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Tiens/노미나 사크라

노란색으로 칠해진 부분이 노미나 사크라. ΙΥ 는 예수를, ΘΥ 는 하느님(하나님)을 각각 가리킨다. 바티칸 사본 요한 복음서 1장 부분. 4세기

노미나 사크라(라틴어: nomina sacra, 단수형 nomen sacrum)은 '거룩한 이름'이라는 의미를 갖는 라틴어 어휘로, 기독교의 성경 사본의 그리스어 필사본에서 발견되는 일부 명칭 또는 제목을 약자를 써서 줄여 표기한 부분을 의미하는 용어이다. 주로 원 단어를 구성하는 두 자 이상의 문자에 윗줄을 그어 표기한 형태를 띈다.

성서학자 브루스 메츠거(en)는 그의 저서에서, 그리스어 성경 파피루스에서 발견된 '하느님/하나님', '주님', '예수', '그리스도', '아들', '영', '다윗', '십자가', '어머니', '아버지', '이스라엘', '구세주', '인간', '예루살렘', '천국' 등 15종의 그리스어 단어를 약자로 표기한 노미나 사크라의 예를 소개하고 있다.[1] 이들 노미나 사크라는 3세기 이전의 그리스어 사본에서 발견되며, 예외적으로 '어머니'는 4세기 사본에서 발견된다.[2]

노미나 사크라는 그리스어 사본에서 뿐만 아니라 라틴어, 콥트어, 아르메니아어(파티브 기호가 부가됨), 고트어, 고 누비어, 키릴 문자 표기(티틀로 기호가 부가됨)에서도 관찰된다.

기원과 발전

편집

노미나 사크라는 현존하는 초기 기독교 문서들에서 일정 부분 관찰되며, 두루마기보다는 책 형태의 코덱스 사본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는 이들 표기가 대략 2세기경부터 사용되기 시작되었으며, 문서가 기록되었을 즈음에는 표기에 약어 표기를 사용하는 습관이 이미 정착되었음을 암시한다. 그러나 노미나 사크라를 언제 누가 처음으로 사용하였는지에 대하여는 명확하지 않다. 초기 형태는 노미나 디비나(nomina divina)라 불리는 표기를 들 수 있는데, 그리스어 단어로 '예수'(Ἰησοῦς), '그리스도'(Χριστός), '주님'(Κύριος), '하느님/하나님'(Θεός)의 네 단어, 혹은 '영혼'(Πνεῦμα)을 포함한 다섯 단어에 대하여 약어로 표기한 것을 지칭한다. 이후 성스러운 의미를 가졌다 간주되는 다른 단어들에 대해서도 축약 표기 습관이 적용되었다.[3]

노미나 사크라 체계가 보급이 되면서, 약어를 만드는 규칙으로 단어의 맨 첫자와 가급적 마지막 글자를 따서 쓰는 단축형(contracted form)이 주로 사용되었다. 한편 단축형 외에 시대적으로 앞선 몇가지 예에서는, 표기의 처음의 두자 또는 그 이상을 떼어 약자로 쓰는 경우(suspended form)도 발견된다. 묵시록이 기록된 파피루스 18번( 18)에서 예수 그리스도(Ἰησοῦς Χριστός)를 ΙΗ ΧΡ로 표기한 예를 들 수 있다. 첫자와 마지막 글자를 차용한 단축형 방식은, 대상 단어의 표기가 가능하므로 실용적으로 유리하다.

성서철학자들은 노미나 사크라의 기원에 관하여 몇가지 학설을 주장하고 있는데, 히브리어의 하느님의 이름 표기인 신명사문자(테트라그라마톤)에서처럼 성스러운 대상의 명칭을 줄여서 표기하는 유대인의 표기방식에서 영감을 받았으리라는 것이다. 첫자와 마지막자를 따오는 예는, 요한묵시록에서 예수가 스스로를 '시작이자 끝', '처음이자 마지막', '알파와 오메가'로 언급하는 부분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4] 노미나 사크라 위에 윗줄을 그어 묶는 방식은 그리스 숫자 표기 방식에서 왔으리라 여겨졌다. 예를 들어 예수를 상징하는 표기ΙΗ는 숫자 18을 의미하기도 한다.[5]

분명한 점 한가지는, 노미나 사크라의 이용이 순수하게 여백의 절약을 위한 실용적인 수단이라기보다는, 대상에 대한 높임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술이라는 점이다. 이는 훨씬 높은 빈도로 나오는 접속사류의 단어들에 대하여 약자의 사용 규칙이 정립되지 않았으며, 노미나 사크라 표기에는 넉넉한 공백이 함께 사용되었음을 통해 유추가능하다. 또한 초창기의 필경사들은 동일 단어의 일반형과 성스러운 표현형의 쓰임새(예: Πνεῦμα 를 일반적인 의미(영혼, 숨 등)로 볼 경우와 '성령'를 가리킬 경우)를 구분하여, 노미나 사크라 표기를 성스러운 표현에만 적용하였다. 한편 이후 시기에는 기계적으로 모든 단어에 대해 약어 표기가 적용되기도 한다.

