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융쉬안(葉永烜,1947년 3월 10일 ~ )은 중화민국의 천문학자로, 현재 국립 중앙 대학와 마카오 과학기술대학의 교수이다. 난징에서 태어난 하카인이며, 어려서는 마카오에서 자랐다. 2016년 대만 중앙연구원의 원사로 선정되었다.

예융쉬안
葉永烜
예융쉬안 교수의 2015년 모습
예융쉬안 교수의 2015년 모습

생애

편집

예융쉬안은 1947년 난징에서 태어났다. 1948년 대만 타이중시로, 이듬해인 1949년에는 마카오로 부모와 함께 이주하여, 그곳에서 자라났다. 1965년 성공회 소속 학교를 졸업하고[1], 홍콩으로 옮겨 가 1969년 홍콩 중문 대학에서 물리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 1970년 피츠버그 대학교에서 물리학 석사, 1974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디에이고에서 응용물리학과 정보과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 때 박사 지도교수가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인 한네스 알벤이었다[2]. 독일 막스 플랑크 고층대기 연구소(현 태양계 연구소)에서 우주계획 분야 수석과학자로 일했으며, 현재는 타이완 국립중앙대학과 마카오 과학기술대학의 교수로 재임 중이다. 독일 국적을 취득한 바 있으나, 현재 타이완 국적의 과학자이다. 두 딸을 두고 있으며, 미술에도 조예가 있어 개인 전시회도 여러 차례 가졌다.

연구

편집

예융쉬안의 연구 분야는 천문학의 다양한 분야에 걸쳐 있으며, 혜성, 행성 대기, 지구 고층대기, 태양계와 행성의 형성, 플라즈마 과학 등을 아우른다. 조토 혜성 탐사선, 목성 탐사선인 갈릴레오, 토성 탐사선인 카시니-하위헌스, 유럽 우주국의 로제타 탐사선과 같은 여러 우주 계획에 참여했다. 그 중에서 특히 카시니 계획은 프랑스의 다니엘 고티에, 미국의 토비 오언과 함께 초기 계획을 수립하였으며[3], 2009년 다른 두 과학자와 함께 미국 항공우주국 특별 공로 훈장(Exceptional Public Service Medal)을 수여받았다[4]. 소행성 18730은 그의 영어 이름을 따서 윙이프(Wingip)로 명명되었다[5].

각주

편집
  1. “蔡高中學2006年校慶講座”. 2009년 8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4월 13일에 확인함. 
  2. “HANNES ALFVÉN BIRTH CENTENNIAL - A pictorial tribute”. 2018년 10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7월 14일에 확인함. 
  3. Michael Meltzer (2015). 《The Cassini-Huygens Visit to Saturn: An Historic Mission to the Ringed Planet》. 14쪽. 
  4. “NASA to honor local astronomer”. 《타이베이 타임스》. 2009년 6월 9일. 
  5. Schmadel, Lutz. 《Dictionary of Minor Planet Names: Addendum to 6th Edition: 2012-2014》. 120쪽. 

외부 링크

편집
  •   위키미디어 공용에 예융쉬안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