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륙
쌍륙(雙六)은 두 사람이 말 열두 개씩 가지고 노는 한국의 민속놀이이다. 고려 시대부터 유행했으리라 여겨지며, 오늘날 안동 지방에서 행해진다. 또한 남자뿐만 아니라 여자도 즐긴 놀이이다.
쌍륙에 쓰이는 도구는 말 스물네 개(1인당 12개)와 주사위 두 개 그리고 말판이다. 이때 말판은 따로 만들 수도 있고, 장기판을 쓰기도 한다.

신윤복의 풍속화에 등장하는 쌍륙 놀이 모습
규칙편집
주사위 두 개를 굴려 나온 사위대로 말을 앞으로 보낸다.
원래는 자기 말밭에서 모든 말이 벗어나면 이겼으나, 후대에 가면 상대의 궁을 점령하면 이기도록 바뀌었다.
기타편집
같이 보기편집
참고 자료편집
- 강명관 (2004년 1월 5일). 〈투전 노름에 날새는 줄 몰랐다 | 도박〉. 《조선의 뒷골목 풍경》 초 12쇄판. 서울: 푸른역사. ISBN 89-87787-74-5.
|장=
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18) (도움말)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이 글은 한국 문화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