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Woodward0526/연습장

기술 문해력

개념

편집
  1. -1 기술 문해력(technology literacy)이란 타분야에 정보기술을 이용하는 능력을 일컫는다.
   즉,1차적으로 정보기술을 습득하는 것이 아닌 자신이 필요한 영역에 필요한 부분의 정보기술을 사용하는 고차원적 능력이다. 
   따라서 분야를 융합하는데 중요한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1. -2 콜로라도 교육부(Colorado Department of Education)에서는 기술문해력을 다음과 같이 정의 하고 있다.
   기술문해력이란 다음과 같은 분야에 적절한 기술을 확실하게 사용하는 능력을 말한다.
  • 소통
  • 문제해결
  • 모든 과목의 영역에서 학습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보에 접근, 연계, 통합, 평가, 설계 그리고 창조하는 것.
  • 21세기에서 평생지식과 기술을 획득하는 것.

배경

편집

1990년대까지 대부분의 휴대전화는 주머니에 들어기기엔 너무 컸다. 1997년까지 DVD로 영화를 볼 수 없었다. 1998년까지 구글(Google)은 출범되지 않았다. 2003년까지만 해도 마이스페이스(Myspace)는 존재하지 않았으며 유튜브(Youtube)는 2년 뒤에나 시작되었다.
기술이 발전되면서, 기술문해력의 정의도 계속 바뀌어 왔다. 1980년대, 이것은 프로그램 코드 짜는 방법을 아는 것이었다. 1995년에는, 워드프로세싱(Wordprocessing)이나 스프레드시트(SpreadSheets) 같은 기본 도구들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아는 것이었다.
현재, 기술문해력의 정의는 더욱 풍부해지고 복잡해졌다. 왜냐하면 예전보다 훨씬 많은 정보들이 이용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그리고 정보를 찾고, 이용하고, 창조하는 도구는 급격하게 다양하고 정교해졌다.

적용 분야

편집

기술에 사용되는 제품이나 시스템을 조각조각 나눠서 개인적으로 탐색하며 공부하는데 있어서 시스템을 분류해 보는 것은 매우 유용하다. 시대에 따라 기술이 변함과 동시에 그 분류 또한 변하기 때문에 분류는 유연하게 이루어져야한다. 많은 분야에서 분류는 그 설계된 세계에 따라 다르게 묘사할 수 있다.

산업분야

편집
  1. -1의료기술(Medical Technologies)

질병이나 손상을 진단하고 처리하고 또한 예방하는 것과 연관된 기술

  1. -2농업과 그에 관련된 생명공학(Agriculture and Related Biotechnologies)

작물과 가축을 기르는데 필요한 음식, 사료, 직물, 연료 또는 다른 목적과 관련된 기술

  1. -3에너지와 동력기술(Energy and Power Technologies)

에너지 자원을 이용하고 에너지를 사용 가능한 동력으로 바꾸는 기술

  1. -4정보와 소통기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교육을 포함한 기술에서 모임,조작,분류, 저장 그리고 회복 가능한 정보와 관련된 기술

  1. -4운송기술(Transportation Technologies)

사람이나 물건이 한 장소에서 다른 곳으로 옮겨질 때 필요한 과정과 시스템에 관련된 기술

  1. -5제조기술(Manufacturing Technologies)

재료를 제품으로 만들기까지의 처리과정과 시스템에 관련된 기술

  1. -6건설기술(Construction Technologies)

건물, 길, 도로, 구조물을 건설하는 것과 관련된 기술

  1. -7사회기술(Society Technologies)

문화,사회,경제,정치효과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환경에서 사회적기술의 발전으로 이룰 수 있는 기술로서 역사분야에서 유력하게 사용될 수 있는 기술이다.

  1. -8디자인기술(Design Techonologies)

디자인공학에서 고정수리원의 역할을 하는 기술이다. 재탐색, 발전, 발명, 혁신을 할 수 있다.

교육분야

편집
배경
편집

기술 문해력은 현재 교육 분야에서 뜨거운 감자이다. 그러나 많은 교사와 학생들은 기술 문해력에 대해 어떻게 정의 내려야할지 몰라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을 부정할 수 없다. 그러나 쉽게 생각하면, 기술과 문해력이 각자 의미하는 바를 생각하고 개인이 생각하는 기술 문해력의 정의를 내릴 수 있다.

