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금화초등학교

서울금화초등학교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천연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다. 1924년 죽첨공립보통학교로 개교했으며, 이름의 유래인 죽첨정(竹添町)은 초대 주 조선 일본 영사이면서 갑신정변에도 가담했던 다케조에 신이치로(竹添進一郞, たけぞえ しんいちろう, 1842년 4월 25일 ~ 1917년 3월 31일)에서 따온 것이다. 해당 지명은 광복 이후에 충정로로 지명이 변경되었으며, 현재 교명인 '금화'의 유래는 금화산(金華山)에서 따온 것이다.

서울금화초등학교
서울金華初等學校
Seoul Geumhwa Elementary School
개교1924년 4월 1일
설립형태공립
교장엄수경
국가대한민국 대한민국
위치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통일로 165 (천연동 13-1)
학생 수465명 (2022년 5월 1일)
교직원 수39명 (2022년 5월 1일)
상징영산홍(교화), 은행나무(교목)
관할관청서울특별시서부교육지원청
웹사이트서울금화초등학교 공식 홈페이지
Map

학교 연혁

편집
  • 1924년 4월 1일 죽첨공립보통학교(4년제 6학급) 개교설립인가 3월 7일(現 서대문구 충정로2가)
  • 1929년 8월 30일 현 위치로 이전
  • 1938년 4월 1일 경성죽첨공립심상소학교로 개칭[1]
  • 1941년 4월 1일 경성죽첨공립국민학교로 개칭[2]
  • 1946년 4월 1일 서울금화국민학교로 개명
  • 1976년 5월 17일 과학실 개설
  • 1984년 6월 30일 전교실 영상 방송시설 완료
  • 1986년 3월 1일 특수학급(2학급) 개설
  • 1996년 3월 1일 서울금화초등학교로 개칭[3]
  • 1999년 12월 9일 본관 개축공사 준공
  • 2000년 3월 1일 급식실 준공
  • 2000년 4월 20일 도서관 개관
  • 2004년 7월 14일 남관 과학실 현대화
  • 2005년 4월 4일 교재원 조성 및 교수학습 지원센터 설치
  • 2006년 11월 20일 옥상 자연학습장 설치
  • 2009년 2월 1일 영어 전용교실 준공
  • 2010년 3월 1일 신관 신축교사 준공
  • 2011년 2월 21일 교사 휴게실 설치 공사
  • 2011년 5월 17일 학교보안관실 설치
  • 2018년 4월 30일 본관 엘리베이터 설치
  • 2018년 7월 16일 창의융합형 과학실 구축
  • 2019년 2월 15일 제93회 졸업식(98명, 총 30685명)
  • 2020년 2월 14일 제94회 졸업식(110명, 총 30795명)
  • 2020년 3월 1일 제23대 엄수경 교장 취임
  • 2020년 4월 3일 미세먼지 신호등 설치
  • 2020년 4월 17일 체육관 안전문 설치
  • 2020년 5월 14일 학교환경 개선사업[4]
  • 2020년 6월 27일 학교놀이터 스토리보드 설치
  • 2020년 7월 6일 서울학교형 무선 인프라 구축 공사
  • 2020년 7월 22일 교실환경 개선사업
  • 2022년 9월 12일 도서관 개선

학교 동문

편집

학교 상징

편집
  • 교화(校花) - 영산홍 : 영산홍은 봉선화과에 속하는 꽃으로 품종이 아주 많고 꽃의 빛깔도 다양하여 봄 동산에서는 빼놓을 수 없는 꽃이다. 영산홍의 꽃말은 "첫사랑"이며 순결하고 아름다운 삶을 상징한다. 영산홍이 서로 다른 빛깔의 조화로 어울리는 것과 같이 금화어린이들은 자신의 숨어있는 자질을 계발하여 겨레와 나라를 위해 그 빛을 발하는 어린이가 되기를 바라는 의미에서 교화를 영산홍으로 선정하였다.
  • 교목(校木) - 은행나무 : 은행나무는 살아있는 화석으로 장수를 뜻하는 나무이다. 또한 잎의 모양이 부채모양으로 아름답고 가을철 노랗게 단풍이 들며 은행이 열리는 아름답고 실용성이 큰 나무이다. 금화 동산에서 자라는 어린이들 자라서 사회에 꼭 필요한 일꾼으로 커가길 바라는 마음에서 은행나무를 교목으로 선정하였다.

참고 자료

편집

외부 링크

편집

각주

편집
  1. 칙령 제103호 (1938년 3월 3일)
  2. 칙령 제148호 (국민학교령)(1941년 2월 28일)
  3. 대통령령 제5069호 (1995년 12월 29일)
  4. 필로티 천장 교체, 중앙현관 및 주차장 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