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리시마주조배 여류왕장전(霧島酒造杯女流王将戦)은 바둑 장기 채널 주최의 쇼기 기전이다. 도전기 형식의 여류 타이틀전(백령전, 청려전, 마이나비 여자오픈, 여류왕좌전, 여류명인전, 여류왕위전, 여류왕장전, 쿠라시키토우카전) 중 서열 7위이다. 쇼기의 타이틀전 중 유일한 TV기전으로, 바둑 장기 채널 및 쇼기프리미엄[a]에서 방송된다.[1]

여류왕장전(女流王将戦)
대회 정보
기전종류여류타이틀전
창설1978년
개최시기타이틀전: 10월 - 11월
예선,본선: 4월 - 9월
제한시간예선, 본선: 25분
타이틀전: 3시간
결승도전3번기
주최바둑 장기 채널
웹사이트霧島酒造杯女流王将戦|棋戦|日本将棋連盟
대회 기록
최다우승하야시바 나오코 (10기)
최다연패하야시바 나오코 (10연패)
영세자격자시미즈 이치요
사토미 카나
현 타이틀 보유자
니시야마 토모카 (제42기 여류왕장, 2기 연속)


연혁

편집
  • 1978년 "쇼기매거진"[b] 주최, 나카하라 마코토 쇼기 살롱 후원의 형태로 창설.
  • 1993년(제15기)까지 쇼기매거진과 "주식시장신문"[c]이 공동주최.
  • 1994년(제16기)부터 2008년(제30기)까지는 닛칸스포츠가 주최.
  • 2004년부터 키리시마 주조(霧島酒造)가 협찬하여, 기전 정식 명칭이 "웰니스 미야코노조 키리시마배 여류왕장전(ウエルネス都城霧島杯女流王将戦)"으로 변경.
  • 2007년부터 2년간 나카토(ナカト)[d]가 스폰서에 추가되어 기전 정식 명칭이 "웰니스 미야코노조 키리시마배 & 나카토 상 여류왕장전(ウエルネス都城霧島杯&中戸賞女流王将戦)"으로 변경
  • 2008년 제30기를 끝으로 여류왕장전이 중단됨이 발표.[2]
  • 2009년 일본쇼기연맹과 "새틀라이트 컬쳐 재팬"[e]이 주최하고 키리시마 주조가 계속해서 협찬, BTV케이블TV주식회사(BTVケーブルテレビ株式会社, 구 미야코노조 케이블TV)가 협력하는 형태로 "키리시마주조배 여류왕장전(霧島酒造杯女流王将戦)"이라는 명칭으로, TV기전[f]의 형태로 재개[3]
  • 2009년 제31기에는 8명의 선발인원[g]이 참가하는 형태로 진행[3]
  • 2010년 제32기에는 일본쇼기연맹 소속 전 여류기사 및 LPSA 소속 여류기사 5명[h], 아마추어 5명[i]이 참가.[4]
  • 2011년 제33기부터 소속과 관련없이 현역 여류기사 전원에게 문호 개방
  • 2018년 제40기부터 타이틀전 3번기를 생중계(그 외 예선 및 본선 대국은 녹화중계 유지)


방식

편집

예선과 본선을 통해 도전자를 선발하고, 도전자와 여류왕장이 10~11월에 3번기를 두어 승자가 차기 여류왕장이 된다.

예선

편집

시드자를 제외한 현역 여류기사 전원과 아마추어 대표 5명이 참가한다. 본선 정원 16명에서 시드자 숫자를 뺀 만큼의 조로 나뉘어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으로 각 조 우승자를 가린다. 각 조마다 하루에 모든 경기를 소화하여(한 사람이 최대 3국) 그 날 중에 해당 조 진출자를 결정한다. 제한시간은 각 25분(체스클록 방식)에 40초 초읽기이다.

본선

편집

시드자(전기 도전자결정전 출장자, 여류 타이틀 홀더, 전기 4강의 순으로 4명 선출)[5]와 예선 통과자 도합 16명이 참가하는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이다. 제한시간은 각 25분(체스클록 방식)에 40초 초읽기이다.

도전기

편집

여류왕장과 도전자가 5번기를 두어서 승자가 차기 여류왕장이 된다. 제한시간은 각 3시간(체스클록 방식)에 1분 초읽기이다.