우선, 기술은 시간과 공간에 존재하는 변수이다. 한 때 슬레이트 칠판과 분필은 교육이 이루어지는 교실에서 가장 최신의 기술이였다. 그러나 오늘 날 LCD 프로젝터가 교실 한가운데에 자리잡고 있음을 알 수 있고, 교실 밖에서는 더욱이 측정할 수 없는 비율로 기술이 광범위하게 발전하고 있다.

다음으로, 문해력이란 읽고 쓸줄 아는 능력(ability)을 일 컫는다. 그러나 요즘에는 특정분야에 관한 지식과 능력(competence)으로까지 문해력의 의미가 확장되었다. 다른 식으로 표현하자면 기술문해력은 '기술적인 능력'을 말한다. 이로써 기술 문해력은 기술을 이해하고 평가하여 사용할 줄 아는 능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렇게 다른 두 개의 개념이 중첩하여 기술 문해력을 바라볼 때,기술문해력은 전문적인 기술을 손대기 보단 기초적 원리를 사용하는 능력을 말한다. 학교에서 학생들은 마크하는 교사들은 당연히 이 능력을 갖추고 있을 필요가 있고, 교사가 아니더라도 교육의 연결고리에 연관된 모든 이들은 학생들이 '정 기술을 이용하는 것에 대한 판단을 어떻게 내려야 하는지'에 대처하기 위해 기술문해력에 대해 이해하고 있어야한다.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교실에 있는 교육자들은 기술문해인이 되어야 한다. 만약 그들이 그렇지 않다면 그들은 주어진 새 기술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완전히 무시하는 자리에 위치하게 되기 때문이다. 모든 경제적, 비경제적 비용에 있어서, 기술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결정에 있어서 모든 열정적인 노력 없이는 학생들이 기술 문해력을 발휘할 기회를 잃을 것이다.

분류
편집

기술문해력은 학생들이 습득한 지식과 기술을 증명하는데 필요한 기술이다.
2007년, CDE는 학생을 위한 기술문해력 표준을 출시하였다. 이 표준은 국제 교육기관인 교육기술을 위한 국제 사회(International Society for Technology in Education’s:ISTE)의 표준을 살짝 수정한 것으로서 비판적사고와 문제해결 측면의 설계를 포함하고 있다.

  • 창조성과 혁신(Creativity and innovation)

학생들은 기술을 이용하여 창조적인 생각을 하고 지식을 구조화하며 혁신적인 제품과 제품의 처리과정을 발전시킨다.

  • 소통과 협동(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학생들은 디지텅 매체를 이용하여 소통하고 협동하여 개인들의 학습을 스스로 지원(support)하고 다른 사람이 학습하는데 기여한다.

  • 정보의 풍부함을 이용한 연구(Research and information fluency)

학생등은 자료를 모으고, 평가하고, 사용하는데 필요한 디지털 도구들을 이용한다.

  • 비판적 사고, 문제해결, 의사결정(Critical thinking, problem-solving and decision-making)

학생들은 적절한 디지털 도구와 자료를 이용하여 비판적 사고를 통해 계획을 세우고 연구를 실행하고, 프로젝트를 연구를 연계하고, 문제를 풀고, 이 과정들을 통해 형성된 의사를 결정한다.

  • 디지털시민권(Digital citizenship)

학생들은 기술과 연관된 사람, 문화, 사회 이슈를 이해하고 합법적인 일을 실행하며 도덕적인 행동을 한다.

  • 기술의 효력과 개념(Technology operations and concepts)

학생들은 기술의 개념을 이해하고 시스템의 작동원리를 이해하여 이를 증명한다.

교육 효과
편집

기술문해력이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학교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력이 있다. 바로 교사가 어떻게 교육하냐 그리고 학생이 어떻게 배우냐에 따라 기술문해력의 영향력도 달라진다. 교사가 기술문해력을 교육할 때 가져야할 태도가 있다. 교사는 학생들이 협동적인 분위기를 형성하도록 도와야하며 독단적인 수업 스타일을 피해야한다. 이를 시행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방침은 다음과 같다.

