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어 알고리즘

쇼어 알고리즘(Shor's algorithm)은 소인수 분해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는 양자 알고리즘이다. 수학자 피터 쇼어가 제안했다.[1] 쇼어 알고리즘을 사용하면 크기가 인 수를 소인수 분해할 때 의 시간과 의 저장공간이 필요하다. 쇼어는 이 업적으로 국제수학자회의에서 가우스상을 받았다.

이 알고리즘의 가장 중요한 점은 이것을 이용하면 공개 키 암호 방식을 쉽게 깰 수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RSA의 경우, 매우 큰 두 개의 소수를 곱한 값을 공개 열쇠 으로 사용한다. 이와 같은 방식이 안전한 이유는 을 빠른 시간 안에 효율적으로 소인수 분해하는 알고리즘이 지금까지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쇼어 알고리즘을 충분히 큰 수에 대해서 적용할 수 있는 기계가 만들어지면, 오늘날의 공개 키 암호 방식은 모두 무용지물이 된다. 이런 점에서 쇼어 알고리즘은 양자 컴퓨터킬러 애플리케이션(killer application)인 셈이다. 그래서 양자암호양자 후 암호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2001년IBM의 연구팀이 7개의 큐비트를 이용하여 15를 3과 5로 소인수 분해할 수 있는 양자 컴퓨터를 만들었다. 그러나 RSA 암호에서 실제로 사용하는 수백자리의 수를 소인수 분해하는 단계까지 이르기에는, 아직도 수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김용주. 양자 시대, 생각보다 빨리 온다. 전자신문. 2017년 6월 2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