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천 청제비

경상북도 영천시 청제에 있는 비석

영천 청제비(永川 菁堤碑)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영천시 도남동에 있는 신라시대의 비석이다. 1969년 11월 21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517호로 지정되었다가 2025년 6월 20일에 국보로 승격되었다.

영천 청제비
(永川 菁堤碑)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국보
종목국보 (구)제517호
(2025년 6월 20일 지정)
수량2기
시대신라
소유안용환
위치
영천 도남동은(는) 대한민국 안에 위치해 있다
영천 도남동
영천 도남동
주소경상북도 영천시 도남동 산7-1
좌표북위 35° 55′ 29″ 동경 128° 56′ 27″ / 북위 35.92472° 동경 128.94083°  / 35.92472; 128.94083
정보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청제비는 신라 때 축조 이래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청못’ 옆에 세워진 2기의 비석이다. 받침돌이나 덮개돌 없이 자연석에 내용을 새겼다. 1968년 신라삼산학술조사단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흔히 ‘청제비’라고 부른다. 청제축조·수리비와 청제중립비로 구성되어, 이 지역의 물을 관리하기 위한 제방의 조영 및 수리와 관련된 내용을 새겨 자연재해를 극복하는 토목 기술과 국가 관리 체계를 보여준다.[1]

구조

편집

전체적인 모습은 화강암의 자연판석으로 직사각형의 형태이고, 비의 양면에는 각기 시대가 다른 비문이 새겨져 있다. 청제축조비와 청제수리비의 문구는 모양이 일정치 않은 하나의 돌 앞·뒷면에 각각 새겨졌으며, 위쪽이 얇고 아래쪽이 두꺼운 형태로 두 면의 비문 대부분은 판독이 가능할 정도로 양호한 상태이다.[1]

명칭

편집

처음에는 청제를 대오(大塢)라고 기록했다가, 통일신라기에는 제(提)로 그 명칭이 바뀌었다. '오'는 부분 개방형의 수리 구조물(보)을 뜻하고, ‘제’는 완전 차단형 제방(댐)을 의미한다. 이러한 명칭 변화는 수리 기술의 발전과 제방 구조의 변화를 반영한다. 또한, 신라어 혹은 영천 지역 방언으로 추정되는 ‘빼굴리’(排掘里, 배수용 목통)의 명칭이 비문에 나타나는 등, 당대의 언어 사용 양상이 나타난다.[2]

역사

편집

청제비는 한쪽 면엔 청제를 처음 축조할 때 새긴 병진년(536, 신라 법흥왕 23년)의 명문이 있다. 당시 제방 축조에 7천 명의 인력이 동원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반댓면에는 청제를 개수할 때 새긴 신라 원성왕 14년(798)의 명문이 있다.

청제 축조 및 수리는 단순한 지방 공사가 아닌 국가적 사업으로 진행되었으며, 중앙에서 파견된 기술자와 간지 등이 언급되어 있다. 특히, 통일신라기에는 이 지역이 왕실 재산으로 편입되었음을 비문이 증언하고 있어, 정치적·경제적 위상 변화도 확인할 수 있다.

청제비 서쪽으로는 조선 숙종 14년(1688)에 세워진 청제중립비가 있다. 내용은 1653년 비가 두 동강이 나 있는 것을 방수열, 최일봉 등이 다시 맞추어 세웠다는 것이다.

내용

편집

청제축조비 (전면)

편집

청제축조비(앞면)는 536년(법흥왕 23년) 2월 8일, ▨탁곡(▨乇谷)에 처음 큰 제방을 준공한 사실과 공사 규모, 동원 인원, 공사 책임자, 지방민 관리자에 대한 기록을 담고 있다. 서체는 예스럽고 비정형적이며 자유분방한 6세기 신라 서풍의 전형에 해당한다.[1]

청제수리비 (뒷면)

편집

청제수리비(뒷면)는 798년(원성왕 14년) 4월 13일 제방 수리공사의 완료 사실과 함께 제방의 파손·수리 경과보고 과정, 수리 규모, 공사 기간, 공사 책임자, 동원 인원 등의 내용을 담고 있으며 청제축조비와 같은 신라 고유 서풍을 계승하였다. 청제축조·수리비는 신라사에서 홍수와 가뭄이 가장 빈번하였던 6세기와 8세기 후반~9세기에 자연재해 극복을 위해 국가에서 추진했던 토목공사를 보여준다.[1]

청제중립비

편집

바로 옆의 청제중립비는 1688년(조선 숙종 14년) 땅에 묻혀 있었던 청제축조·수리비를 다시 일으켜 세운 사실을 담고 있다. 이 비석 역시 조선의 일반적인 서체를 따르지 않고 신라의 예스러운 서풍을 반영하고 있다.[1]

전면

편집

후면

편집


각주

편집

참고 자료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