들면서 수년 째 거듭된 가뭄으로 영주 거주민들은 모두 혹독한 생활을 강요당하고 있었다. 그러나 영주도독 조홰의 수탈과 혹형은 지속되고 있었고 백성들의 고통을 보다 못한 이진충 휘하의 젊은 거란 장수 한 사람이 조홰를 찾아가 백성을 구휼할 것을 요청하다가 오히려 혹형을 받아 반죽음 상태로 내쳐지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들은 모두 당나라에 의해 국가가 와해되면서 강제 이주되어 영주까지 흘러오게 되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기본적으로는 모두 당나라에 대해 불신과 불만을 가슴속 깊이 품고 있을 수밖에 없었다. 

경과

696년 5월 거란의 족장인 이진충이 반란을 일으키고 발해 건국의 주요세력인 고구려유민들이 합세하여 영주성을 함락시키고 점령하자 거란군과 대조영의 고구려유민 세력이 군사를 일으켜 영주를 점령했다는 소식을 접한 당나라에서는 진압군을 영주로 파견했다. 영주로 나가는 관문인 평주의 협석곡에서 거란군과 고구려유민 세력이 당나라 진압군을 대파하고 그들을 전몰시켰다. 당나라는 진압군이 몰살당하자 이들을 저지하기 위해 배후에 위치하고 있던 돌궐과 밀약을 맺어 영주를 공격하게 한다.  

결과

배후로부터 돌궐의 기습공격을 받은 이 전투에서 이진충을 잃게 되면서 세력이 크게 약화되었다. 하지만 손만영이 거란군을 다시 수습하고 당나라 군대와 다시 전쟁을 치뤘다. 손만영은 당나라 진압군을 동협석곡으로 유인하여 궤멸시키고 뒤이어 유주로 진격하였다. 그는 동협석곡 전투에 승리한 여세를 몰아 당나라를 궁지로 몰아붙이기 위해 돌궐의 묵철가한에게 연합세력을 형성해서 유주를 공격하자고 제안한다. 그러나 돌궐의 묵철가한은 거란의 손만영과 동맹을 맺는 대신 오히려 당나라와 연합하여 손만영의 군대를 공격하고 이 전투에서 거란군의 패배와 함께 손만영도 전사하게 되고 대조영이 이끄는 고구려유민 세력은 요동지역의 천문령으로 이동하여 동모산에 발해를 건국하게 된다. 

의의

이진충의 난은 거란족의 투쟁에서 시작되었으나 당의 지배하에 있었던 고구려 유민도 말갈인과 연합하여 반란을 일으켜 거란족과 서로 긴밀히 협력하여 싸웠다.

발해건국 과정에서 거란의 장수였던 이해고가 발해를 공격한 것을 거란의 잔여병 소탕이라고 한 것으로 보아 거란족의 영주의 난의 거사과정에서 고구려유민세력이 적극 가담했을 가능성이 크다. 발해의 건국 세력 즉, 고구려 유민세력을 거란의 잔여병 세력으로 인지했다는 것은 이진충과 대조영이 긴밀한 관계였음을 알 수 있다. 이진충의 난은 요동과 영주의 고구려 유민들의 부흥 의지와 더불어 발해건국의 계기가 되었다. 발해의 건국은 국제정세와 대조영의 군사적 기반인 ‘성방(城傍) 고구려인’과 유민들의 부흥의지 그리고 이진충의 난이 합쳐져서 이룩한 대업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이진충의 난이 당과 돌궐의 연합에 의해 제압 당하고 돌궐이 영주를 차지하게 돼서 당나라가 동만주에 영향을 끼치는 것을 차단해 대조영의 고구려 유민 세력이 발해를 건국하는 과정에서 유리하게 작용하였다. 

영주를 중심으로 한 요서지방과 요동 지방은 일찍부터 지리상 가치 때문에 요충지였으며 동방 침략의 근거지였다. 이 사건은 영주지역 및 그곳에 강제이주당해 있던 여러 소수민족들에게 심대한 영향을 끼쳤다. 비록 이진충의 난은 제압되었지만 요동지역에서의 당나라 정부의 통제력을 약화시켰으며 고구려 유민들과 말갈인 등 다른 소수민족에게 주체의식을 깨우쳐주는 계기가 되었던 것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이진충의 난 [李盡忠-亂] (한국고중세사사전, 2007. 3. 30., 가람기획)3장, [1]

[네이버 지식백과] 이진충의 봉기 (문화콘텐츠닷컴 (문화원형백과 해동성국 발해), 2004., 한국콘텐츠진흥원)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