그리스어의 노미나 사크라 목록

편집
의미  그리스어 주격 속격
하느님/하나님 Θεός ΘΣ ΘΥ
주님 Κύριος ΚΣ ΚΥ
예수 Ἰησοῦς ΙΣ ΙΥ
그리스도/메시아 Χριστός ΧΣ ΧΥ
아들 Υἱός ΥΣ ΥΥ
영혼/유령 Πνεῦμα ΠΝΑ ΠΝΣ
다윗 Δαυὶδ ΔΑΔ
십자가/화형 Σταυρός ΣΤΣ ΣΤΥ
어머니 Μήτηρ ΜΗΡ ΜΗΣ
하느님의 어머니/신을 낳은 자 Θεοτόκος ΘΚΣ ΘΚΥ
아버지 Πατήρ ΠΗΡ ΠΡΣ
이스라엘 Ἰσραήλ ΙΗΛ
구세주 Σωτήρ ΣΗΡ ΣΡΣ
인간 Ἄνθρωπος ΑΝΟΣ ΑΝΟΥ
예루살렘 Ἱερουσαλήμ ΙΛΗΜ
천국 Οὐρανός ΟΥΝΟΣ ΟΥΝΟΥ

노미나 사크라를 포함하는 신약성경 그리스어 사본 목록

편집

다음은 서력 300년 이전에 제조된 신약성경 그리스어 사본 가운데 노미나 사크라를 포함하고 있는 사본들의 목록이다.[6]

그리스어 사본 사본 제작년도 사용된 노미나 사크라
 1 (P. Oxy. 2)
~250년
ΙΥ ΙΣ ΧΥ ΥΥ ΚΥ ΠΝΣ
 4 (Suppl. Gr. 1120)
150–225년
ΘΣ ΘΥ ΚΥ ΚΣ ΠΝΙ ΠΝΟΣ ΠΝΑ ΧΣ ΙΥ ΙΣ
 5 (P. Oxy. 208 + 1781)
~250년
ΙΗΝ ΙΗΣ ΠΡ ΠΡΑ ΠΡΣ ΘΥ
 9 (P. Oxy. 402)
~250년
ΘΣ ΧΡΣ
 12 (P. Amherst. 3b)
~285
ΘΣ
 13 (P. Oxy. 657 + PSI 1292)
225–250년
ΘΣ ΘΝ ΘΥ ΘΩ ΙΣ ΙΝ ΙΥ ΚΣ ΚΥ
 15 (P. Oxy. 1008)
200–300년
ΚΩ ΚΥ ΧΥ ΑΝΩΝ ΑΝΩ ΠΝΑ ΘΝ ΚΜΟΥ
 16 (P. Oxy. 1009)
250–300년
ΘΥ ΙΥ ΧΩ
 17 (P. Oxy. 1078)
~300년
ΘΩ ΠΝΣ
 18 (P. Oxy. 1079)
250–300년
ΙΗ ΧΡ ΘΩ
 20 (P. Oxy. 1171)
200–250년
ΠΝΣ ΚΝ ΘΥ
 22 (P. Oxy. 1228)
200–250년
ΠΣ ΠΝΑ ΠΡΣ ΠΡΑ ΙΗΣ ΑΝΟΣ
 24 (P. Oxy. 1230)
~300년
ΠΝΑ ΘΥ
 27 (P. Oxy. 1395)
200–250년
ΘΥ ΚΩ
 28 (P. Oxy. 1596)
255–300년
ΙΣ ΙΝ
 29 (P. Oxy. 1597)
200–250년
ΘΣ ΘΝ
 30 (P. Oxy. 1598)
200–250년
ΚΥ ΚΝ ΘΩ ΙΗΥ
 32 (P. Rylands 5)
150–200년
ΘΥ
 35 (PSI 1)
~300년
ΚΣ ΚΥ
 37 (P. Mich. Inv. 1570)
~260년
ΚΕ ΙΗΣ ΠΝΑ ΙΗΣΥ
 38 (P. Mich. Inv. 1571)
~225년
ΧΡΝ ΠΝΑ ΚΥ ΙΗΝ ΙΗΥ ΠΝΤΑ
 39 (P. Oxy. 1780)
200–300년
ΠΗΡ ΠΡΑ ΙΗΣ
 40 (P. Heidelberg G. 645)
200–300년
ΘΣ ΘΥ ΘΝ ΙΥ ΧΩ ΧΥ
 45 (P. Chester Beatty I)
~250년
ΚΕ ΚΣ ΚΝ ΚΥ ΣΡΝΑΙ ΙΗ ΙΥ ΙΗΣ ΠΡ ΠΡΣ ΠΡΑ ΠΡΙ ΘΥ

