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인슈타인 십자가
아인슈타인 십자가(영어: Einstein Cross, Q2237+030 또는 QSO 2237+0305)는 후크라의 렌즈라고 불리는 은하 ZW 2237+030의 중심부 바로 뒤에 위치한 중력 렌즈 효과를 받는 퀘이사다. 강한 중력 렌즈 효과로 인해 동일한 먼 퀘이사의 네 개의 상이 전경 은하의 중앙에 나타난다(중심부에 하나가 더 있으나 너무 흐려 보이지 않는다).[1][2] 이 시스템은 1985년 존 후크라와 동료 연구진이 발견했는데, 당시에는 서로 다른 적색 편이를 바탕으로 은하 뒤에 퀘이사가 있다는 사실만을 검출했을 뿐 퀘이사의 네 개의 개별 상은 분해하지 못했다.[3]
아인슈타인 십자가 | |
![]() 아인슈타인의 십자가의 모습. | |
위치 | |
---|---|
별자리 | 페가수스자리 |
적경 | 22h 40m 30.3s |
적위 | +3° 21′ 30.3″ |
은하좌표 | 071.7991-46.1086 |
물리적 성질 | |
시선 속도 | 227,230km/s |
거리 | 8,000,000,000광년(2,400,000,000파섹) |
형태 | LeQ |
규모 | |
크기 | 0'.870 X 0'.338 |
광학적 성질 | |
겉보기등급 | +16.78 |
기타 성질 | |
위성 은하 수 | 4 |
명칭 | LEDA 69457, Z 378-15 |
메시에 천체 목록 NGC 천체 목록 |
중력렌즈 효과를 받는 광원이 흔히 아인슈타인 고리 형태로 나타나지만, 렌즈 역할을 하는 은하의 길쭉한 형태와 퀘이사가 중심에서 벗어나 있어 상들이 특이한 십자가 모양을 이루게 된다.[4]
상세 정보
편집퀘이사의 적색편이는 지구로부터 약 80억 광년 거리에 위치함을 나타내며, 렌즈 역할을 하는 은하는 4억 광년 거리에 있다. 전경 은하의 겉보기 크기는 0.87 × 0.34각분이며,[7] 중심부의 십자가의 겉보기 크기는 단 1.6 × 1.6각초에 불과하다.
아인슈타인 십자는 페가수스자리의 적경 22시 40분 30.3초, 적위 +3도 21분 31초에서 찾을 수 있다.
아마추어 천문가들도 망원경을 사용하여 십자의 일부를 관측할 수 있다. 그러나 매우 어두운 하늘과 지름 18인치(46cm) 이상의 반사경을 가진 망원경이 필요하다.[8]
개별 상들은 A부터 D까지 표시되며(예: QSO 2237+0305 A), 렌즈 역할을 하는 은하는 때때로 QSO 2237+0305 G로 지칭된다.
갤러리
편집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NASA and ESA (1990년 9월 13일). “The Gravitational Lens G2237 + 0305”. 《HubbleSite》. 2005년 12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6년 7월 25일에 확인함.
- ↑ Drakeford, Jason; Corum, Jonathan; Overbye, Dennis (2015년 3월 5일). “Einstein's Telescope - video (02:32)”. 《The New York Times》. 2015년 12월 27일에 확인함.
- ↑ Huchra, J.; 외. (1985). “2237 + 0305: A new and unusual gravitational lens”. 《Astronomical Journal》 90: 691–696. Bibcode:1985AJ.....90..691H. doi:10.1086/113777.
- ↑ “How does gravitational lensing account for Einstein's Cross?”. 《physics.stackexchange.com》. 2016년 6월 26일에 확인함.
- ↑ Instituto de Astrofísica de Canarias. “A new Einstein cross is discovered”. 《phys.org》 (미국 영어). 2019년 11월 13일에 확인함.
- ↑ Bettoni, Daniela; 외. (2019). “A New Einstein Cross Gravitational Lens of a Lyman-break Galaxy”. 《Astrophysical Review Letters》 873 (2): L14. arXiv:1902.10964. Bibcode:2019ApJ...873L..14B. doi:10.3847/2041-8213/ab0aeb.
- ↑ “LEDA 69457”. 《SIMBAD》.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7년 2월 12일에 확인함.
- ↑ Crinklaw, Greg. “Focus on Einstein's Cross”. 2013년 6월 29일에 확인함.
- ↑ “Cosmic lenses support finding on faster than expected expansion of the Universe”. 《www.spacetelescope.org》. 2017년 1월 27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