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계자리 알파

시계자리 알파(Alpha Horologii)는 시계자리 방향에 있는 오렌지색 단독성[8]이다. 겉보기 밝기는 3.85로 맨눈으로 볼 수 있으며 별자리 내에서 가장 밝다.[3] 이 별에는 옛날부터 불리던 고유 명칭은 없다. 보데의 삽화에는 이 별이 시계추 부분에 놓여 있는 것으로 실려 있다.[9] 연주시찻값 28.36 밀리초각에 따르면 시계자리 알파는 지구로부터 약 115.0±0.5 광년 떨어져 있다. 이 별은 태양으로부터 초당 21.6 킬로미터 속도로 멀어지고 있다.[5]

시계자리 알파
Alpha Horologii
명칭
바이어 명명법 시계자리 알파 (α Hor)[1]
밝은 별 목록 HR 1326[1]
헨리 드레이퍼 목록 HD 26967[1]
스미소니언 천문대 항성목록 SAO 216710[1]
소천성표 CD−42° 1425[1]
히파르코스 목록 HIP 19747[1]
다른 이름 NLTT 12841, HIC 19747, UBV 4140, IRAS 04123-4225, GC 5121[1]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
별자리 시계자리
적경(α) 04h 14m 00.11445s[2]
적위(δ) −42° 17′ 39.7232″[2]
겉보기등급(m) +3.853[3]
절대등급(M) +1.08[4]
위치천문학
시선속도 +21.6±0.3 km/s[5]
적경 고유운동 +42.0±0.11 mas/yr[2]
적위 고유운동 −203.55±0.12 mas/yr[2]
연주시차 28.36 ± 0.12 밀리초각[2]
성질
광도 37.61 L[6]
분광형 K2 III[7]
U-B 색지수 +1.013[3]
B-V 색지수 +1.097[3]
추가 사항
질량 1.55 M[4]
표면온도 5,028 K[6]
중원소 함량 (Fe/H) -0.02[4]
항성 목록

겉보기등급순 · 절대등급순
거리순 · 질량순 · 반지름순

시계자리 알파는 분광형 K의 거성으로, 중심부의 헬륨을 태워 탄소산소로 변환시키는 과정에 있다. 다른 거성들과는 달리 시계자리 알파는 매우 안정적이고 조용하다. 항성의 지름은 태양의 약 11 배로 과거 주계열이었을 시절 알파의 모습은 시리우스포말하우트와 비슷한 A형 주계열성이었을 것이다.[10][11] 알파별의 질량은 태양의 약 1.55 배이며[4] 광구에서의 유효온도는 5028 켈빈으로 이 온도에서 알파별은 태양의 약 38 배[6]의 에너지를 복사하고 있다.[6]

대한민국에서는 초겨울에 남쪽 지평선 위 조각칼자리에리다누스자리 사이에서 알파별을 관측할 수 있다.[12]

각주

편집
  1. “Alpha Horologii”. 《SIMBAD》.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6년 3월 17일에 확인함. 
  2. van Leeuwen, F.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arXiv:0708.1752.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3. Cousins, A. W. J. (1973), “Revised zero points and UBV photometry of stars in the Harvard E and F regions”, 《Memoir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77: 223–236, Bibcode:1973MmRAS..77..223C. 
  4. Liu, Y. J.; Zhao, G.; Shi, J. R.; Pietrzyński, G.; Gieren, W. (2007). “The abundances of nearby red clump giant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82 (2): 553–66. Bibcode:2007MNRAS.382..553L. doi:10.1111/j.1365-2966.2007.11852.x. 
  5. de Bruijne, J. H. J.; Eilers, A.-C. (October 2012), “Radial velocities for the HIPPARCOS-Gaia Hundred-Thousand-Proper-Motion project”, 《Astronomy & Astrophysics》 546: 14, arXiv:1208.3048, Bibcode:2012A&A...546A..61D, doi:10.1051/0004-6361/201219219, A61. 
  6. McDonald, I.; Zijlstra, A. A.; Boyer, M. L. (2012). “Fundamental Parameters and Infrared Excesses of Hipparcos Star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27 (1): 343–57. arXiv:1208.2037. Bibcode:2012MNRAS.427..343M. doi:10.1111/j.1365-2966.2012.21873.x. 
  7. Gray, R. O.; 외. (July 2006), “Contributions to the Nearby Stars (NStars) Project: Spectroscopy of Stars Earlier than M0 within 40 parsecs: The Northern Sample I”, 《The Astronomical Journal》 132 (1): 161–170, arXiv:astro-ph/0603770, Bibcode:2006AJ....132..161G, doi:10.1086/504637. 
  8. Eggleton, P. P.; Tokovinin, A. A. (September 2008), “A catalogue of multiplicity among bright stellar system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89 (2): 869–879, arXiv:0806.2878, Bibcode:2008MNRAS.389..869E, doi:10.1111/j.1365-2966.2008.13596.x. 
  9. Ian Ridpath. “Horologium Pendulum Clock” (영어). STAR TALES. 2009년 4월 21일에 확인함. 
  10. Kaler, Jim. “Alpha Horologii”. 《James Kaler's Stars》. 2019년 9월 20일에 확인함. 
  11. Universe Today. “Horologium” (영어). 2009년 4월 21일에 확인함. 
  12. 박승철. “화려함 뒤에 숨겨진 별자리들”. 동아 사이언스. 2005년 4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4월 21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