ΘΝ ΘΩ ΘΣ ΠΝΙ ΠΝΣ ΠΝΑ ΥΝ ΥΕ ΥΣ ΥΩ ΣΡΝ ΧΡ

 46 (P. Chester Beatty II

+ P. Mich. Inv. 6238)

175–225
ΚΕ ΚΝ ΚΥ ΚΩ ΚΣ {{{1}}} ΧΡΩ ΧΡΥ ΧΡΝ ΧΝ ΧΣ ΧΩ ΧΥ ΧΡΣ ΙΗΥ ΙΗΝ ΙΗΣ ΘΩ ΘΥ ΘΝ ΘΣ

ΠΝΑ ΠΝΙ ΠΝΣ ΥΙΥ ΥΙΝ ΥΙΣ ΥΝ ΣΤΡΕΣ ΣΤΡΝ ΣΤΡΩ ΣΤΡΟΣ ΣΤΡΟΥ ΕΣΤΡΟΝ ΕΣΤΡΑΙ ΕΣΤΑΝ ΣΤΟΥ ΑΙΜΑ ΑΝΟΥ ΑΝΟΝ ΑΝΟΣ ΑΝΩΝ ΑΝΟΙΣ ΠΡΙ ΠΗΡ ΠΡΑ ΠΡΣ ΙΥ

 47 (P. Chester Beatty III)
200–300년
ΘΥ ΘΣ ΘΝ ΘΩ ΑΘΝ ΚΣ ΚΕ ΚΥ ΕΣΤΡΩ ΠΝΑ ΧΥ ΠΡΣ
 48 (PSI 1165)
200–300년
ΥΣ
 49 (P. Yale 415 + 531)
200–300년
ΚΩ ΘΥ ΘΣ ΙΥ ΠΝ ΧΣ ΧΥ ΧΩ
 50 (P. Yal 1543)
~300년
ΙΛΗΜ ΠΝΑ ΑΝΟΣ ΘΣ ΘΥ
 53 (P. Mich. inv. 6652)
~250년
ΠΡΣ ΙΗΣ ΠΕΡ ΚΝ
 64 (Gr. 17)
~150년
ΙΣ
 65 (PSI XIV 1373)
~250년
ΧΥ ΘΣ
 66 (P. Bodmer II +

Inv. Nr. 4274/4298

150~200년
ΚΣ ΚΥ ΚΕ ΘΣ ΘΝ ΘΥ ΘΩ ΙΣ ΙΝ ΙΥ ΧΣ ΧΝ ΧΥ ΥΣ ΥΝ ΥΩ ΠΝΑ ΠΝΙ ΠΝΣ

ΠΗΡ ΠΡΑ ΠΡΣ ΠΡΙ ΠΕΡ ΠΡΕΣ ΑΝΟΣ ΑΝΟΝ ΑΝΟΥ ΑΝΩΝ ΑΝΩ ΑΝΟΙΣ ΑΝΟΥΣ ΣΡΩ ΣΡΟΝ ΣΡΟΥ ΣΡΘΗ ΣΡΑΤΕ ΣΡΩΣΩ ΕΣΡΑΝ ΕΣΡΘΗ

 69 (P. Oxy. 2383)
~200년
ΙΗΝ
 70 (P. Oxy. 2384 + PSI Inv. CNR 419, 420)
250–300년
ΥΝ ΙΣ ΠΗΡ
 72 (P. Bodmer VII and VIII)
200–300년
ΙΥ ΙΗΥ ΙΗΝ ΧΡΥ ΧΡΝ ΧΡΣ ΧΡΩ ΘΥ ΘΣ ΘΝ ΘΩ ΠΡΣ ΠΑΡ ΠΤΡΑ ΠΡΙ ΠΝΣ

