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니프 또는 페가수스자리 엡실론(ε Peg)은[12] 천구 북반구의 페가수스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이다. 겉보기 등급은 2.4로[8] 2등성이기 때문에 맨눈으로 쉽게 볼 수 있다. 히파르코스 위성시차 측정결과를 이용하여 추정한 이 별까지의 거리는 대략 690 광년 정도이다.[13][14][2]

에니프
Enif
페가수스자리의 성도(星圖). 에니프는 그림 오른쪽 아래 ε이다.
페가수스자리의 성도(星圖). 에니프는 그림 오른쪽 아래 ε이다.
명칭
바이어 명명법 페가수스자리 엡실론
아르겔란더 명명법 페가수스자리 Os
플램스티드 명명법 페가수스자리 8
밝은 별 목록 HR 8308
헨리 드레이퍼 목록 HD 206778
스미소니언 천문대 항성목록 SAO 127029
소천성표 BD+09° 4891
히파르코스 목록 HIP 107315
다른 이름 FK5 815[1]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
별자리 페가수스자리
적경(α) 21h 44m 11.15614s[2]
적위(δ) +09° 52′ 30.0311″[2]
겉보기등급(m) 2.399[2]
절대등급(M) –4.142[3]
위치천문학
시선속도 3.39 ± 0.06 km/s[4]
적경 고유운동 +26.92 mas/년[2]
적위 고유운동 +0.4 mas/년[2]
연주시차 4.73 ± 0.17 mas[2]
성질
광도 3895 (복사광도: 12250) L[5]
나이 2000 만 ± 450 만 년[6]
분광형 K2 Ib[7]
U-B 색지수 +1.722[8]
B-V 색지수 +1.527[8]
변광성 분류 LC[9]
추가 사항
질량 11.7 ± 0.8 M[6]
반지름 185 R[10]
표면온도 4,379 K[3]
중원소 함량 (Fe/H) –0.04[3]
표면 중력 (log g) 1.01[3]
자전 속도 8 km/s[11]
항성 목록

겉보기등급순 · 절대등급순
거리순 · 질량순 · 반지름순

명명법 편집

페가수스자리 엡실론은 이 별을 바이어 명명법으로 부른 것이다. 전통적으로 불려 오던 애칭 에니프아랍어 단어 ‘코’에서 왔는데 이는 에니프가 페가수스 별자리에서 말의 주둥이 위치에 있기 때문이다. 2016년 국제천문연맹은 산하에 항성의 고유명칭을 목록화, 표준화할 목적으로 항성명칭심의위원회(WGSN)를 조직했다.[15] 에니프는 WGSN의 2016년 7월 첫 번째 고시문에 포함되어 정식명칭으로 등재되었다.[16]

이 별의 다른 전통적 명칭으로 ‘폼 알 페라스’(라틴어 표기로 Os Equi)가 있다.[17] 동아시아 별자리에서 에니프는 위수(危宿, ‘지붕’)에 속해 있다. 위수는 에니프, 물병자리 알파, 페가수스자리 세타로 이루어져 있으며[18] 에니프 자체의 명칭은 위수삼(危宿三, 위수의 세 번째 별)이다.[19]

특성 편집

에니프는 항성진화가 진척된 상태로 분광형 K2 Ib로 알 수 있듯이 초거성 단계에 들어왔다.[7] 질량은 태양의 12 배이다.[6] 주연감광을 고려하여 수치를 보정한 에니프의 각지름8.17 ± 0.09 mas이다.[20] 별까지의 거리를 고려하면 이 각지름으로부터 항성 반지름은 태양의 약 185 배로 나온다.[10] 광도는 태양의 약 12250 배이며 표면의 유효온도는 4337 켈빈이다.[5][3] 이 온도는 태양 표면보다 낮아 에니프는 K형 항성의 특징인 오렌지색으로 빛난다.[21]

에니프의 수명은 수백만 년 정도밖에 남지 않은 것으로 보이지만 그 최후가 초신성 폭발일지 아니면 희귀한 네온-산소 백색왜성으로의 진화일 것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그 이유는 에니프의 질량이 초신성이 될 수 있는 경계선에 걸쳐 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에니프는 갑작스럽게 광도가 증가한 적이 가끔 있었는데 이로부터 에니프(다른 초거성들 또한 마찬가지일 것임)가 태양을 압도하는 규모의 항성 플레어를 뿜어낸다는 가설이 등장했다.[22] 겉보기 등급은 0.7 ~ 3.5 사이에서 변동을 보이는 LC형 느린 불규칙변광성이다.[9] 스펙트럼상 스트론튬바륨 원소가 과도하게 추출되는데 이는 항성의 바깥쪽 대기층에서 핵합성S-과정을 거치고 있는 결과로 보인다.[5] 에니프의 특이속도21.6 km s−1로 상대적으로 빠르다.[6]

