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르콥스키 효과

야르콥스키 효과(영어: Yarkovsky effect)는 소행성태양으로부터 흡수한 에너지를 한 방향으로만 방출하면 반대 방향으로 소행성이 밀려난다는 이론이다.

야르콥스키 효과:
  • 1. 소행성 표면의 복사선
  • 2. 회전하는 소행성의 순행 운동
  • 2.1 "오후"의 위치
  • 3. 소행성의 궤도
  • 4. 태양의 복사선

일반적으로 우주 공간을 떠다니는 소행성은 회전을 한다. 폴란드인[1]야르콥스키(Ivan Yarkovsky)는 이 회전 때문에 소행성 표면에서 열이 방출되는 형태에 차이가 나타난다고 지적했다. 이 차이는 소행성을 가속시키는 효과가 있고, 이 효과가 오래 누적되면 태양계 주위를 도는 궤도가 변할 수 있다.

회전하는 소행성에는 밤이었다가 낮으로 변하는 '동틀 녘 반구(morning hemisphere)'와 낮이었다가 밤으로 변하는 '해 질 녘 반구(afternoon/evening hemisphere)'가 생긴다. 해 질 녘 반구는 동틀 녘 반구보다 더 따뜻하다. 따라서 더 많은 열을 방출한다. 열은 광자의 형태로 나오며, 광자는 운동량을 지닌다. 그래서 오랜시간 동안 방출되는 열에 대한 반작용으로 소행성의 궤도가 변하게 된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Beekman, George (2005). “The nearly forgotten scientist Ivan Osipovich Yarkovsky”. 《Journal of the British Astronomical Association》 115 (4): 207.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