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도암

요도로부터 유래되는 암

요도암(尿道癌, Urethral cancer)은 요도로부터 유래되는 이다. 이 위치의 암은 드물게 일어나며, 가장 일반적인 유형은 유두 전이 세포암이다.[1] 요도암이 가장 흔하게 일어나는 부위는 구근성 요도이다.

요도암
진료과종양학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징후 및 증상

편집

요도암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증상은 다음과 같다. 요도나 오줌에서의 출혈이나 소변의 흐름이 약해지거나 중단된다. 또한 소변을 자주 보게 된다. 또한 요도, 림프절 부종이 일어나고 사타구니 또는 부위의 통증이 발생한다.

위험 요소

편집

주요 위험 요인은 방광암이나 요도에서 만성 염증을 유발할 때이다.

진단

편집

요도암은 횡경도 조직 검사에 의해 진단한다. 요도암의 유형에는 전이 세포 암종, 편평 세포 암종, 선암종, 흑색종이 포함된다.

치료

편집

요도암의 가장 흔한 치료 방법은 수술이다. 개방 절제, 전기 절제술, 레이저 수술, 방광 절제술 등을 통하여 치료할 수 있다.

암 세포를 완전히 파괴하기 위해 화학요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경구 또는 정맥 내 투여되는 전신 요도암 치료(신체 전체의 요도암 세포를 파괴함)이다. 약물은 전이된 요도암을 파괴하기 위해 병용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약물에는 시스플라틴, 빈크리스틴, 메토트렉세이트가 사용된다.

부작용으로는 빈혈(피로 유발), 구역 및 구토, 식욕 부진, 탈모, 구강 염증, 감염 위험 증가, 호흡 곤란 또는 과도한 출혈 및 타박상 등이 있다.[2]

같이 보기

편집

참고

편집
  • 전방 요도암
  • 음경의 암종

각주

편집
  1. Ries, LAG; Young, JL; Keel, GE; Eisner, MP; Lin, YD; Horner, M-J, 편집. (2007). 〈Chapter 30: Cancers of Rare Sites〉. 《SEER Survival Monograph: Cancer Survival Among Adults: US SEER Program, 1988–2001, Patient and Tumor Characteristics》. SEER Program. NIH Pub. No. 07-6215. Bethesda, MD: National Cancer Institute. 251–262쪽. 2013년 10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0월 18일에 확인함. 
  2. Urethral Cancer Treatment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