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위 공제

위 공황제 탁발곽(魏 恭皇帝 拓跋廓), 537년 ~ 557년 4월 9일(음력 2월 25일))은 중국 남북조 시대 서위의 제3대 황제(재위: 554년 ~ 556년)이다. 원래 성명은 원곽(元廓)인데, 즉위한 뒤 탁발곽(拓跋廓)으로 성을 고쳤다. 서위 문제의 넷째 아들이다.

위 공제
魏 恭帝
송공(宋公)
재위 557년 2월 14일 ~ 557년 4월 9일
서위의 제3대 황제
재위 554년 3월 3일 ~ 557년 2월 14일
즉위식 공제(恭帝) 원년 1월 14일
(554년 3월 3일)
전임 폐제(廢帝)
후임 (서위 멸망)
제왕(齊王)
재위 548년 ~ 554년
이름
원곽(元廓)

탁발곽(拓跋廓)
시호 공황제(恭皇帝)
신상정보
출생일 대통(大統) 3년(537년)
사망일 북주 효민제(孝閔帝) 원년 2월 25일
(557년 4월 9일) (19 - 20세)
부친 문제(文帝) 원보거(元寶炬)
배우자 황후(皇后) 약간씨(若干氏)

생애편집

554년에 형인 폐제가 폐위된 뒤 우문태에 의해 옹립되었다. 즉위 후 폐제처럼 개원하지 않고 다만 원년이라고 함으로써 연호를 사용하지 않았다. 즉위한 뒤 원씨를 다시 복성인 탁발씨로 고쳤다.

556년에 우문태가 죽자 그 아들인 우문각이 뒤를 이었다. 오래지 않아 우문각의 사촌형인 우문호가 공제에게 우문각에게 제위를 선양하라고 했고, 공제는 우문각에게 선양한 뒤 퇴위했다.

557년에 우문각이 북주를 건국하고 천왕으로 즉위했다. 이어서 공제를 받들어 송공(宋公)에 봉했으나, 얼마 안가 사람을 시켜 공제를 죽였다.

기년편집

폐제 원년 2년 3년
서력
(西曆)
554년 555년 556년
간지
(干支)
갑술(甲戌) 을해(乙亥) 병자(丙子)

각주편집

전 임
폐제 원흠
제3대 서위의 황제
554년 ~ 557년
후 임
북주 효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