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주 대각사 목우자수심결
완주 대각사 목우자수심결(完州 大覺寺 牧牛子修心訣)은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 대각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책이다. 2016년 12월 9일 전라북도의 유형문화재 제239호로 지정되었다.[1]
![]() | |
![]() | |
종목 | 유형문화재 제239호 (2016년 12월 9일 지정) |
---|---|
수량 | 1책 |
시대 | 조선시대 1483년 (성종 14년) |
소유 | 완주 대각사 |
위치 | |
주소 |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 봉동로 678-238 |
좌표 | 북위 35° 58′ 47″ 동경 127° 08′ 18″ / 북위 35.97972° 동경 127.13833° |
정보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
지정 사유편집
완주 대각사 소장 <목우자수심결>은 보조국사 지눌의 선 수행관을 9조목으로 나누어 문답한 수행의 지침서로, 현존본의 대부분은 9행 17자의 판식인데 반하여 10행 16자의 윤필암본과 같아 그 희소성을 인정받아 1988년 보물 제959호로 지정된 경주 기림사 소장본과 동일한 판본이다. 기림사 본에는 없는 <계초심학인문>이 합철되어 있어 자료적 가치가 크다.[1]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가 나 전라북도 고시 제2016-238호, 《도지정문화재(유형문화재) 지정》, 전라북도지사, 도보 제2562호, 1-4면, 2016-12-09
참고 자료편집
- 완주 대각사 목우자수심결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