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휘상

동사가 내포한 상적 의미

문법에서 어휘상(語彙相, lexical aspect) 또는 동작류(動作類, aktionsarten)는 의 하나로, 어휘 자체가 내포하고 있는 상적 의미이다. 어휘상은 문법상과 함께 상을 이루며[1], 시제와 어울려 문장의 의미를 구성한다.

하나의 동사는 단 하나의 어휘상으로 분류되는 것이 아니라, 결합하는 논항에 따라 둘 이상의 어휘상을 갖는다. 이때 동사구 전체가 갖는 어휘상의 의미를 그 동사의 상황유형(狀況類型, situation type)이라고 한다.[2] 이 관점에 따르면 하나의 동사는 여러 개의 상황유형을 가질 수 있다.

분류 기준 편집

미국의 언어학자 제노 벤들러(Zeno Vendler)는 동사가 나타내는 사건이나 상태[주 1]의 양상에 따라 동사를 분류하는 세 개의 기준을 제안하였다. 우선 동사가 기술하는 사태에 자연스러운 끝점(final point)이 존재하는지의 여부(telic / atelic)로 동사를 구분하여, 자연스러운 끝점이 존재하는 상황을 기술하는 동사는 종결성(終決性, telos)을 갖는다고 하였다. 다음으로 사태에 시폭(time span)이 존재하는지의 여부(durative / non-durative)로 동사를 구분하여, 시폭이 존재하는 상황을 기술하는 동사는 기간성(期間性, duration)을 갖는다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사태가 정적인지 아닌지, 즉 사태의 내부가 분석이 불가능한지 가능한지의 여부(static / dynamic)로 동사를 구분하여, 지속적인 상황을 기술하는 동사는 역동성(力動性, dynamism)을 갖는다고 하였다. 이에 따른 분류는 아래와 같다.[3]

제노 벤들러의 4가지 어휘상 부류 (1957)[4]
역동성(dynamism) 기간성(duration) 종결성(telos)
상태(state) - + -
행위(activity) + + -
완수(accomplishment) + + +
달성(achievement) + - +

1976년 영국의 언어학자 버나드 콤리(Bernard Comrie)가 다섯 번째 어휘상 부류인 순간(semelfactive)을 추가하였다.[5] 이 유형에 속하는 동사는 자연스러운 끝점이 존재하지 않고, 시폭이 드러나지 않는 사태를 기술한다.

어휘상 부류 편집

[-역동성]을 [+상태성]으로 대체하고, 순간(semelfactive) 범주를 추가한 어휘상 부류는 아래와 같다.

상태성(state) 기간성(durativity) 종결성(telicity)
상태(state) + + -
행위(activity) - + -
완수(accomplishment) - + +
달성(achievement) - - +
순간(semelfactive) - - -
한국어의 어휘상 부류의 예[6]
부류 동사
상태 동사(state) 똑똑하다, 아름답다, 사랑하다, 알다, 믿다
행위 동사(activity) 뛰다, 걷다, 수레를 밀다
완수 동사(accomplishment) (집 한 채를) 짓다, (빵을) 만들다, 원을 그리다
달성 동사(achievement) 태어나다, (역에) 도착하다, (물건을) 발견하다, 깨닫다
순간 동사(semelfactive) 기침하다, (침을) 뱉다

의미론자이자 통사론자인 미국의 언어학자 데이비드 다우티(David Dowty)는 어떤 동사가 어떤 어휘상에 속하는지를 판별하는 기준을 제안하였다. 아래 표에서 ‘d.n.a.’는 “이 유형의 동사에는 적용되지 않는다.”라는 의미이다.

Tests for Aspectual Verb Categories (Dowty, 1979)
기준 상태 행위 완수 달성
1. 진행형을 나타낼 수 있는지 no yes ? yes
2. 단순 현재시제에서 습관을 나타낼 수 있는지 no yes yes yes
3. φ for an hour, spend an hour φ-ing OK OK bad bad
4. φ in an hour, take an hour to φ bad bad OK OK
5. φ for an hourφ at all time in the hour를 함의하는지 yes yes d.n.a. no
6. x is φ-ingx has φ-ed를 함의하는지 d.n.a. yes d.n.a. no
7. stop의 보어가 될 수 있는지 OK OK bad OK
8. finish의 보어가 될 수 있는지 bad bad bad OK
9. almost의 애매성 no no no yes
10. x φ-ed in an hourx is φ-ing during that hour를 함의하는지 d.n.a. d.n.a. no yes
11. studiously, attentively, carefully 등과 함께 사용할 수 있는지 bad OK bad OK

각주 편집

내용주
  1. 이하에서는 ‘사건(event)이나 상태(state)’를 모두 ‘사태(eventuality)’로 통일한다.
참조주
  1. 고영근 (1986). “국어의 시제와 동작상”. 《새국어생활》 (서울: 국립국어원). 
  2. 구본관 외 2015, 321쪽.
  3. Kate Kearns 2011, 157쪽.
  4. Kate Kearns 2011, 158쪽.
  5. Bernard Comrie 1976, 42-43쪽.
  6. 강범모 2018, 125-126쪽.

참고 문헌 편집

  • Bernard Comrie (1976). 《Aspect: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verbal aspect and related problem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211093. 
  • Kate Kearns (2011). 《Semantics》 제2판. Hampshire: Palgrave Macmillan. ISBN 9780230232303. 
  • 강범모 (2018). 《의미론: 국어, 세계, 마음》. 서울: 한국문화사. ISBN 9788968176012. 
  • 구본관 외 (2015). 《한국어 문법 총론 I –개관, 음운, 형태, 통사-》. 경기: 집문당. ISBN 9788930316736. 
  • 이영헌(역자); Kate Kearns(원저자) (2003). 《의미론의 신경향》. 서울: 한국문화사. ISBN 97889773576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