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열 위치 효과

서열 위치 효과(序列位置效果, serial-position effect)는 서열 안의 처음과 마지막 항목을 가장 잘 기억하고, 중간의 항목들을 잘 기억하지 못하는 기질을 말한다.[1] 이 용어는 헤르만 에빙하우스가 직접 연구를 수행하면서 만들어낸 용어이며 연구 목록 내의 항목 위치에 따라 재현 정확도가 다양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2] 임의의 순서의 항목 목록을 회상하라고 요청받을 때(자유 회상) 사람들은 목록의 마지막 것과 함께 회상을 시작하고 해당 항목들을 가장 잘 회상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를 최신 효과(recency effect)라고 한다. 더 이전의 목록 항목 중 최초의 일부 항목은 중간의 항목들보다 더 자주 회상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를 초두 효과(primacy effect)라고 한다.[3][4]

U자 모양의 서열 위치 곡선을 보이는 그래프. 서열 위치 효과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다.

초두효과를 제안한 한 가지 이유는 제시되는 초기 항목들이 장기 기억으로 가장 효율적으로 저장된다는 점으로, 이는 이것들을 처리하는 양이 더 큰 데 기인한다. (최초의 목록 항목은 스스로 반복이 가능하며, 2번째 것은 처음 것과 함께 반복되어야 하며 3번째는 첫 번째와 두 번째 항목과 함께 반복되어야 하는 식이다.) 초두 효과는 항목이 빠르게 제시될 때 감소되며 천천히 제시될 때 강화된다. (각 항목의 처리를 감소시키고 강화시키는 요인, 즉 영구적인 기억) 더 긴 표현 목록은 초두 효과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4]

영구적인 장기 기억을 형성하는 능력이 부족한 기억상실의 경우 초두 효과를 보이지 않으나 회상이 학습 직후 발생하는 경우 최신 효과를 보인다.[5] 알츠하이머병 환자들은 초두 효과 감소를 보이지만 회상 시 최신 효과를 나타내지는 못한다.[6]

같이 보기

편집

내용주

편집
  1. Coleman, Andrew (2006). 《Dictionary of Psychology (Second Ed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688쪽. 
  2. Ebbinghaus, Hermann (1913). 《On memory: A contribution to experimental psychology》. New York: Teachers College. 
  3. Deese and Kaufman (1957) Serial effects in recall of unorganized and sequentially organized verbal material, J Exp Psychol. 1957 Sep;54(3):180-7
  4. Murdock, Bennet (1962). “Serial Position Effect of Free Recall” (PDF).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64 (5): 482–488. doi:10.1037/h0045106. 2016년 12월 2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7월 14일에 확인함. 
  5. Carlesimo, Giovanni; G.A. Marfia; A. Loasses; C. Caltagirone (1996). “Recency effect in anterograde amneisa: Evidence for distinct memory stores underlying enhanced retrieval of terminal items in immediate and delayed recall paradigms”. 《Neuropsychologia》 34 (3): 177–184. doi:10.1016/0028-3932(95)00100-x. 
  6. Bayley, Peter J.; David P. Salmon; Mark W. Bondi; Barbara K. Bui; John Olichney; Dean C. Delis; Ronald G. Thomas; Leon J. Thai (March 2000). “Comparison of the serial-position effect in very mild Alzheimer's disease, mild Alzheimer's disease, and amnesia associated with electroconvulsive therapy”.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uropsychological Society》 6 (3): 290–298. doi:10.1017/S1355617700633040. 

각주

편집
  • Coluccia, E.; Gamboz, N.; Brandimonte, M. A. (2011). “Normative data for a battery of free recall, cued recall and recognition tests in the elderly Italian population”. 《Neurol Sci》 32: 1103–1114. doi:10.1007/s10072-011-0747-5. 
  • Frensch, P.A. (1994). “Composition during serial learning: a serial position effect”.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Learning, Memory, and Cognition》 20 (2): 423–443. doi:10.1037/0278-7393.20.2.423. 
  • Healy, A.F.; Havas, D.A.; Parkour, J.T. (2000). “Comparing serial position effects in semantic and episodic memory using reconstruction of order tasks”. 《Journal of Memory and Language》 42: 147–167. doi:10.1006/jmla.1999.2671. 
  • Howard, M. W.; Kahana, M. (1999). “Contextual Variability and Serial Position Effects in Free Recall”.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Learning, Memory & Cognition》 25 (4): 923–941. doi:10.1037/0278-7393.25.4.923. 
  • Kahana, M. J.; Howard, M. W.; Polyn, S. M. (2008). “Associative Retrieval Processes in Episodic Memory”. 《Psychology》. 
  • Kahana, M. J.; Howard, M. W.; Zaromb, F.; Wingfield, A. (2002). “Age dissociates recency and lag recency effects in free recall”.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28: 530–540. doi:10.1037/0278-7393.28.3.530. 

추가 문헌

편집
  • Liebermann, David A. Learning and memory: An integrative approach. Belmont, CA: Thomson/Wadsworth, 2004, ISBN 978-0-534-6197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