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트레일리아호사도요

호사도요과의 한 종

오스트레일리아호사도요(Rostratula australis)는 호사도요과에 속하는 종으로, 섭금류로 분류된다. 오스트레일리아페인티드스나이프(Australian painted-snipe)라고도 일컬어지며, 신체 크기는 중간 정도이고 부리가 긴 편에 속한다.

오스트레일리아호사도요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조강
목: 도요목
과: 호사도요과
속: 호사도요속
종: 오스트레일리아호사도요
학명
Rostratula australis
Gould, 1838
보전상태


위기(EN): 절멸가능성 매우 높음
평가기관: IUCN 적색 목록 3.1[1]

분류

편집

1838년에 존 굴드는 오스트레일리아호사도요를 Rostratula australis라고 명명하였다. 그러나 이후 오스트레일리아호사도요는 호사도요와 같은 종으로 간주되게 되었다. 최근 들어서는 이 두 분류군이 종의 단계에서 분류될 정도의 차이를 보인다는 것이 밝혀졌다. 호사도요와 비교하여 오스트레일리아호사도요는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가진다.

  • 더 긴 날개와, 더 긴 부리, 더 짧은 부척골을 가진다.
  • 암컷의 머리와 목은 적갈색보다는 초콜릿브라운에 가까운 색이다.
  • 평평하기 보다는 둥근 모습의 점들이 있다. 암컷의 경우, 꼬리에 점들이 있으며 수컷의 경우에는 윗날개덮깃에 점들이 있다.

특징

편집

머리, 목, 윗가슴의 색깔은 초콜릿브라운을 띤다. 특히, 수컷은 어두운 회색이고 머리꼭대기에 담황색의 줄무늬가 있다. 목덜미 아랫부분의 중심 쪽은 적갈색이며 등 부분은 어두운 회색이다. 눈 주변으로 쉼표 모양의 크림색 무늬가 있다. 가슴 옆부분과 어깨 부분에 흰색 줄무늬가 있다. 윗날개는 회색이며, 수컷의 경우 담황색 점들이 있다. 가슴 아랫부분과 하체는 흰색이다. 수컷은 보통 암컷에 비해 더 작으며 덜 밝은 색을 하고 있다. 새끼들은 성체 수컷과 거의 유사한 모습이다. 울음소리는 녹음된 바가 없다.

몸 전체의 길이는 24~30 cm 정도이다. 날개 길이는 50~54 cm이고, 몸무게는 125~130 g이다.

분포와 서식

편집

오스트레일리아호사도요는 오스트레일리아의 고유종으로, 드문드문 분포하며 특정 지역에서의 존재도 예측하기 어렵다. 과거의 중심 서식지는 리베리나였다. 얕은 담수 습지, 특히 키 작은 초목들이 빽빽하게 자라고 있는 습지에 주로 서식한다.

보전

편집

20세기 들어서 이 종은 많은 개체가 사라졌으며 서식하는 지역에서도 희귀한 종이다. 개체 감소의 주된 원인은 하천관리, 하천 염분화, 방목 등이다. 전체 개체수는 수백에서 수천까지 다양하게 추정된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호사도요를 국가 멸종위기종으로 분류하였다.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은 최근 이 종을 멸종위기에 처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행동

편집

먹이

편집

습지의 무척추동물, 벌레, 연체동물, 곤충, 갑각류 등을 먹는다. 또한 씨앗과 풀을 먹기도 한다.

번식

편집

번식기에는 일시적으로 물이 찬 습지, 특히 주거를 위한 키 작은 풀이 자라있는 습지를 선호한다. 또한 먹이를 찾기 위해 얕은 물이나 진흙을 선호하기도 한다. 또한, 둥지를 틀기 위해 작은 섬을 좋아하기도 한다. 3~4개의 검은색 줄이 있는 크림색 알을 낳으며 15~16일 간 알을 품는다. 새끼들은 부화한지 얼마되지 않아 고도의 활동을 할 수 있으며, 이소성이 강하다.

각주

편집
  1. BirdLife International (2012). Rostratula australis. 《IUCN 적색 목록》 (IUCN) 2012. 2013년 11월 26일에 확인함. 

참고 문헌

편집
  • Lane, B.A.; & Rogers, D.I. (2000). The Australian Painted Snipe, Rostratula (benghalensis) australis: an Endangered species?. Stilt 36: 26-34
  • Marchant, S.; Higgins, P.J.; & Davies, J.N. (eds). (1994). Handbook of Australian, New Zealand and Antarctic Birds. Volume 2: Raptors to Lapwings. Oxford University Press: Melbourne. ISBN 0-19-553069-1
  • Oring, Lewis W.; Rogers, Danny; Oring, Kay E.; & Tzaros, Chris. (2004). Snipes in peril. Wingspan 14(4): 10–15.
  • Threatened Species Scientific Committee – advice to the Minister of Environment and Heritage on Australian Painted-snipe Downloaded 5 Feb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