ΠΝΑ ΠΝΑΙ ΠΝΙ ΠΝΤΙ ΚΥ ΚΣ ΚΝ ΚΩ ΑΝΟΙ

 75 (P. Bodmer XIV and XV)
175–225년
ΙΣ ΙΗΣ ΙΥ ΙΗΥ ΙΝ ΙΗΝ ΘΣ ΘΝ ΘΥ ΘΩ ΚΣ ΚΝ ΚΥ ΚΩ ΚΕ ΧΣ ΧΝ ΧΥ

ΠΝΑ ΠΝΣ ΠΝΙ ΠΝΟΣ ΠΝΤΑ ΠΝΑΣΙ ΠΝΑΤΩΝ ΠΡΣ ΠΗΡ ΠΡΑ ΠΡΙ ΠΡΟΣ ΠΡ

ΥΣ ΥΝ ΥΥ ΙΗΛ ΙΛΗΜ ΣΡΟΝ ΣΤΡΟΝ ΣΡΩΘΗΝΑΙ

ΑΝΟΣ ΑΝΟΝ ΑΝΟΥ ΑΝΟΙ ΑΝΩΝ ΑΝΩ ΑΝΟΥΣ ΑΝΟΙΣ ΑΝΕ

 78 (P. Oxy 2684)
250–300년
ΚΝ ΙΗΝ ΙΗΝ ΧΡΝ
 90 (P. Oxy 3523)
150–200년
ΙΗΣ
 91 (P. Mil. Vogl. Inv. 1224 + P. Macquarie Inv. 360)
~250년
ΘΥ ΘΣ ΠΡΣ ΧΡΝ ΙΗΝ
 92 (P. Narmuthis 69.39a + 69.229a)
~300년
ΧΡΩ ΚΥ ΘΥ
 100 (P. Oxy 4449)
~300년
ΚΥ ΚΣ
 101 (P. Oxy 4401)
200–300년
ΥΣ ΠΝΑ ΠΝΙ
 106 (P. Oxy 4445)
200–250년
ΠΝΑ ΠΝΙ ΧΡΣ ΙΗΝ ΙΗΣ
 108 (P. Oxy 4447)
175–225년
ΙΗΣ ΙΗΝ
 110 (P. Oxy. 4494)
~300년
ΚΣ
 111 (P. Oxy 4495)
200–250년
ΙΗΥ
 113 (P. Oxy. 4497)
200–250년
ΠΝΙ
 114 (P. Oxy. 4498)
200–250년
ΘΣ
 115 (P. Oxy. 4499)
225–275
ΙΗΛ ΑΥΤΟΥ ΠΡΣ ΘΩ ΘΥ ΑΝΩΝ ΠΝΑ ΟΥΝΟΥ ΟΥΝΟΝ ΚΥ ΘΝ ΑΝΟΥ ΟΥΝΩ
 121 (P. Oxy. 4805)
~250년
ΙΣ ΜΗΙ
0162 (P. Oxy 847)
~300년
ΙΗΣ ΙΣ ΠΡΣ
0171 (PSI 2.124)
~300년
ΚΣ ΙΗΣ
0189 (P. Berlin 11765)
~200년
ΑΝΟΣ ΠΝΑ ΚΥ ΚΩ ΙΛΗΜ ΘΩ ΙΣΗΛ
0220 (MS 113)
~300년
ΚΝ ΙΥ ΙΝ ΧΥ ΘΥ

각주

편집
  1. Metzger, Bruce. 《Manuscripts of the Greek Bible》. 36-37쪽. 
  2. Text of the Earliest New Testament Greek Manuscripts - Philip Comfort and David Barrett (1999) pp.34-35
  3. S. D. Charlesworth, "Consensus standardization in the systematic approach to nomina sacra in second- and third-century gospel manuscripts", Aegyptus 86 (2006), pp. 37-68.
  4. Colin H. Roberts, Manuscript, Society, and Belief in Early Christian Egypt (1979), p. 37.
  5. Larry Hurtado, "The Origin of the Nomina Sacra: A Proposal", JBL 117 (1998), pp. 655-673.
  6. Text of the Earliest New Testament Greek Manuscripts - Philip Comfort and David Barrett (1999)

추가 읽기

편집
  • Don C. Barker, "P.Lond.Lit. 207 and the origin of the nomina sacra: a tentative proposal", Studia Humaniora Tartuensia 8.A.2, 2007, 1–14.
  • Philip Comfort and David Barrett. Text of the Earliest New Testament Greek Manuscripts (1999).
  • Philip Comfort, Encountering the Manuscripts: An Introduction to New Testament Paleography and Textual Criticism, Broadman & Holman Publishers, 2005, pp. 199–253.
  • Larry W. Hurtado, The Earliest Christian Artifacts: Manuscripts and Christian Origins, Cambridge 2006, pp. 95–134.
  • Bruce M. Metzger. Manuscripts of the Greek Bible (1981) ISBN 978-0195029246
  • A.H.R.E. Paap, Nomina Sacra in the Greek Papyri of the First Five Centuries, Papyrologica Lugduno-Batava VIII (Leiden 1959).
  • Ludwig Traube. Nomina Sacra. Versuch einer Geschichte der christlichen Kürzung, Munich 1907.

외부 링크

편집

[[분류:약자]] [[분류:기독교의 상징]] [[분류:기독교 용어]] [[분류:라틴어 낱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