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을 달리는 소녀 (2006년 영화)
2006년 영화
(시간을 달리는 소녀 (애니메이션)에서 넘어옴)
《시간을 달리는 소녀》(時をかける少女 도키오 가케루 쇼조[*])는 쓰쓰이 야스타카가 1965년에 쓴 소설을 원작으로 한 일본의 극장 애니메이션이다. 원작의 약 20년 뒤를 다루고 있다.
![]() 時をかける少女 | |
장르 | SF, 연애, 드라마 |
---|---|
영화 | |
감독 | 호소다 마모루 |
제작 | 매드하우스 |
개봉일 | ![]() ![]() ![]() ![]() ![]() ![]() |
시간 | 98분 |
저작권 표기 | ⓒ 쓰쓰이 야스타카 가도카와 영화 주식회사 〈시간을 달리는 소녀〉제작위원회 |
틀 - 토론 |
![]() 時をかける少女 | |
---|---|
![]() 대한민국 개봉 포스터 | |
감독 | 호소다 마모루 |
각본 | 오쿠데라 사토코 |
제작 | 마루타 준고,이노우에 신이치로 |
원작 | 츠츠이 야스타카 |
출연 | 나카 리이사, 이시다 타쿠야 |
편집 | 니시야마 시게루 |
음악 | 요시다 키요시 |
국가 | 일본 |
줄거리편집
자신이 운이 좋은 편이라 믿는 명랑한 여고생 마코토. 방과 후 친구 치아키, 코스케와 곧잘 캐치볼을 하면서 논다. 그러던 어느 날 마코토는 우연히 타임리프를 경험한다. 자전거를 타고 가다 브레이크가 고장나 열차에 부딪혔지만, 멀쩡하게 살아 있는 자신을 발견한다. 되돌릴 수 없는 시간을 내버려 둔 채 마코토 자신만 과거로 돌아 온 것이다. 이후 마코토는 타임리프를 기회 때마다 쓰면서 여러 곤란한 상황을 피해가는데...
등장인물편집
- 등장인물명의 한글 표기는 대한민국 배급사의 표기를 따름.
- 곤노 마코토 (성우 - 나카 리이사)
- 도쿄 외곽 한 고등학교에 다니는 2학년 여고생. 학교 성적은 중간 아래. 일찍 일어나기 힘들어하며, 지각을 반복한다. 치아키와 고스케는 방과 후 캐치볼 등을 하면서 노는 격의없는 친구들. 어느 날 돌연 시간을 건너뛰는 '타임 리프'를 익힌다. 사용법에 익숙해지자, 여동생이 먹을 예정이었던 푸딩을 먼저 먹거나, 쪽지시험 내용을 미리 알고 만점을 받거나, 지각했던 날 다시 정상 등교하는 등 사소한 것에 타임 리프를 소비한다. 타임 리프 능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일정 거리를 달린 뒤 뛰어야 한다(준비 자세 없이도 발동될 때가 있다).
- 마미야 치아키 (성우 - 이시다 타쿠야)
- 마코토의 반 친구. 고교 2년 봄에 전학왔다. 수려한 용모로 여학생들에게 인기가 있다. 수학 성적은 매우 우수하지만 반면 간단한 한자를 읽지 못하는 언밸런스함을 보인다. 마코토, 고스케 세 명이서 방과 후 야구 놀이를 곧잘 한다. 세 명은 미묘한 밸런스로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지만, 치아키는 마코토를 의식하기 시작한다.
- 츠다 고스케 (성우 - 이타쿠라 미쓰타카)
- 마코토의 야구 친구. 운동과 공부 양쪽에 만능인 수재. 집은 병원을 하고 있으며 고스케도 의사를 목표로 하고 있다. 교내에서 고스케가 나머지 두 명과 어울리는 것은 이상한 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자원봉사부의 후배 후지타니 카호에게 고백받은 뒤로 세 명 사이 관계가 미묘하게 무너지기 시작한다.
- 요시야마 가즈코 (성우 - 하라 사치에)
- 마코토의 숙모. 원작 시간을 달리는 소녀의 히로인. 도쿄 국립 박물관 큐레이터로 일하고 있다. 30대 후반이지만 독신으로 속세와 떨어져 있는 듯한 분위기 때문인지 마코토는 그녀를 '마녀 아줌마'라고 부른다. 자신의 젊은 무렵을 떠올리게 하는 마코토에게 다양한 조언을 해 준다.
- 후지타니 카호 (성우 - 타니무라 미츠키)
- 자원봉사부 소속이며 하급생. 소심하고 수줍어하는 성격이지만, 과거 자원봉사부의 어떤 활동을 계기로 고스케에게 호의를 품고 있다. 열혈 급우 두 명이 있으며 그녀들에게 이끌려 고스케에게 고백하게 된다.
한국어 더빙 성우진편집
주제가편집
외부 링크편집
- (일본어) '시간을 달리는 소녀' 공식 페이지(일본 가도카와 쇼텐)
- (영어) Toki wo kakeru shôjo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 (영어) 시간을 달리는 소녀 – 로튼 토마토
- (한국어) 시간을 달리는 소녀 - 네이버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