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
학습 과정에 있는 사람들에게 우리가 제공하는 가르침
수업(授業)은 교사가 학생에게 지식이나 기능을 가르쳐 주는 행위이며, 능력을 향상시키거나 가치관을 형성시키는 교육적인 활동을 의미한다.
수업의 본질과 목적
편집수업은 학생의 문화재 수득(文化財修得)을 통해서 그들의 인격형성을 조성하는 활동이다. 이 문화재 수득은 교사로부터 수여되는 것이며 학생들은 이것을 수용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이 '수여와 수용(Geben und Empfangen)'은 수업이란 교육활동의 본질적 성격이며, 모든 수업은 이것을 기점으로 하여 발전한다.
교육활동은 모두 궁극적으로는 학생의 인격형성을 지향하는 것이며, 그 중에서도 수업은 문화재의 수득과정을 통해서 인격의 기술적·정신적·도덕적 형성을 주요 임무로 한다. 이 임무를 더욱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 학생의 발단단계·도야단계에 따라서 수업의 형태는 여러 가지로 변화한다. 이 무한한 변화를 초래하는 요인은 한결같이 학생측에 있다.
명언
편집- 허리를 곧게 펴고, 팔다리를 가지런히 모으고, 세심히 주의를 기울이라.
인상을 쓰거나 온몸을 비틀거나 졸거나 친구하고 잡담을 해서는 안 된다(플루타르코스).
화장실
편집학교 수업시간에 보내주시는 선생님도 있지만 화장실간다고 거짓말하고 잘못해서 안 보내주는 선생님들도 존재한다. 만약 쉬는시간에 급하게 똥이 나와서 수업에 못간다면 허락을 기다리지 말고 일단 화장실 갔다와서 선생님한테 말을 한다. 말하지 않을 경우에도 일단 화장실 갔다온 뒤 꾸중을 듣는 것이다. 땡땡이가 진짜 생리현상 때문이었음을 알게 된다면 선생님도 이해해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