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지모음근 (손)
엄지모음근(adductor pollicis muscle) 또는 무지내전근(拇指內轉筋)은 엄지를 모으는 손의 자체기원근육이다. 가로갈래(transverse head)와 빗갈래(oblique head)의 두 갈래로 존재한다.
엄지모음근 | |
---|---|
정보 | |
이는곳 | 가로갈래: 셋째손허리뼈 앞면 빗갈래: 둘째와 셋째손허리뼈 바닥, 인접한 작은마름뼈와 알머리뼈 |
닿는곳 | 엄지의 몸쪽손가락뼈 바닥 안쪽 측면과 자쪽의 종자뼈 |
동맥 | 깊은손바닥동맥활 |
신경 | 자신경 깊은가지 (T1) |
작용 | 손목손허리관절에서 엄지를 모음 |
대항근 | 긴엄지벌림근, 짧은엄지벌림근 |
식별자 | |
라틴어 | musculus adductor pollicis |
영어 | adductor pollicis muscle |
TA98 | A04.6.02.059 |
TA2 | 2526 |
FMA | 37380 |
엄지두덩칸 깊은쪽에 위치한 납작한 삼각형 근육으로, 손바닥 중앙에서 긴굽힘근의 힘줄들과 벌레근보다 아래쪽에 놓여 있다. 손허리뼈와 바닥쪽뼈사이근을 덮고 있다.[1]
구조
편집빗갈래
편집빗갈래(라틴어: adductor obliquus pollicis) 또는 사두(斜頭)는 알머리뼈, 둘째와 셋째손허리뼈, 손목뼈사이인대, 노쪽손목굽힘근 힘줄의 윤활집 등에서 여러 갈래로 일어난다.[2] 이는곳에서 다수의 근섬유가 아래쪽으로 비스듬히 주행하면서 합쳐져 힘줄이 되고, 이때 엄지모음근 가로갈래와 짧은엄지굽힘근 안쪽 부분의 힘줄과 합쳐진다. 그 후 엄지의 몸쪽손가락뼈 바닥 안쪽 측면에 닿으며, 힘줄 안에는 종자뼈가 존재한다.[2]
한편 그 외 상당한 양의 근육다발이 보다 비스듬히 긴엄지굽힘근 힘줄 아래를 주행하여 짧은엄지굽힘근, 짧은엄지벌림근 가쪽 부분과 합류한다.[2]
가로갈래
편집가로갈래(라틴어: adductor transversus pollicis) 또는 횡두(橫頭)는 빗갈래보다 깊이 위치한다.[2] 형태는 삼각형이며, 셋째손허리뼈 바닥쪽(앞쪽) 면의 아래쪽 2⁄3에서 넓게 일어난다. 가로갈래의 근섬유는 짧은엄지굽힘근의 안쪽 부분, 엄지모음근의 빗갈래와 합쳐져 엄지 몸쪽손가락뼈 바닥의 안쪽 측면에 닿는다.[2]
위치 관계
편집노동맥은 엄지모음근 빗갈래와 가로갈래 사이를 지나가며, 손등에서 손바닥으로 주행하여 깊은손바닥동맥활을 형성한다.
신경 분포
편집엄지모음근은 자신경 깊은가지(C8, T1)의 지배를 받는다.[3]
빗갈래와 가로갈래 사이에는 얇은 섬유성 연속활(arcade)이 존재하는데, 자신경 깊은가지가 이곳에서 가쪽으로 손바닥을 가로지른다. 깊은손바닥동맥활이 신경과 함께 주행한다.[1]
기능
편집엄지의 모음은 주로 엄지모음근에 의해 일어난다. 한편 짧은엄지굽힘근과 엄지맞섬근 역시 이 엄지의 모음을 돕는다.[3]
임상적 중요성
편집자신경의 마비, 보다 특이적으로는 엄지모음근의 손상 여부를 진단하기 위해 프로멘트 징후를 검사한다.[4] 검사 시 피험자에게 종이와 같은 납작한 물건을 엄지와 검지로 쥐게 한 뒤, 검사자는 그 물건을 당겨서 빼내려고 시도한다.[5] 정상인 사람은 어렵지 않게 물건을 잡고 버틸 수 있으나, 자신경 마비가 있는 환자는 엄지모음근이 약화되므로 대신 긴엄지굽힘근을 사용하여 줄어든 힘을 보상하려고 한다. 이 때문에 환자는 엄지의 손가락사이관절을 굽히게 되고, 이를 프로멘트 징후 양성으로 판단한다.[6]
신경근 감시를 시행할 때, 자신경을 자극한 뒤 엄지모음근 수축력을 측정한다.
추가 이미지
편집-
엄지의 근육. 엄지모음근은 빨간색으로 칠해져 있으며 가로갈래는 그림의 아래쪽에, 빗갈래는 그 바로 위에 그려져 있다.
-
엄지모음근
-
손목과 손가락의 단면
-
왼쪽 손바닥의 근육
-
손바닥 얕은쪽 신경
-
손바닥 깊은쪽 신경
-
왼쪽 아래팔을 앞에서 본 모습. 엄지모음근은 그림 아래쪽 중간에 보인다.
-
엄지모음근
-
엄지모음근
-
엄지모음근
-
엄지모음근
-
엄지모음근
같이 보기
편집참고 문헌
편집이 문서는 현재 퍼블릭 도메인에 속하는 그레이 해부학 제20판(1918) page 462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 가 나 Chang, Laurette; Blair, William F. (1985). “The origin and innervation of the adductor pollicis muscle”. 《J. Anat.》 140 (3): 381–388. PMC 1165104. PMID 4066477.
- ↑ 가 나 다 라 마 Gray's Anatomy 1918. (See infobox)
- ↑ 가 나 Platzer, Werner (2004). 《Color Atlas of Human Anatomy, Vol. 1: Locomotor System》 5판. Thieme. 176쪽. ISBN 3-13-533305-1.
- ↑ “Ulnar Nerve - Wheeless' Textbook of Orthopaedics”. 2008년 1월 26일에 확인함.
- ↑ Jeff G. Konin et al. Special Tests for Orthopedic Examination: Third Edition. Thorofare, NJ. SLACK Incorporated, 2006.
- ↑ Richardson, Craig and Fabre, Gerd. '"Froment's Sign." Journal of Audiovisual Media in Medicine. Vol. 26, No. 1 (2003):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