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연화사 칠성도

서울 연화사 칠성도(서울 蓮花寺 七星圖)는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회기동, 연화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이다. 2013년 3월 7일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제343호로 지정되었다.[1]

연화사 칠성도
(蓮花寺 七星圖)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유형문화재
종목유형문화재 (구)제343호
(2013년 3월 7일 지정)
수량1점
시대조선시대
위치
서울 연화사은(는) 대한민국 안에 위치해 있다
서울 연화사
서울 연화사
주소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회기동 109-1 연화사
좌표북위 37° 35′ 39″ 동경 127° 03′ 01″ / 북위 37.59417° 동경 127.05028°  / 37.59417; 127.05028
정보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지정 사유

편집

두 손을 포개어 金輪을 받쳐 들고 있는 熾盛光佛과 日·月光菩薩, 七星佛과 七元星君, 老人星과 三星(三台六星 중 삼성) 등으로 비교적 간단한 구성을 보이는 칠성도이며, 연화사에 봉안된 아미타불괘불도와 지장시왕도, 신중도, 천수천안관음보살도 등과 함께 1901년에 조성되어, 동일 유파 화승들 화풍을 살펴 볼 수 있는 그림으로서, 19~20세기 경기지역 화풍을 파악하는데 학술 자료로서의 가치가 있다.[1]

조사보고서

편집

두 손을 포개어 金輪을 받쳐 들고 있는 熾盛光佛과 日·月光菩 薩, 七星佛과 七元星君, 老人星과 三星(三台六星 중 삼성) 등으로 비교적 간단한 구성을 보이는 칠성도이다.[1]

솟아 오른 연화좌 위에 결가부좌하고 앉아 있는 자세의 치성광불은 양어깨를 다 덮은 通肩衣를 착용하였으며, 좌우 협시보살은 연화좌 위에 반가좌 형태로 앉아 본존불을 향하여 합장하고 있는데 머리의 관에 해와 달을 상징하는 붉은색 원과 흰색 원을 표현하였다.[1]

본존불 주위로 좌우 대칭되게 배치되어 있는 칠성불은 합장한 채 본존불 쪽으로 몸을 틀고 있으며, 칠원성군은 각기 홀을 들거나 합장한 채 본존불을 향하여 서 있다.[1]

19~20세기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활약하였던 漢谷 頓法이 수화원을 맡고 漢明 幻照, 斗三, 太湖, 昌湖 등이 동참하여 1901년(大韓 光武 5年)에 조성하였다.[1]

이 칠성도는 연화사에 봉안된 아미타불괘불도와 지장시왕도, 신중도, 천수천안관음보살도 등과 함께 1901년에 조성되어, 동일 유파 화승들 화풍을 살펴 볼 수 있는 그림으로서, 19~20세기 경기지역 화풍을 파악하는데 학술 자료로서의 가치가 있다.[1]

각주

편집
  1. 서울특별시고시 제2013-65호,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지정 고시》, 서울특별시장, 서울시보 제3162호, 61-70쪽, 2013-03-07

참고 자료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