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 주류화
성 주류화(Gender mainstreaming)는 공공정책에 있어 어떤 부분에 있어서도 입법, 추진 및 모든 수준에 있어서 양성에 관련된 함의를 반영하는 것을 일컫는다. 양성 모두에 있어서 다양성을 중시하는 방법을 다방면에서 추구하고자 한다.[1]
성 주류화의 개념은 1985년 케냐 나이로비에서 열린 제3차 세계여성대회에서 처음 제창됐고 이후 국제연합 개발그룹(United Nations development community)에 반영됐다.[2] 공식적으로는 4차 세계여성대회(베이징) 때 주요 의제로 다뤄졌으며 베이징 행동강령(Beijing Platform for Action: BPoA)의 기반이 됐다
각주편집
- ↑ Booth, C. and Bennett, (2002) ‘Gender Mainstreaming in the European Union’, European Journal of Women’s Studies 9 (4): 430–46.
- ↑ "II. The Origins of Gender Mainstreaming in the EU Archived 2009년 3월 16일 - 웨이백 머신", Academy of European Law online
- ↑ UN Fourth World Conference on Women, Platform for Action, Women in Power and Decision-Making 189, Beijing: Sept. 1995.
- ↑ United Nations. "Report of the Economic and Social Council for 1997". A/52/3.18 September 1997.
외부 링크편집
- WomenWatch
- Women's Empowerment UNDP - 여성 자력화 및 양성평등
- Active work for Gender Equality[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SALAR's booklet ”Active work for Gender Equality – a challenge for municipalities and county counci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