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경공 (여말선초)

안경공(安景恭, 1347년 ~ 1421년 1월 10일)은 고려조선 초의 문신이다. 본관은 순흥(順興), (字)는 손보(遜甫)이다. 안종원(安宗源)의 3남이다.

생애 편집

1365년(공민왕 14) 성균시(成均試)에 합격하고, 1372년(공민왕 21) 음보(蔭補)로 산원(散員)이 되었다.

이듬해 낭장(郎將)·사헌규정(司憲糾正)으로 뛰어올랐다가, 1376년(우왕 2) 의영고부사(義盈庫副使)로 재직 중 동진사(同進士) 10위로 문과에 급제했다.

이후 전리좌랑(典理佐郞), 전법좌랑(典法佐郞), 사헌지평(司憲持平) 등을 거쳤다가[1], 1382년(우왕 8) 경상도안렴사(慶尙道按廉使)로 재직 중 합주(陜州)[2]의 사노(私奴)들이 검대장군(劍大將軍)·초군장군(抄軍將軍)·산군장군(散軍將軍)을 칭하고 무리를 모아 난을 일으키자, 군사를 보내 이를 진압했다.[3]

1390년(공양왕 2) 판서(判書)로 재직 중 성석연(成石珚)과 함께 정몽주(鄭夢周)를 탄핵하다 좌천되기도 했으나[4], 이듬해 예문관제학(藝文館提學)이 되었다.

1392년(공양왕 4) 4월 좌부대언(左副代言), 6월 좌대언(左代言)을 거쳐[5], 7월 조선 개국에 동참했다.

같은 해 중추원도승지(中樞院都承旨)에 임명되고 익대개국공신(翊戴開國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이듬해 2월 대사헌(大司憲)·도평의사사사(都評議使司使)·보문각학사(寶文閣學士)로 승진했다.[1]

9월 도관찰출척사(都觀察黜陟使) 제도가 회복되자 전라도도관찰사(全羅道都觀察使)로 나갔으며[6], 이후 흥녕군(興寧君)에 봉해졌다.

1406년(태종 6) 판공안부사(判恭安府事), 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 1410년(태종 10) 유후(留後), 1416년(태종 16) 흥녕부원군(興寧府院君)·집현전대제학(集賢殿大提學)을 거쳤으며, 1421년(세종 3) 향년 75세로 졸했다.

시호는 양도(良度)이다.[1]

가족 관계 편집

  • 증조 - 안석(安碩)[7] : 문과에 급제했으나 벼슬하지 않음, 증(贈) 밀직제학(密直提學)
    • 조부 - 안축(安軸, 1282년 ~ 1348년) : 도첨의찬성사(都僉議贊成事)·흥녕부원군(興寧府院君)·영예문관사(領藝文館事), 문정공(文貞公)
      • 아버지 - 안종원(安宗源, 1325년 ~ 1394년) : 판문하부사(判門下府事)·집현전태학사(集賢殿太學士), 문간공(文簡公)
      • 어머니 - 우상시(右常侍) 김휘남(金輝南)의 딸[8]
        • 형 - 안중온(安仲溫, ? ~ 1384년) : 초명 안경온(安景溫), 밀직제학(密直提學)ㆍ집현관제학(集賢館提學)ㆍ상호군(上護軍)
        • 형 - 안경량(安景良, ? ~ 1398년) : 예문관춘추관학사(藝文春秋館學士)
        • 동생 - 안경검(安景儉) : 공조전서(工曹典書)
        • 부인 - 진현관대제학(進賢館大提學)·오천군(烏川君), 문정공(文貞公) 정사도(鄭思道, 1318년 ~ 1379년)의 차녀[9]
          • 아들 - 안순(安純, 1371년 ~ 1440년) : 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수문전대제학(修文殿大提學), 정숙공(靖肅公)

각주 편집

  1. 『안경공 묘지명』
  2. 지금의 경남 합천
  3. 『고려사』 「신우전」
  4. 『고려사』 「김사형전」
  5. 『고려사』 「공양왕세가」
  6. 『태조실록』
  7. 『안축 묘지명』
  8. 『안종원 묘비명』
  9. 『정사도 묘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