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하어
서하어(西夏語)는 티베트족계 탕구트족이 세운 서하에서 사용하던 언어로, 중국티베트어족 계열의 언어이다. 서하의 멸망과 더불어 현재는 사어가 되었다.
사용 국가 | 서하 |
---|---|
사멸 | 약 1502년 |
문자 | 서하 문자 |
언어 계통 | 중국티베트어족 서하어 |
언어 부호 | |
ISO 639-3 | txg 서하어
|
글로톨로그 | tang1334[1] |

음운 편집
양순음 | 치경음 | 경구개음 | 구개음 | |
---|---|---|---|---|
파열음 | *p | *t | *k *q | |
*b | *d | *ɡ *ɢ | ||
파찰음 | *č | |||
*ǰ | ||||
마찰음 | *s | *š | ||
비음 | *m | *n | *ñ | *ŋ *ɴ |
유음 | *l | |||
R음 | *r | |||
접근음 | *w | *y |
중설 | 후설 | ||
---|---|---|---|
고모음 | *i | *ɪ | *u |
중모음 | *ɛ | *ə | *ɔ |
저모음 | *a |
표기 체계 편집
1036년에는 서하 문자가 생겨났다. 중국 고전을 활발하게 옮기는 작업으로 인해 비교적 현존 자료가 넉넉한 편으로, 중국티베트어족에 가까운 언어 특성상 단음절, 성조어로서의 언어적 특징도 문자에 반영되었다.
이 글은 언어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 Hammarström, Harald; Forkel, Robert; Haspelmath, Martin; Bank, Sebastian, 편집. (2022). 〈Tangut〉. 《Glottolog 4.6》. Jena, Germany: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cience of Human H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