각주 편집

  1. “V* eps Peg -- Pulsating variable Star”, 《SIMBAD》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0년 1월 5일에 확인함 
  2. van Leeuwen, F. (November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arXiv:0708.1752,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3. Soubiran, C.; 외. (2008), “Vertical distribution of Galactic disk stars. IV. AMR and AVR from clump giants”, 《Astronomy and Astrophysics》 480 (1): 91–101, arXiv:0712.1370, Bibcode:2008A&A...480...91S, doi:10.1051/0004-6361:20078788 
  4. Famaey, B.; 외. (January 2005), “Local kinematics of K and M giants from CORAVEL/Hipparcos/Tycho-2 data. Revisiting the concept of superclusters”, 《Astronomy and Astrophysics》 430 (1): 165–186, arXiv:astro-ph/0409579, Bibcode:2005A&A...430..165F, doi:10.1051/0004-6361:20041272 
  5. Smith, Verne V.; Lambert, David L. (June 1987), “Are the red supergiants Epsilon Peg and 12 PUP victims of mild s-processing?”,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226 (3): 563–579, Bibcode:1987MNRAS.226..563S, doi:10.1093/mnras/226.3.563 
  6. Tetzlaff, N.; Neuhäuser, R.; Hohle, M. M. (January 2011), “A catalogue of young runaway Hipparcos stars within 3 kpc from the Sun”,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10 (1): 190–200, arXiv:1007.4883, Bibcode:2011MNRAS.410..190T, doi:10.1111/j.1365-2966.2010.17434.x 
  7. Morgan, W. W.; Keenan, P. C. (1973), “Spectral Classification”, 《Annual Review of Astronomy and Astrophysics》 11 (1): 29, Bibcode:1973ARA&A..11...29M, doi:10.1146/annurev.aa.11.090173.000333 
  8. Cousins, A. W. J. (1984), “Standardization of Broadband Photometry of Equatorial Standards”, 《South African Astronomical Observatory Circulars》 8: 59, Bibcode:1984SAAOC...8...59C 
  9. “eps Peg”, 《General Catalogue of Variable Stars》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0년 1월 5일에 확인함 
  10. Lang, Kenneth R. (2006), 《Astrophysical formulae》, Astronomy and astrophysics library 1 3판, Birkhäuser, ISBN 3-540-29692-1 . 항성의 반지름(R*)은 다음 공식을 통해 얻을 수 있다. 
  11. Bernacca, P. L.; Perinotto, M. (1970). “A catalogue of stellar rotational velocities”. 《Contributi Osservatorio Astronomico di Padova in Asiago》 239 (1). Bibcode:1970CoAsi.239....1B. 
  12. “IAU Catalog of Star Names”. 2016년 7월 28일에 확인함. 
  13. Perryman, M. A. C.; Lindegren, L.; Kovalevsky, J.; 외. (July 1997), “The Hipparcos Catalogue”, 《Astronomy and Astrophysics》 323: L49–L52, Bibcode:1997A&A...323L..49P 
  14. Perryman, Michael (2010), “The Making of History's Greatest Star Map”, 《The Making of History's Greatest Star Map:》, Astronomers’ Universe (Heidelberg: Springer-Verlag), Bibcode:2010mhgs.book.....P, doi:10.1007/978-3-642-11602-5, ISBN 978-3-642-11601-8 
  15.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2016년 5월 22일에 확인함. 
  16. “Bulletin of the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No. 1” (PDF). 2016년 7월 28일에 확인함. 
  17. Knobel, Edward B. (1895). “Al Achsasi Al Mouakket, on a catalogue of stars in the Calendarium of”.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55 (8): 429–38. Bibcode:1895MNRAS..55..429K. doi:10.1093/mnras/55.8.429. 
  18. 中國星座神話, 陳久金 저. 台灣書房出版有限公司 출판, 2005, ISBN 978-986-7332-25-7
  19. 香港太空館 - 研究資源 - 亮星中英對照表 보관됨 2011-01-30 - 웨이백 머신, Hong Kong Space Museum. 2010-11-23 확인.
  20. Richichi, A.; Percheron, I.; Khristoforova, M. (February 2005), “CHARM2: An updated Catalog of High Angular Resolution Measurements”, 《Astronomy and Astrophysics》 431 (2): 773–777, Bibcode:2005A&A...431..773R, doi:10.1051/0004-6361:20042039 
  21. “The Colour of Stars”, 《Australia Telescope, Outreach and Education》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December 21, 2004, 2012년 3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월 16일에 확인함 
  22. Kaler, James B., “ENIF (Epsilon Pegasi)”, 《Stars》 (University of Illinois), 2012년 2월 8일에 확인함 

읽어보기 편집

좌표:   21h 44m 11.158s, +09° 52′ 3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