영세칭호

편집

여류 왕장 타이틀을 통산 5기 획득한 여류기사에게 "퀸 왕장"의 칭호가 주어진다.[6]

역대 결승 결과

편집
※ 전적은 우승자 기준으로 O = 승, X = 패, 千 = 천일수, 持 = 지쇼기를 나타낸다.
연도 우승자 전적 준우승자 비고
1 1978 타코지마 아키코 OXO 야마시타 카즈코 홍(紅)/백(白) 두 조로 나뉘어 리그전을 진행하여 번기 진출자 선발
2 1979 OXO 모리야스 타에코 도전자 결정리그가 6명이 참가하는 단일 리그로 변경
3 1980 OO 타니가와 하루에
4 1981 하야시바 나오코 OO 타코지마 아키코 하야시바 역대 최연소 타이틀(14세)
5 1982 XOO 나카이 히로에
6 1983 OO 나가사와 치카코
7 1984 OXO 나카이 히로에 도전자결정리그 정원이 7명으로 변경
8 1985 XOO
9 1986 OO 세키네 키요코
10 1987 XOO 나카이 히로에
11 1988 XOO
12 1989 OO 야마다 쿠미
13 1990 OO 사이다 하루코 하야시바 퀸 왕장 획득[j]
14 1991 시미즈 이치요 OXO 하야시바 나오코
15 1993[k] OO 도전자결정리그 정원이 8명으로 변경
16 1994 사이다 하루코 OO 시미즈 이치요
17 1995 나카이 히로에 XOOXO 사이다 하루코
18 1996 시미즈 이치요 OXXOO 나카이 히로에 시미즈 여류 타이틀 독점 (4관왕)
19 1997 사이다 하루코 XOXOO 시미즈 이치요
20 1998 시미즈 이치요 OOO 사이다 하루코
21 1999 이시바시 사치오 XXOOO 시미즈 이치요
22 2000 시미즈 이치요 OXOO 이시바시 사치오 시미즈 퀸 왕장 획득
23 2001 XOOO 야우치 리에코
24 2002 나카이 히로에 OOO 시미즈 이치요
25 2003 OOO 이시바시 사치오 본선이 토너먼트 방식으로 변경
26 2004 OOXO
27 2005 치바 료코 OOO 나카이 히로에
28 2006 OXXOO
29 2007 시미즈 이치요 XOOO 치바 료코
30 2008 OOXO 야우치 리에코
31 2009 OO 우에다 하츠미 8명의 선발인원만이 참가
32 2010 사토미 카나 XOO 시미즈 이치요
33 2011 OO 이시바시 사치오
34 2012 XOO 나카무라 마리카
35 2013 카가와 마나오 OXO 사토미 카나
36 2014 XOO 시미즈 이치요
37 2015 사토미 카나 OO 카가와 마나오
38 2016 OO 사토미 퀸 왕장 획득
39 2017 OO 이토 사에
40 2018 OO 카토 모모코
41 2019 니시야마 토모카 OXO 사토미 카나
42 2020 OXO 무로야 유키

각주

편집

내용주

편집
  1. 바둑 장기 채널에서 운영하는 인터넷 방송국
  2. 일본쇼기연맹이 1978년부터 1996년까지 발행한 쇼기 전문 월간지
  3. 1956년에 창간된 증권 전문지. 2009년에 폐간
  4. 아오모리현 오이라세정의 의류점
  5. 바둑 장기 채널의 운영회사로서 당시 이미 은하전을 주최하고 있었다. 2010년에 "주식회사 바둑 장기 채널(株式会社囲碁将棋チャンネル)"로 사명 변경
  6. 전 경기 녹화방송
  7. 야우치 리에코 여왕, 스즈키 칸나 여류초단, 치바 료코 여류3단, 이와네 시노부 여류2단 (이상 전기 4강진출자 시드), 이시바시 사치오 여류왕위, 사토미 카나 쿠라시키토우카 (이상 타이틀보유자 시드), 우에다 하츠미 여류2단 (1년간의 각 기전 성적을 토대로 산정한 포인트랭킹 시드), 카사이 유키 여류아마명인(주최자 특별추천). 칭호는 모두 당시 기준.
  8. 각자 스폰서를 물색하기로 하였으나 결과적으로 쇼기연맹이 단독으로 주최하게 된 점과 예산상의 이유를 들어 참가 인원수를 한정
  9.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 일반 대표 각 1명
  10. 하야시바의 10연패를 기리기 위해 이 해에 퀸 왕장 칭호 창설. 단 현재 하야시바는 일본쇼기연맹을 탈퇴하여서 칭호 상실
  11. 이 해부터 번기가 치러진 해를 개최연도로 간주하는 것으로 변경

출처주

편집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