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매거진 2580
《시사매거진 2580》은 사회의 부조리와 비리에 대한 고발과 시사 현안에 대한 탐사보도를 위주로 하는 MBC TV의 시사 프로그램이다.
![]() ![]() News Magazine 2580 | |
장르 | 탐사보도·취재 |
---|---|
방송 국가 | ![]() |
방송 채널 | MBC TV |
방송 기간 | 1994년 2월 27일 ~ 2017년 8월 13일 |
방송 시간 | 역대 방송시간 참조 |
방송 분량 | 역대 방송분량 참조 |
방송 횟수 | 1044부작 |
기획 | 박성준(시사제작2부장) |
프로듀서 | 차주혁, 권희진 |
제작자 | MBC 시사교양본부 |
출연자 | 본문 참조 |
닫는 곡 | 김창영의 2580[1] |
음성 | 1채널 모노 사운드 |
자막 | 청각 장애인들을 위한 자막 방송 |
HD 방송 여부 | HD 제작 · 방송 |
후편 | 탐사기획 스트레이트 |
외부 링크 | 시사매거진 2580 공식 홈페이지 |
기획 의도편집
매주 3개의 아이템을 제작하여 보도한다. 프로그램 제목의 2580은 이 프로그램의 제보 전화번호의 끝자리 번호에서 따왔다.
방송 시간편집
방송 채널 | 방송 기간 | 방송 시간 | 방송 분량 |
---|---|---|---|
MBC TV | 1994년 2월 27일 ~ 1995년 10월 15일 | 매주 일요일 밤 9시 40분 ~ 10시 30분 | 50분 |
1996년 10월 27일 ~ 1998년 4월 12일 | |||
1995년 10월 22일 ~ 1996년 1월 14일 | 매주 일요일 밤 10시 40분 ~ 11시 30분 | ||
2004년 10월 10일 ~ 2005년 10월 9일 | |||
2006년 1월 15일 ~ 2006년 12월 17일 | |||
1996년 1월 21일 ~ 1996년 10월 20일 | 매주 일요일 밤 9시 40분 ~ 10시 40분 | 1시간 | |
2005년 10월 23일 ~ 2006년 1월 8일 | 매주 일요일 밤 10시 50분 ~ 11시 40분 | 50분 | |
2007년 1월 7일 ~ 2008년 5월 25일 | |||
2008년 3월 23일 | 일요일 밤 11시 ~ 11시 50분 | 50분 | |
1998년 4월 19일 ~ 2000년 10월 29일 | 매주 일요일 밤 9시 50분 ~ 10시 35분 | 45분 | |
2000년 11월 5일 ~ 2003년 4월 27일 | 매주 일요일 밤 9시 45분 ~ 10시 35분 | 50분 | |
2003년 5월 4일 ~ 2004년 10월 3일 | 매주 일요일 밤 9시 45분 ~ 10시 40분 | 55분 | |
2008년 6월 1일 ~ 2009년 8월 30일 | |||
2009년 9월 6일 ~ 2010년 10월 31일 | 매주 일요일 밤 10시 45분 ~ 11시 40분 | ||
2010년 11월 7일 ~ 2017년 8월 13일 | 매주 일요일 밤 11시 10분 ~ 12시 5분 |
방영 목록편집
시사매거진 2580의 에피소드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제작진편집
- 기획 : 박성준(시사제작2부장)
- 취재데스크 : 차주혁, 권희진(차장)
- 취재기자 : 김시현, 강나림, 노경진, 김정환, 정영훈, 정성기, 김성우, 안형준, 유재광, 박범수, 김수영, 홍수선, 권순표, 윤도한, 조상휘, 김종화, 임흥식, 정일윤, 고대석, 안성일, 신용진, 성경섭, 김동섭, 김경중, 이우호, 정경수, 김상수, 배대윤, 송기원, 김상철, 정관웅, 이장석, 최일구, 윤영무, 이효동, 이연재, 조동엽, 유상하, 차경호, 김장겸, 성장경, 최용익, 김원태, 지윤태, 이상현, 김주태, 이성주, 김동욱, 박성제, 전동건, 이성일, 박주린, 박찬정, 최창영, 신경민, 조동엽, 민경의, 이진희, 이진호, 이호인, 손관승, 임태성, 김효엽, 조창호, 김석진, 윤용철, 민병우, 박성호, 전영배, 이주훈, 허무호, 노재필, 이정신, 박충희, 김병헌, 장미일, 성지영, 홍은주, 김승환, 최창규, 김현경, 박장호, 윤병채, 여홍규, 홍기백, 허유신, 강민구, 홍상원, 이태원, 고주룡, 양찬승, 서민수, 김재용, 배선영, 임영서, 조문기, 이세옥, 이주승, 최혁재, 박재훈, 박태경, 박영회, 현영준, 이재훈, 오정환, 조승원, 김대경, 김대근, 홍순관, 김혜성, 김연국, 정연국, 김은혜, 신강균, 김경태, 김정호, 오해정, 김필국, 도인태, 박상규, 박성호, 금기종, 김주만, 전영우, 고현승, 윤용철, 박승진, 김연석, 강명일, 박민주, 왕종명, 정승혜, 이진숙, 연보흠, 최형문, 김세용, 김소영, 이동애, 이언주, 현원섭, 신기원, 문소현, 박용찬, 박상권, 지영은, 홍은주, 이상호, 박진주, 김재경, 공윤선, 양효걸, 김세의, 양윤경, 양효경, 백승우, 문호철, 허지은, 조윤정, 조효정, 박종욱, 박새암, 조의명, 한수연, 이지수, 황의준
연혁편집
- 1994년 2월 27일 첫방송
- 1994년 7월 10일 김일성 사망 관련 방송에 따른 결방
- 2000년 7월 23일 300회 특집
- 2002년 8월 18일 400회 특집
- 2004년 9월 12일 500회 특집
- 2006년 11월 19일 600회 특집
- 2009년 5월 10일 700회 특집
- 2011년 7월 31일 800회 특집
- 2012년 1월 15일 ~ 2012년 8월 19일 문화방송 파업으로 인해 결방
- 2013년 4월 28일 이탈리아 페사로 월드컵 리듬체조 선수권 대회 손연재 곤봉, 리본 중계방송에 다른 결방
- 2013년 7월 7일 아시아나 항공기 추락사고 관련 뉴스특보로 인해 결방
- 2014년 3월 9일 20주년 특집
- 2014년 4월 20일 세월호 침몰 사고 특집 편성
- 2014년 5월 4일 브라질 월드컵 스페셜 꿈을 그리다 편성에 다른 결방
- 2014년 6월 1일 900회 특집
- 2016년 7월 31일 1000회 특집
- 2017년 8월 13일 문화방송 파업으로 인해 방송 재개
- 2020년 1월 30일, 2월 24일 섹션TV 연예통신 자리에 특별판이라는 파일럿 프로그램으로 부활되었으며, 1부는 기존과 다르게 대전, 전북, 광주, 제주 등은 자체방송 관계로 인해 시청할 수 없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2016년 12월25일 방송분 (1015회)은 월간윤종신 2016년 12월호 그래도 크리스마스가 삽입된 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