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구리과
수구리과(Rhinidae)는 홍어목 또는 수구리목[1]에 속하는 가오리류의 일종이다. 대한민국에는 목탁수구리(Rhina ancylostoma)와 동수구리(Rhynchobatus djiddensis)가 관찰된 적이 있다.[2]
![]() | ||||||||||||||||
![]() 동수구리 (Rhynchobatus djiddensis) | ||||||||||||||||
생물 분류![]() | ||||||||||||||||
---|---|---|---|---|---|---|---|---|---|---|---|---|---|---|---|---|
| ||||||||||||||||
속 | ||||||||||||||||
|
분류편집
수구리과에는 현재 3속 10종이 존재하고 있으며, 목탁수구리속(Rhina)과 동수구리속(Rhynchobatus), 그리고 린코리나속(Rhynchorhina)이 포함되어 있다.[3] 조세프 넬슨(Joseph S. Nelson)은 목탁수구리를 수구리과의 유일종으로 분류하고 있는데, 형태학적 증거로는 지지를 받고 있지만 아직까지 분자생물학적 증거가 없다.[4] 수구리과는 오랫동안 홍어목으로 분류해왔지만 2012년 이후로 수구리과와 가래상어과, 그리고 톱가오리과를 수구리목(Rhinopristiformes)으로 함께 묶어야 한다는 주장에 힘이 실리고 있다.[1]
종류편집
참고 자료편집
- ↑ 가 나 Neil C. Aschliman, Mutsumi Nishida, Masaki Miya, Jun G. Inoue, Kerri M. Rosana, Gavin J.P. Naylord (2012년). “Body plan convergence in the evolution of skates and rays (Chondrichthyes: Batoidea).”.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 ↑ “수구리과(Rhinidae)”. 《국립수산과학원》. 2017년 8월 24일에 확인함.
- ↑ Last; White; de Carvalho; Séret; Stehmann; and Naylor, eds. (2016년). 《Rays of the World》.
- ↑ Nelson, J.S. 《Fish of the World (네 번째 개정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