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험입자(試驗粒子, 테스트 파티클, test particle)는 이론물리학에서 그 물리적 성질(예컨대 질량, 전하, 크기 등)들 중 연구대상인 성질을 제외한 나머지 것들은 무시할 수 있는 이상적 입자이다. 시험입자 개념은 문제를 단순화하고 물리적 현상에 대한 좋은 근사를 제공한다. 물리적 과정을 컴퓨터 시뮬레이션할 때도 사용된다.

고전역학

편집

시험입자를 적용한 가장 간단한 예는 뉴턴의 만유인력의 법칙이다. 어떤 두 질량    사이의 중력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이때   는 각 입자의 공간에서의 위치를 나타낸다.

 [1]

두 질량 중 한 쪽이 다른 한 쪽보다 월등히 클 경우( ), 두 질량 중 작은 쪽은 큰 쪽에 의해 생성된 중력장 안에서 움직이게 될 것이라 추측할 수 있다. 큰 쪽은 가속되지 않는다. 중력장은 다음과 같이 정의되고

 

이때  은 두 물체 사이의 거리이다. 작은 질량의 운동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제한되어

 

오로지 하나의 변수  에 의해 결정된다. 이리 되면 그 해를 보다 쉽게 계산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많은 실용적 문제에서 좋은 근사를 제공한다. 예컨대 인공위성의 궤도를 계산할 경우, 인공위성의 질량은 지구의 질량과 비교하면 너무 작아서 무시할 수 있다.

일반상대론

편집

중력 계량 이론, 특히 일반상대론에서는 질량이 너무 작아서 주위 중력장을 눈에 띄게 교란시킬 수 없는 시험입자가 가정된다.

플라스마 역학 및 동전기학

편집

전자기장 시험입자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그 전하질량이다. 이 상황에서 시험입자는 흔히 시험전하(test charge)라고 부른다.

전기장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전기장에 시험전하  를 곱하면 전기장이 시험전하에 가하는 전기력을 얻게 된다. 전기력과 전기장이 모두 벡터량임에 주목. 때문에 양의 시험전하는 전기장 방향으로의 힘을 받게 되는 것이다.

자기장에서는 시험전하의 행동이 로런츠 힘에 의한 특수상대론 효과로 결정된다. 이 경우, 양의 시험전하는 당신에게 가까워지는 방향의 자기장에 수직해 움직일 때는 시계 방향으로 휘게 되고, 당신에게서 멀어지는 방향의 자기장에 수직해 움직일때는 반시계 방향으로 휘게 된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Herbert Goldstein (1980). 《Classical Mechanics, 2nd Ed.》. Addison-Wesley. 5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