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Rlaworua3/연습장

미드(mid)란 게임 내 중간의 라인을 나타내며 정글을 포함한 모든 라인에 가까워 다른 라인들을 지원하기 쉽고 반대로 공략되기도 쉽기 때문에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합니다.

주요 미드 챔피언들

편집
근거리 원거리
AD(물리 데미지) 제드, 탈론, 제이스, 야스오 제이스, 퀸, 바루스
AP(마법 데미지) 카타리나, 카사딘, 에코, 피즈, 다이애나 코르키, 신드라, 라이즈, 카시오페이아, 오리아나, 르블랑, 트위스티드페이트, 아리, 탈리야, 카사딘, 빅토르, 아지르, 블라디미르, 아우렐리온 솔, 질리언, 럭스, 모르가나, 애니, 말자하, 브랜드, 자이라, 제라스, 베이가, 리산드라, 카르마, 룰루, 애니비아, 직스, 카서스, 리산드라, 벨코즈

미드 챔피언 유형별 분류

편집
성장형[한타, 광역딜] 빅토르, 오리아나
포킹형[라인전, 카운터] 바루스, 제이스, 코르키, 럭스, 제라스, 벨코즈, 직스
로밍형[라인클리어, 기동성] 탈리야, 탈론, 아우렐리온 솔, 트위스티드 페이트
암살자[라인전, 카운터] 제드, 카타리나, 피즈, 카사딘, 탈론

성장형

편집

cs수급과 더티파밍[1]을 중심으로 아이템을 뽑으며 성장하는 유형입니다.

포킹형

편집

상대보다 우월한 사거리를 바탕으로 대치 구도에서 이득을 가져다 주는 유형입니다. 보다 긴 사거리를 통해 쉽게 딜링[2]이 가능하지만 돌진기가 있는 챔피언에 쉽게 제압 당할 수 있습니다.

로밍형

편집

라인을 빠르게 클리어한 뒤 로밍[3]을 가는 유형입니다.

아군에게 힘을 보탤 수 있고 스플릿을 하기에 좋지만, 보통 라인전이 강한 편이 아니여서 누커[4]들에게 약합니다.

암살자

편집

체력이 적은 미드나 원딜을 한 방에 제압할 수 있는 소위 말하는 누커[4]들을 말합니다. 상대의 미드나 원딜을 한 콤보에 정리시켜 한타[5]의 기여하거나 주의를 끌지만 잘못 진입하거나 스플릿[6] 과정에서 짤리면 게임에 악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미드 스펠정리

편집

점멸

편집

거의 모든 라이너들이 점멸스펠은 무조건 들고 갑니다. 벽을 넘는다던지 회피, 공격, 모든 방면으로 쓰일 수 있기때문에 활용성이 좋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점멸과 같이 쓰이는 스펠들을 알아봅시다.

유체화

편집

성장형들이 한타[5]에서의 영향력을 높이고자 들거나 로밍형들이 빠르게 로밍[3]을 가기위해 드는 스펠입니다. (빅토르, 오리아나 ,카시오페이아, 트위스티드 페이트, 아우렐리온 솔, 탈리아)

점화

편집

라인전이 중요한 챔피언들, 예를들어 암살자 챔피언들이 자주 드는 스펠입니다.(제드, 탈론, 제이스)

포킹형과 같이 멀리서 견제하는 챔피언이나 유체화와 어울리진 않지만 라인전에 힘을 주는 챔피언들이 들곤 합니다. (아지르, 제라스, 럭스, 직스)

텔레포트

편집

초반 싸움이 약한 라인전 챔피언들이 쉽게 초반을 보낼 수 있게 들거나 로밍을 위해 들곤 하는 스펠입니다. (카사딘, 리산드라, 에코)

탈진

편집

상대 챔피언에 맞춰 카운터 칠 수 있게 드는 스펠입니다. (제드, 탈론, 피즈)

정화

편집

상대 챔피언에 맞춰 카운터 칠 수 있게 드는 스펠입니다. (상대가 트위스티드 페이트, 리산드라, 애쉬, 엘리스등 일때 듭니다.)

