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 송광사 삼청교 및 우화각

순천 송광사 삼청교 및 우화각(順天 松廣寺 三淸橋 및 羽化閣)은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신평리, 송광사 대웅전으로 들어가는 통로인 다리(삼청교)와 그 위에 지은 건물(우화각)이다.1976년 9월 30일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59호로 지정되었다.

송광사삼청교및우화각
(松廣寺三淸橋및羽化閣)
대한민국 전라남도유형문화재
종목유형문화재 제59호
(1976년 9월 30일 지정)
수량1기 1동
관리송광사
주소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안길 100 (신평리)
정보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개요

편집

송광사 대웅전으로 들어가는 통로인 다리(삼청교)와 그 위에 지은 건물(우화각)이다.

삼청교는 일명 ‘능허교’라고도 한다. 19개의 네모난 돌로 무지개 모양을 만든 후, 양 옆에 다듬은 돌을 쌓아 올려 무게를 지탱하도록 하였다. 무지개 모양의 중심에는 여의주를 물고 있는 용머리돌이 나와 있다.조선 숙종 33년(1707) 다리를 만들었고, 그 뒤 60여년이 지난 영조 50년(1774)에 보수를 거쳤다.

삼청교 위에 지어놓은 우화각은 사람들의 통행을 돕고자 만든 것이다. 들어가는 입구는 옆면에서 볼때 지붕선이 여덟 팔(八)자와 비슷한 팔작지붕을 올렸고, 나가는 쪽의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지붕선이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을 올렸다. 이처럼 서로 다른 모양의 지붕을 하고 있는 것은 나가는 쪽의 지붕이 옆 건물과 가까이 닿아 공간이 부족했기 때문으로 본다.

비록 웅장한 모습은 아니나, 두 유물이 다리역할도 하면서 대웅전으로 들어가는 통로 역할도 하는 2중효과를 보이고 있다.

참고 문헌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