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나톨리아인

아나톨리아인(Anatolian people)은 오늘날 튀르키예아나톨리아 반도에 존재했던 인도유럽인 집단으로,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는 아나톨리아어파를 사용했다.[1] 아나톨리아인들은 개별 인도유럽족의 기원을 제공한 원시 인도유럽 공동체에서 분리된 최초의 인도유럽인 중 하나였기 때문에 이 민족은 가장 오래된 인도유럽어족 집단 중 하나이자 가장 고풍스러운 민족 중 하나였다.[2][1]

역사 편집

기원 편집

 
데이비드 W. 안토니말, 바퀴, 그리고 언어에 설명된 인도-유럽 이주
 
지도 1: 2천년기의 아나톨리아인 기원전; 파란색: 루위아인, 노란색: 히타이트인, 빨간색: 팔라인.

아나톨리아인들은 동쪽으로 이주한 원시 토하라인과 함께 유라시아 대초원에서 나온 최초의 알려진 인도유럽 이민자들의 물결을 구성했다.[3] 그들은 BC 3000년경에 북쪽에서 발칸반도캅카스를 거쳐 아나톨리아에 도착했을 가능성이 높다.[1][4][5] 이 운동은 아직 고고학적으로 측정되지 않았다.[5][6] 그들은 마차를 가지고 있었지만 인도유럽인들이 전쟁을 위해 전차를 사용하는 법을 배우기 전에 이주했을 것이다.[3][7] 히타이트어의 농업 용어를 다른 인도유럽어족 하위 집단과 비교하면 아나톨리아인들이 공통 농업 명명법이 확립되기 전에 다른 인도유럽인들으로부터 분리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그들이 공통의 길을 통해 결속력 있는 민족으로서 근동에 들어왔음을 시사한다.[5]

아나톨리아인들은 지역 선주민들이 이미 도시를 세웠고, 글을 읽을 줄 아는 관료제를 세웠으며, 왕국과 왕궁 숭배를 확립한 지역에 들어온 침입자였다.[2] 일단 그들이 이 지역에 들어오자 지역 주민들, 특히 해티인의 문화는 그들에게 언어적, 정치적, 종교적으로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5] 크리스토퍼 벡위스는 아나톨리아인들이 다른 인도유럽인 집단으로부터 맞서기 위해 해티인들에 의해 고용된 후 처음에 아나톨리아에서 발판을 마련했다고 주장한다.[6]

청동기 시대 편집

 
지도 2: 주요 정착지가 있는 아나톨리아 / 소아시아 (기원전 1200년경)의 후기 청동기 시대 지역.
 
히타이트 제국의 수도인 하투샤의 스핑크스 관문 입구.

아나톨리아인들의 초기 언어 및 역사적 증명은 기원전 19세기 카네쉬에서 아시리아 상업 문서에 언급된 이름이다.[6][8] 카네쉬는 당시 아시리아와 아나톨리아 전쟁 국가 간의 무역을 감독하는 아시리아 상인망의 중심이었다. 이것은 확실히 도시에 거주하는 아나톨리아인의 힘을 증가시켰다.[2]

히타이트는 아나톨리아인들 중에서 가장 잘 알려진 민족이다. 히타이트인들은 원래 카네쉬의 수도를 따서 스스로를 네쉬인으로 불렀고, 히타이트인들은 그 후 해티인의 수도인 하투샤를 점령했다. 그 후 히타이트어는 점차 아나톨리아에서 우세한 언어로서 해티어를 대체했다.[1] 기원전 17세기에 히타이트는 아나톨리아의 여러 독립적인 해티 왕국들을 통합하여 중동 제국을 건설하기 시작했다.[2] 그들은 무르실리 1세바빌론약탈하고 아시리아 도시들을 점령했으며 고대 세계 최대의 병거 전투인 카데시 전투에서 이집트 제국과 맞서 싸웠다.[2] 그들의 제국은 기원전 12세기 후기 청동기 시대의 붕괴와 함께 사라졌다. 히타이트어는 히타이트 지배층의 언어였기 때문에 제국과 함께 사라졌다.[2]

또 다른 아나톨리아 집단으로는 초기 청동기 시대에 남서부 아나톨리아로 이주한 루위아인이 있었다.[9] 루위아어는 히타이트어와 달리 해티어에서 차용한 단어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처음에는 서부 아나톨리아에서 사용되었음을 나타낸다.[2] 루위아인들은 넓은 지역에 거주했으며 그들의 언어는 히타이트 제국의 붕괴 이후에 사용되었다.[2]

 
기원전 8세기 루위아인의 신히타이트 국가 카르케미시의 통치자 야리리와 카마니(그 이름에도 불구하고, 신히타이트는 히타이트가 아닌 압도적으로 루위아인들로 이루어져 있었다).

가장 잘 알려지지 않은 아나톨리아인 집단은 아나톨리아 북부의 팔라 지역에 거주하는 팔라인들이었다.[9] 이 지역은 아마도 이전에 해티인들이 거주했을 것이다. 팔라인들은 기원전 15세기에 카스카족의 침략과 함께 사라졌을 가능성이 있다.[10]

철기 시대 편집

 
지도 3: 그리스-로마 시대의 아나톨리아 / 소아시아. 고전적 지역과 주요 정착지(기원전 200년경).

청동기 시대가 무너진 후 신히타이트의 여러 소왕국들이 기원전 8세기까지 살아남았다. 이후 철기 시대에는 리키아인, 리디아인, 카리아인, 피시디아인 등이 아나톨리아어를 사용했다. 이 언어는 기원전 3세기 헬레니즘 시대에 대부분 멸종되었지만, 일부 잔재가 늦게까지 생존했을 수도 있는데, 이사우리아어는 고대 후기까지 살아남았을 수 있으며 장례식 비문은 서기 5세기까지 기록되었다.

편집

아나톨리아인들의 더 잘 알려진 법률판례법으로 공식화된 히타이트 법이었다. 이 법은 주제에 따라 그룹으로 구성되었다(8개의 주요 그룹). 히타이트 법은 사형에 대한 혐오를 보여주는데, 이는 강제 노동하는 노예가 심각한 범죄에 대한 일반적인 형벌이지만, 일부 심각한 범죄의 경우에는 사형이 적용되었다는 것에서 확인할 수 있다.

각주 편집

  1. Mallory 1997, 12–16쪽
  2. Anthony 2007, 43–48쪽
  3. Beckwith 2009, 32쪽
  4. Hock & Joseph 1996, 520–521쪽
  5. “Anatolian languages”.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2018년 7월 2일에 확인함. 
  6. Beckwith 2009, 37–39쪽
  7. Anthony 2007, 64–65쪽
  8. Fortson, IV 2011, 48쪽
  9. “Anatolia: The rise and fall of the Hittites”.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2018년 7월 3일에 확인함. 
  10. Ramat, Anna Giacalone; Ramat, Paolo (2015). 《The Indo-European Languages》. Routledge. 172쪽. ISBN 978-1134921874. The Palaic peoples were very quickly overwhelmed by the invasions of the Kaskas, a non-IE people from the East, who swept them away and for centuries kept attacking the Hittite kingdom 

참고 문헌 편집

추가 자료 편집

  • Lazaridis, Iosif; 외. (August 2022). “The genetic history of the Southern Arc: A bridge between West Asia and Europe”. 《Science377 (6609). doi:10.1126/science.abm42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