로밍

편집

미드는 다른 라인에 비해 라인이 짧습니다. 때문에 라인을 빠르게 정리한다면 다른 라인보다 여분의 시간이 더 많습니다. 그 시간을 더티파밍[1] 또는 로밍을 통해 자신, 또는 팀을 성장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미드는 어느 라인보다 ‘라인을 빨리 미는 것이 중요’한 라인입니다.

로밍을 가는 타이밍은 다음과 같습니다.

상대가 귀환을 한 경우

편집

즉, 상대가 라인을 밀고 집을 갔고, 본인이 라인에 도착한 뒤에 라인을 전부 클리어한 경우에 바로 로밍을 출발합니다. 상대가 라인을 허겁지겁 먹으러 달려오기 때문에 이 타이밍에 상대 미드는 무조건 미드에 시간을 써야하므로 백업이 늦게 되고 숫적 우위를 통해 로밍으로 이득을 봅니다. 만약 상대미드가 cs[7]를 버리고 바로 온다면 바로 라인으로 복귀하면 됩니다. 

블루 타이밍

편집

7분대에 블루[8]가 두 번째 리젠이 될 경우, 정글러는 아군에게 블루 버프를 챙겨주게 됩니다.

이 타이밍에 로밍각이 매우 잘 나오는데, 퍼플팀일 경우, 상대의 블루팀 미드가 라인도 안먹고 갑자기 사라졌다면 라인을 빠르게 밀고 로밍을 가면 됩니다.

블루팀 미드가 블루를 먹으러 갔다라는 것은 상대의 미드와 정글이 윗 동선에 있기 때문에 상대 바텀이 약한 타이밍이므로 우리 탑에게 백핑을 찍고 상대가 블루타이밍이란 것을 인식시켜준 뒤에 로밍을 가면 되는 것입니다.

반대로 라인을 포기하는 경우도 있는데, 퍼플팀 미드이며 정글러가 블루를 줘서 먹었는데 바텀라인이 완전히 당겨져 있어서 정글과 같이 가면 4:2싸움으로 이득을 볼 수 있는 경우입니다. 이러한 경우에 상대 미드가 백업을 포기하고 포탑을 계속 밀수도 있고 상대 정글도 마찬가지로 레드를 먹고 바텀 역갱[9]을 대기하러 달릴 수도 있고, 상대 탑의 텔레포트 합류가 있을 수도 있으므로 이러한 것들을 순간적으로 빠르게 판단하고 리스크를 생각해보고 로밍을 결정해야합니다.

또 이러한 블루 타이밍일 때 로밍챔피언들의 캐리력[10]이 빛이 나는 순간이기도 합니다. 블루를 통해 마나를 막 써도 되므로 라인을 빠르게 클리어한 뒤, 트위스티드 페이트나 탈리야가 궁으로 상대 미드보다 훨씬 빠른 템포로 로밍기회를 잡아 이득을 보는 것입니다.

와드

편집

라인전에서 미드라이너의 와드는 매우 핵심적인 영역입니다. 미드라인은 맵의 중심이기 때문에, 미드라이너가 와드를 잘 해놓는다면, 적 정글러가 포착되기 쉽고, 아군은 적 정글러의 위치를 보고 사릴것인지, 딜교환을 시도할 것인지 판단 할 수 있습니다. 라인전에서 미드라이너의 와드의 중요성은 서포터보다 더 높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여기서 설명 드리는 상황은 자신이 블루팀인 상황이며 퍼플팀이더라도 좌우만 달리하여 보면 블루팀일 경우와 같습니다.

일반적인 와드[11]의 위치는, 미드 양쪽 부쉬[12],


혹은 아군 정글쪽으로 올라오는 길목, 


섬처럼 떨어져있는 부쉬, (최대한 미드 양쪽부쉬쪽으로 붙여 설치해야지만이 적 정글러가 적 정글에서 내려오는 동선을 제대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적 정글로 올라가는 골목 등 입니다.


어느 위치가 정답이라고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라, 적 정글러와 아군 정글러의 성향, 자신이 라인을 밀것인지 당길 것인지 여부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위치에 와드를 설치하여야 합니다. 

