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펠라이오그리푸스과
스펠라이오그리푸스과(Spelaeogriphidae)는 낭하상목에 속하는 갑각류과의 하나로 10mm 이상 자라지 않는다. 스펠라이오그리푸스목(Spelaeogriphacea)의 유일한 과이다. 생태학적으로 알려진 사실이 많지 않다.[1]
스펠라이오그리푸스과 |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
문: | 절지동물문 | |
아문: | 갑각아문 | |
강: | 연갑강 | |
아강: | 진연갑아강 | |
상목: | 낭하상목 | |
목: | 스펠라이오그리푸스목 (Spelaeogriphacea) Gordon, 1957 | |
과: | 스펠라이오그리푸스과 (Spelaeogriphidae) Gordon, 1957 | |
속 | ||
|
기록 종은 겨우 4종뿐이며, 모두 지하에 사는 종이다. 3개 속 중에서, 포티코아라속(Potiicoara)은 브라질 마투그로수주의 동굴, 그리고 스펠라이오그리푸스속(Spelaeogriphus)은 남아프리카공화국의 테이블 산의 동굴에서만 발견되고 있으며, 망쿠르투속(Mangkurtu)은 오스트레일리아의 대수층에서 독립적으로 각각 발견된다.[1] 이처럼 널리 멀리 떨어져 분포하는 것은 이 분류군의 초기 기원을 암시하는 것으로, 적어도 2억년 전에 곤드와나 대륙 주변의 테티스 해에서 처음 나타난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1]
화석종 아카디오카리스 노바스코티카(Acadiocaris novascotica) 또한 스펠라이오그리푸스목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하고 있다.[2]
하위 분류
편집- 스펠라이오그리푸스목 (Spelaeogriphacea)
- 스펠라이오그리푸스과 (Spelaeogriphidae)
- 망쿠르투속 (Mangkurtu)
- Mangkurtu kutjarra
- Mangkurtu mityula
- 포티코아라속 (Potiicoara)
- Potiicoara brasiliensis
- 스펠라이오그리푸스속 (Spelaeogriphus)
- Spelaeogriphus lepidops
- 망쿠르투속 (Mangkurtu)
- 스펠라이오그리푸스과 (Spelaeogriphidae)
각주
편집- ↑ 가 나 다 D. Jaume (2008). “Global diversity of spelaeogriphaceans & thermosbaenaceans (Crustacea; Spelaeogriphacea & Thermosbaenacea) in freshwater”. 《Hydrobiologia》 595 (1): 219–224. doi:10.1007/s10750-007-9017-1.
- ↑ Shen Yan-bin, Rod S. Taylor & Frederick R. Schram (1998). “New spelaeogriphacean (Crustacea: Peracarida) from the Upper Jurassic of China”. 《Contributions to Zoology》 68 (1): 19–36. 2012년 10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6월 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이 글은 동물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