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기호학

기호학 및 생물학의 분야


생물기호학( 그리스어 βίος bios, "생명" 및 σημειωτικός sēmeiōtikos, "기호 관찰자")은 언어 이전의 의미 형성, 생물학적 해석 과정, 기호 및 코드 의 생성 및 의사 소통 과정을 연구하는 기호학생물학 분야다.[1]

생물기호학은 생물학과 기호학의 발견을 통합하고 기호학 ( 의미 와 해석을 포함한 기호 과정)이 내재적이고 본질적인 특징 중 하나인 생명에 대한 과학적 관점의 패러다임적 전환을 제안한다.[2] 생물학의 규범적 관점에 도전하는 이 분야는 일반적으로 이론과 응용 생물기호학으로 나뉜다.

생물 기호학의 통찰력은 인간-동물 연구, 인간-식물 연구[3][4] 및 사이버 기호학을 포함한 인문학사회 과학에서도 채택되었다.[5]

연구 중인 기본 기호 유형에 따라 생물 기호학은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 식물 기호학은 세포 및 조직 수준에서 모든 유기체에서 발생한다. 식물 기호학에는 원핵생물 기호학, 정족수 감지 및 정족수 소광과 같은 박테리아 커뮤니티의 기호 매개 상호 작용이 포함된다.
  • 동물 기호학은 신경근육계를 가진 유기체에서 발생하며 인간의 기호 학적 행동에 대한 연구인 인간 기호학도 포함한다.

참고 문헌 편집

  1. Favareau, Donald (ed.) 2010. Essential Readings in Biosemiotics: Anthology and Commentary. (Biosemiotics 3.) Berlin: Springer.
  2. Alexandrov, Vladimir E. (2000). “Biology, Semiosis, and Cultural Difference in Lotman's Semiosphere”. 《Comparative Literature》 52 (4): 339–362. doi:10.2307/1771352. JSTOR 1771352. 2021년 5월 11일에 확인함. 'Biosemiotics.' This discipline focuses on the manifold possible connections between biology and semiotics, such as studying biological processes from a semiotic perspective and communication from a biological perspective, or searching for a way to theorize biological phenomena (Laubichler 'Introduction'). 
  3. Brentari, Carlo (2018년 12월 1일). “From the Hiatus Model to the Diffuse Discontinuities: A Turning Point in Human-Animal Studies”. 《Biosemiotics》 11 (3): 331–345. doi:10.1007/s12304-018-9329-8. ISSN 1875-1350. 2022년 1월 5일에 확인함. 
  4. Ryan, John Charles (2012). “Passive Flora? Reconsidering Nature's Agency through Human-Plant Studies (HPS)”. 《Societies》 2 (3): 101–121. doi:10.3390/soc2030101. 
  5. Hayles, N. Katherine (2019). “Can Computers Create Meanings? A Cyber/Bio/Semiotic Perspective”. 《Critical Inquiry》 (영어) 46 (1): 32–55. doi:10.1086/705303. ISSN 0093-18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