또한, 핑크와드의 중요성에 대해 언급하고자 합니다. 현재 핑크와드는 시간이 지나도 지워지지 않기 때문에 미드라이너가 조금 수비적인 위치에 핑크와드를 설치해놓는다면 100골드라는 싼 가격에 오랫동안 시야를 확보 해 줄 수 있습니다.

블루진영을 기준으로, 아군 블루버프쪽으로 올라오는 길목 부쉬,


아군 레드[13]버프 뒷편의 부쉬


등에 설치한다면, 적 정글이 아군정글로 진입 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자신의 주요 로밍 루트가 되는 곳에 적의 와드가 설치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기 좋습니다. 

미드라이너가 와드를 하지 않는 다면, 다른 라인의 와드부담이 가중되고, 자신도 결국 갱킹의 위협에 고스란히 노출되기 때문에, 필수적으로 와드를 이용해야 합니다. 

한타

편집

미드는 원딜러와 함께 딜러 포지션입니다.

(딜러는 우리팀이 지켜주고, 상대방의 진형을 붕괴시키며 싸워주고 있을 때 뒤에서 데미지를 넣는 포지션입니다.)

첫 번째, 딜러는 항상 뒤 포지션을 잡고 있는다.

조합에 따라 다릅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조합에서 미드는 뒤편 또는 중간에 자리를 잡아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딜러라인이 상대방 탱커라인(정글,서폿,탑)에 정리되면 팀에서 데미지를 넣는 역할이 없어지므로 한타를 승리로 가져오기 어렵게 됩니다. 또한 앞 포지션으로 살아남는다 해도 자신에게 공격이 집중되는 만큼 팀원이 도와줘야하기 때문에 자신의 딜로스 뿐만 아니라 팀원 딜로스까지 생겨 상대 딜러들만 쉽게 데미지를 넣을 수 있는 구도가 나오게 됩니다.

두 번째, 딜타이밍엔 적극적으로 나가야 합니다.

앞서 말한 부분과 맞물리는 부분으로 한타 시작부분에선 자신에게 집중되지 않게 뒤편 또는 중간에 위치해 있다가 상황이 형성되면 바로 데미지를 넣을 수 있어야 합니다.  

각주

편집
  1. 자기 라인의 미니언이 아닌 정글의 몬스터들을 잡아 골드와 경험치를 얻는 것
  2. 상대에게 데미지를 입히는 것
  3. 자신의 라인이 아닌 다른 라인으로 진출해 팀에게 이득을 취하게 하고 자신 또한 이득을 취하는 것
  4. nuclear에서 온 말로 핵폭발을 연상시킬만큼 순간적으로 폭발적인 딜링이 가능한 챔피언을 말한다.
  5. 1:1이 아니라 5:5와 같은 대규모 싸움
  6. 상대방의 타워를 압박해서 상대방 몇명을 자신에게로 끌여들이거나 , cs 손실을 주기위해서 라인을 밀거나 하고 자신은 아군에게로 합류하는것을 말한다.
  7. 미니언
  8. 스킬 재사용 대기시간이 10% 감소하며, 초당 5와 최대 마나의 0.5%만큼의 마나 재생을 얻습니다. 지속시간 : 120초
  9. 갱킹이 올 것을 예상하고 적 챔피언이 도착하자 마자 팀과 합류하여 싸움에 이점을 가져오는 것
  10. 게임을 승리로 이끄는 능력
  11. 설치해두면 주위 시야가 팀에게 보여지는 소모성 아이템
  12. 게임 속에 나오는 수풀들
  13. 포탑, 에픽 몬스터, 챔피언과 전투 중이 아닐 때 5초당 최대 체력의 1/3/9% (1/6/11레벨) 만큼 체력이 회복되며  적 챔피언 또는 포탑을 일반 공격 및 온 힛 스킬로 공격 시 레벨에 따라 3초 동안 5 ~ 56의 고정 피해와 5% ~ 10%의 둔화를 입힙니다.  지속시간 : 120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