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발로포사우루스

알발로포사우루스('흰 볏 도마뱀'이라는 뜻)는 백악기 전기 일본에 살았던 조반류에 속하는 각룡류 공룡이다. 1997년에 요시노리 코바야시가 일본 중부의 이시카와현에 있는 하쿠 산의 쿠와지마 층에서 발견한 것으로 2009년에 보고되었다.[1] 완모식표본인 SBEI 176 은 한 개체였던 것으로 보이는 불완전한 두개골 일부와 왼쪽 아래턱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식종A. yamaguchiorum이다. 속명은 "희다"는 의미의 라틴어 알부스 (albus) 와 "볏"이라는 의미의 그리스어 로포스 (λόϕος lophos)에서 온 것으로 눈으로 덮여 있는 하쿠 산의 정상을 가리키는 것이다. 종명은 이곳에서 많은 화석을 발견하고 처리한 이치오 야마구치와 미키코 야마구치를 기리는 것이다.

알발로포사우루스
화석 범위:
백악기 전기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파충강
아강: 이궁아강
하강: 지배파충하강
상목: 공룡상목
목: 조반목
(미분류): 신조반류
아목: 각각아목
하목: 각룡하목
속: 알발로포사우루스속(Albalophosaurus)
종: 알발로포사우루스 야마구치오룸
학명
Albalophosuarus yamaguchiorum
Ohashi & Barrett, 2009
알발로포사우루스 이름의 기원이 된 하쿠 산의 전경.

표준화석을 포함하고 있는 해성층이 없어서 알발로포사우루스의 화석이 발견된 지층의 정확한 연대는 알려지지 않았다.[2] 하지만 쿠와지마 층은 백악기 전기에 형성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위아래 지층의 연대를 바탕으로 추정해 보자면 베리아절 이후, 바렘절 이전에 형성된 것 같다.[3][4] 더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쿠와지마 층의 연대는 발랑쟁절에서 오트리브절 사이인 것으로 보이는데 정확한 연대는 여전히 불확실하다.[5]

계통발생 편집

알발로포사우루스는 보고되면서 수행된 계통발생학적 분석에서 원시적인 각룡류로 분류되긴 했으나 완모식표본에서는 각룡류의 파생공유형질 중 애매한 특징 하나만을 볼 수 있고, 각룡류를 정의하는 분명한 파생공유형질들 중 어느 것도 찾아볼 수 없다. 다른 특징들, 예를 들면 이빨의 형태를 보면 조각류와 관계가 있을 수도 있다. 따라서 원 논문에서 속을 보고한 저자들은 알발로포사우루스를 각각류에 포함되는 분류불명(incertae sedis)의 속으로 보고 각룡류로 간주하지는 않았다.[1] 한과 동료들은 2012년에 알발로포사우루스가 미크로파키케팔로사우루스, 인롱, 스테노펠릭스, 그리고 차오양사우루스보다는 분화된 각룡류이지만 프시타코사우루스 및 더 분화된 다른 각룡류들보다는 원시적이라고 보았다.[6]

참고 문헌 편집

  1. Ohashi, T.; Barrett, P. M. (2009). “A new ornithischian dinosaur from the Lower Cretaceous Kuwajima Formation of Japan”.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29 (3): 748–757. doi:10.1671/039.029.0306. 
  2. Matsumoto, T.; Obata, I.; Tashiro, M.; Ohta, Y.; Tamura, M.; Matsukawa, M.; Tanaka, H. (1982). “Correlation of marine and non-marine formations in the Cretaceous of Japan”. 《Fossils》 31: 1–26. 
  3. Sato, T.; Hachiya, K.; Mizuno, Y. (2003). “Latest Jurassic-Early Cretaceous ammonites from the Tetori Group in Shokawa, Gifu Prefecture”. Bulletin of the Mizunami Fossil Museum 30: 151–167. 
  4. Isaji, S. (1993). “Nippononaia ryosekiana (Bivalvia, Mollusca) from the Tetori Group in central Japan”. Bulletin of the National Science Museum, Series C (Geology and Paleontology) 19: 65–71. 
  5. Fujita, M. (2003). “Geological age and correlation of the vertebrate-bearing horizons in the Tetori Group”. Memoir of the Fukui Prefectural Dinosaur Museum 2: 3–14. 
  6. Han, Feng-Lu; Paul M. Barrett; Richard J. Butler; Xing Xu (2012). “Postcranial anatomy of Jeholosaurus shangyuanensis (Dinosauria, Ornithischia) from the Lower Cretaceous Yixian Formation of China.”.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32 (6): 1370–1395. doi:10.1080/02724634.2012.6943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