  • 교사는 부모에게 학생에 대하여 자주 질문하도록 한다.
  • 모든 강의에서 목표를 설정한다.
  • 학생들의 결과물에 예시를 부여한다.
  • 일년내내 과제에 대하여 코멘트를 매번 달아준다.
  • 다양한 사고를 위해 과목과 관련된 학습이 지원되는 사이트와 학생을 연결시켜준다.
  • 학생이 한 조사과제에 대하여 반드시 액션을 취해야한다.

접근법

편집

기술문해력의 정의 중 하나는 계속 발전해 왔고, 그 다음의 도전은 기술문해력에 접근하는 방법이다. 그 접근 기법은 방대한 정의에 달려있는데 거꾸로 보면, 구체적인 정의는 어떻게 기술문해력에 접근하냐에 달려있다고 할 수 있다. 기술문해력에 접근하는 목적은 언제나 두가지 이상이다. 개인의 일 또는 작업을 진보시키기 위해서 기술을 사용하기 위한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짜는 것이다. 그러나 두가지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절충안과 서로 대립되는 요소 사이의 균형이 필요하다.
제안하는 말은 이 것이다. "2가지 측면에서 기술문해력을 정의하라." 이 말은 국제 공학 아카데미에서 기술 문해력에 접근하기 위해 2006년 언급한 말이다. 또한 3차원공간에서도 기술 문해력에 접근할 필요가 있다. 즉, 기술적인 능력을 습득하려는 것이 아니라 이미 주어진 기술 지식을 비판적 사고와 의사결정을 하는데 이용하는 것이다. 결국, 기술문해력은 같은 기술을 그룹의 모든 사람이 똑같이 이용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기술을 학습하는데 있어서 자신이 어떤 기술이 필요한지 의사결정을 내릴 필요가 있다. 자신의 수준에서 발휘할 수 있는 기술문해력으로 작업에 기술을 얼만큼 이용할 수 있는지 측정할 줄 알아야 하고, 그 기술의 장점과 단점을 파악해야 한다. 다시 말하면, 기술문해력으로 다른 목적과 다른 필요로 다른 측면에서 기술을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다.

적용 사례

편집

후니다 킴(Hoonida Kim)

편집

파일:후니다김국민대학교 출신 ‘후니다 킴’은 조형을 전공한 ‘공기 조각가’이다. 공기 조각가란 녹음하거나 현장에서 얻은 소리를 이용하여 하나의 예술 작품을 만드는 사람을 말한다. 그는 소리공연이나 소리 전시를 하기위해 프로그래밍은 직접 배웠다. 전자 소리를 이용하여 코딩하고 악기를 만들거나 전자제품을 분해하여 소리의 원천이 되는 부분을 분석하여 소리를 바꿔서 공연, 전시를 하는데 사용한다. 즉, 후니다 킴은 정보기술을 공부하는 사람이 아니라 본인이 하는 일인 '예술'을 하기 위해서 기술을 사용하는 사람으로서 기술문해력을 발휘한다.

기술문해력의 시각화(Visualizing Technological Literacy)

편집

기술문해력을 이용하여 무엇인가를 3차원으로 시각화하는 작업은 기술문해력의 콘셉트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축에 따라 나누어진 공간에 그래프가 그려진 모습은 수학기술적으로 기술문해력의 큰 응용이라고 할 수 있다. 게다가 연속적인 그래프가 시각화되어 보여지므로서 그 연속체는 개인마다 다르게 보이므로 차원에 따라 기술 문해력을 통해 구현되는 그래프는 다양해진다. 그러나 현실에서 3차원 공간에 무엇인가를 구현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므로 심도 깊은 구현은 기술의 기초적인 특징을 알아야만 실행할 수 있다. 파일:그래프1
기술 문해력을 3차원에서 시각화 하는 것은 서로 연관되어 묶여있는 3개의 고리들을 보는 것과 같다. 지식에 의해 형성되는 기술 문해력의 수준에 따라 기술을 바라보는 특정한 측면 다르게 유도될 수 있다. 정확하게 말하면 아이디어는 기술을 어떻게 바라보냐에 따라 수 많은 방법으로 나타내어 질 수 있다. 파일:그래프2

바깥고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