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법
역법(曆法, Calendar)은 천체의 운행 등을 바탕으로 한 해의 주기적 시기를 밝히는 방법이다. 시령은 흔히 절기라고도 부르며, 세시와 요일, 일식, 행사일 등을 아울러 이른다. 이러한 역법을 표기한 문서가 달력이다. 유의어로 기년법(紀年法)이 있으며 이는 천문학적 기년법을 가리키는 역법 외에 사회적 기년법, 종교적 기년법, 정치적 기년법 등으로도 사용된다.

1871~1872년 힌두 달력의 한 페이지
역법의 원리편집
달을 기준으로 한 것은 삭망월이라고 하고, 계절이 순환하는 주기(오늘날에는 태양이 일주하는 주기)를 태양년이라고 한다. 삭망월은 2이다.
사용중인 역법편집
- 아칸 달력
- 아르메니아 달력
- 아시리아 달력
- 바하이력
- 벵골 달력
- 베르베르력
- 불멸기원
- 태음력
- 콥트 달력
- 에티오피아 달력
- 회계 연도
- 게르만력
- 그레고리력
- 히브리력
- 힌두력
- 인도국립력
- ISO 주
- 이란 달력
- 아일랜드 달력
- 이슬람력
- 일본 달력
- 자바 달력
- 주체연호
- 율리우스력
- 쿠르드 달력
- 리투아니아 달력
- 마야 달력
- 네팔 달력
- 민국기원
- 수정 율리우스 력
- 룬 달력
- 타밀 달력
- 태국 태음력
- 태국 태양력
- 티베트 달력
- 조로아스터 달력
- 코사 달력
- 요루바 달력
태음력편집
태양력편집
고대의 달력편집
무속 달력편집
제안된 달력편집
역법 개혁편집
다른 천체에서의 역법편집
가상의 역법편집
같이 보기편집
참고 자료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시간의 지도 : 달력》 E.G.리처즈 지음, 이민아 옮김, 까치,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