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탁통치 오보사건

신탁통치 오보사건(信託統治誤報事件)은 모스크바 삼상회의가 끝난 1945년 12월 27일, 동아일보가 "소련이 신탁통치를 주장하고 미국은 한국의 즉시 독립을 주장한다"는 내용의 잘못된 보도를 내보낸 사건이다. 이 오보로 인하여 한반도에서는 찬탁파와 반탁파의 갈등이 폭발하게 되었으며, 오보의 영향은 한반도 분단으로까지 이어지게 되었다.

1945년 12월 27일동아일보에 실린 1면 기사. 기사 내용에는 '외상회의에 논의된 조선독립문제- 소련은 신탁통치주장, 소련의 구실은 38선 분할 점령, 미국은 즉시독립주장'이라 쓰여있다.
같은 12월 27일에 조선일보와 서울신문도 동아일보와 같은 내용의 기사를 내보냈다.

이 사건의 맥락을 정확하게 파악하려면 당시 찬탁과 반탁의 정치적 상황을 잘 이해하여야 하며, 당시 신탁은 임시조선민주정부 수립을 목적으로 한 후견통치로 찬성은 통일론자(좌익)이었고 분단주의자(우익)은 반대를 하고 있는 상황이었다. 사실 신탁통치안은 미국이 제시 하였으며 소련은 조선에 대한 직접통치 보다 계급혁명을 통한 사회주의적 유대감을 중요시 하였다.

동아일보의 오보라는 기사는 사실은 미국의 UP 및 AP 통신 등이 타전한 뉴스를 받아 쓴 것으로[1], 같은 날 신조선보(新朝鮮報)[2], 중앙신문(中央新聞)[3] 및 조선일보와 서울신문[4][5] 등 다른 신문들도 같은 내용의 기사를 실었으므로 동아일보만의 고의적인 오보는 아닐수 있으나 신탁통치가 38선 중심의 분할점령이라는 인식을 심어주어 국민들에게 반소 반공의 분위기를 조성하려는 의도를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신탁통치를 초기에 식민지 연장으로 받아들인 좌우 세력은 반탁을 주장하였으나, 좌익은 1945년 말까지 반탁을 주장하다가 신탁통치가 후견통치라는 것과 분단을 막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임을 인식하고 1946.01.02일 신탁통치 총체적 지지를 선언하였다. 이후 우익은 반탁 고수, 좌익은 찬탁으로 선회하여 신탁통치에 대해 좌우가 반대입장을 취하게 되었던 것이다.

외부 링크

편집

각주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