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량지수
수량지수는 두 가지 상품을 하나로 더한 다음 나눠 평균적인 수치로 나타낸 것이다. 주로 생활 수준의 변화를 알아내기 위해 사용되며[1] 경제 선택의 판단 수단으로도 이용된다.[2]
수량지수는 가중치라는 값을 둬 각각 다른 기준을 두려고 하는데 어느 쪽에 가중치를 두느냐에 따라 라스파이레스수량지수와 파셰수량지수로 나뉜다. 라스파이레스수량지수는 과거 연도 즉 기준연도의 가격을 가중치로 사용하며 파셰수량지수는 현재 연도 즉 비교연도의 가격을 가중치로 사용하여 구해진다.[3] 라스파이레스수량지수가 1보다 작으면 현재의 생활수준이 과거보다 악화되었다고 판단하고 파셰수량지수가 1보다 크면 현재의 생활수준이 과거보다 개선되었다고 판단하는데 이것을 수량지수에 의한 생활수준의 평가라고 한다.[4]
수량지수에 의해 한 나라의 GDP 성장률을 재거나 두 나라 사이의 GDP를 비교한다고 할 때, 지수 자체가 갖는 성격으로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성장률을 알기 위해 수량지수를 사용하는 경우 어떤 상품의 가격이 과거에 더 높기 때문에 과거 가격에 가중치를 두는 라스페이레스수량지수에서 더 성장률이 높다고 분석하게 된다. 이를 지수의 문제라고 하며[5] 수량지수를 어떻게 구성해야 하는지는 경제학의 오랜 관심사이다.[6] 그럼에도 대다수의 OECD국가들은 국민계정을 바탕으로 매년 라스페이레스수량지수를 이용해 생활수준의 변화를 측정한다.[7]
1인당 GDP의 수량지수는 안정적이지 않다. 이는 찰스 넬슨과 찰스 플로저의 1982년 연구가 뒷받침한다. 예를 들어 인 웡 청과 멘지 친의 1996년 연구는 고소득 국가 29개 중 26개국에서 GDP의 수량지수가 가변적으로 움직임을 밝히고 있다. 에이드리언 플레싱과 잭 스트라우스가 OECD의 1인당 GDP의 패널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상적인 경향(trend stationary)을 띈다는 것을 발견하였고 데이비드 라패치가 이를 시험하기도 하며 GDP의 수량지수가 가변적임을 논하기도 했다.[8]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lee 2007, 147쪽
- ↑ Farlex 2012
- ↑ lee 2007, 148쪽
- ↑ lee 2007, 149쪽
- ↑ lee 2007, 151쪽
- ↑ Afriat 2012, 7쪽
- ↑ Carlo 2007, 24쪽
- ↑ Tsangyao 2007, 2쪽
참고자료
편집- 이준구 (2008년 7월 20일). 《미시경제학》. 법문사. 2018년 10월 1일에 확인함.
- “Volume Index”. 《Financial Dictionary》.
- Sidney, Afriat. 《THE INDEX NUMBER PROBLEM AND UTILITY CONSTRUCTION》 (PDF). 2012-02-16. 2018년 4월 18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월 7일에 확인함.
- Tsangyao, Chang (2009년 1월). “Is volume index of gdp per capita stationary in oecd countries? Panel stationary tests with structural breaks”. 《Economics Bulletin》 29 (2).
- Carlo, Milana (2009년 1월). “Solving the Index-Number Problem in a Historical Perspective” (PDF). 《Istituto di Studi e Analisi Economica》. 2018년 8월 27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월 6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