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리센

규소의 동소체

실리센(영어: Silicene)은 규소동소체로, 그래핀과 비슷한 육각구조의 이차원 물질이다.

얇은 박위에서 성장한 실리센의 첫 번째 층(4×4)과 두 번째 층(3×3-β)의 STM 이미지[1]

역사

편집

1994년부터 이론가들에 의해 실리센의 존재와 그 성질이 예측되었음에도 불구하고, [2][3][4] 실리센의 관한 예측에 맞는 규소 구조는 2010년 처음 발견되었다. [5][6]

STM을 이용해 과학자들은 110Ag111Ag의 단일 결정에 흡착된 자기 조립 실리센 나노리본과 실리센 시트를 원자해상도에서 연구하였다. 그 이미지는 그래핀과 비슷한 육각형 벌집 구조였지만, 육각형과 비슷한 표면에서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7] 밀도범함수 이론 계산에 의하면, 표면에서 규소 원자들이 작은 굴곡을 따라 그래핀과 같은 벌집 구조로 형성된다고 한다.

그래핀과의 공통점과 차이점

편집

띠틈

편집

성질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Sone, Junki; Yamagami, Tsuyoshi; Nakatsuji, Kan; Hirayama, Hiroyuki (2014). “Epitaxial growth of silicene on ultra-thin Ag(111) films”. 《New J. Phys.》 16 (9): 095004. doi:10.1088/1367-2630/16/9/095004. 
  2. Takeda, K.; Shiraishi, K. (1994). “Theoretical possibility of stage corrugation in Si and Ge analogs of graphite”. 《Physical Review B》 50 (20): 14916. doi:10.1103/PhysRevB.50.14916. 
  3. Guzmán-Verri, G.; Lew Yan Voon, L. (2007). “Electronic structure of silicon-based nanostructures”. 《Physical Review B》 76 (7). doi:10.1103/PhysRevB.76.075131. 
  4. Cahangirov, S.; Topsakal, M.; Aktürk, E.; Şahin, H.; Ciraci, S. (2009). “Two- and One-Dimensional Honeycomb Structures of Silicon and Germanium”. 《Physical Review Letters》 102 (23). doi:10.1103/PhysRevLett.102.236804. 
  5. Aufray, B.; Kara, A.; Vizzini, S. B.; Oughaddou, H.; LéAndri, C.; Ealet, B.; Le Lay, G. (2010). “Graphene-like silicon nanoribbons on Ag(110): A possible formation of silicene”. 《Applied Physics Letters》 96 (18): 183102. doi:10.1063/1.3419932. 
  6. Lalmi, B.; Oughaddou, H.; Enriquez, H.; Kara, A.; Vizzini, S. B.; Ealet, B. N.; Aufray, B. (2010). “Epitaxial growth of a silicene sheet”. 《Applied Physics Letters》 97 (22): 223109. doi:10.1063/1.3524215. 
  7. Lay, G. Le; Padova, P. De; Resta, A.; Bruhn, T.; Vogt, P. (2012년 1월 1일). “Epitaxial silicene: can it be strongly strained?”. 《Journal of Physics D: Applied Physics》 (영어) 45 (39): 392001. doi:10.1088/0022-3727/45/39/392001. ISSN 0022-3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