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륵의 11곡 이사
이사(爾赦)는 악사(樂師) 성열현(省熱縣) 사람 우륵(于勒)의 12곡 가운데 제11곡명으로 미상이다.
이사(爾赦) 곡명의 원전사료
편집
이사(爾赦) 곡명의 최초학설
편집*이사(爾赦)는 진흥왕 때 우륵이 지은 열두곡 중의 열한번째 곡명인데, 이 곡이 어떤 종류의 곡인지는 분명하지 않다.[4] *이사(爾赦)는 삼국 시대 신라에서 연주된 가야금곡의 하나.[5]라고 수록했다.
이사(爾赦) 곡명의 자의적 지명 비정
편집- 이사(爾赦)는 우륵이 지은 가야금곡(加耶琴曲) 중의 하나로서, 현재 경남 의령군(宜寧郡) 부림(富林) 지방의 옛 음악. 이사(爾赦)에 대해서는 많은 학자들이 알 수 없다고 처리하였으나, 후기 가야연맹의 한 소속국인 사이기국(斯二岐國)과 같은 것으로 보아 부림(富林)에 비정한 견해가 있다[6]. 이는 위치상으로 보아 일리가 있는 비정이라 생각된다.[7]
- 이사(爾赦) 음악[樂] 지금의 경남(慶南) 의령군(宜寧郡) 부림(富林)지역으로 비정한다[8][9].
이사(爾赦) 곡명의 자의적 왜곡 문제
편집- 우륵의 12곡 가운데 이사(爾赦) 곡명은 《삼국사기》1512년 정덕본, 《삼국사기》1537년 옥산서원본, 《삼국사기》1760년 을해목활자본(顯宗實錄字本)에 공히 이사(爾赦)의 사(赦)자는 알 수 없다고 기록하였다.
- 일본인 전중준명(田中俊明)은 우륵을 왜의 ‘사이기국’인으로 조작하기 위하여 우륵의 12곡을 임나십국에 부여하려고 미상의 이사(爾赦) 곡명까지 끌어들여 왜곡했다.[10]
- 《삼국사기》에, “사(赦)자는 미상(未詳)이다.” 라는 점에서 원본에서 조차 미상으로 주석을 달은 것을 간과할 수 없다. 즉, 일본인 전중준명은 미상의 우륵 이사곡(爾赦曲)을 왜의 임나십국으로 토착하기 수단으로 활용한 것이다.[11]
이사(爾赦) 곡명을 왜곡한 왜의 사이기국 성열현 변질
편집- 《삼국사기》에 우륵의 12곡 중 이사(爾赦)의 ‘사(赦)’자는 미상으로 분류한 것이 명백하므로 이사(爾赦)를 사이기국(斯二岐國)으로 연관할 수 없다.
- 전중준명(田中俊明)[12]은 우륵을 사이기국(斯二岐國)[13]을 성열현(省熱縣)은 고대 신번현을 왜의 사이기국으로 판단이 불가한 자의적인 해석이다.
- 우륵이 지은 12곡 중에 하나인 이사(爾赦)에 대해서는 많은 학자들이 알 수 없다고 처리하였으나, 근래에 사이기국(斯二岐國)과 같은 것으로 보아 경남 의령군 부림면에 비정한 견해가 나왔다[14]. 위치 상으로 보아 일리가 있는 추정이라고 생각되어 그대로 따른다.[15]
- 전중준명(田中俊明)은 우륵이 태어난 성열현을 임나십국 가운데 사이기국을 지금의 의령군 부림면[16]을 국내 학계에서 6세기 중엽 후기 가야연맹(加耶聯盟)의 한 소국인 사이기국(斯二岐國)의 사람으로 가야의 악사이며, 가야금의 대가이다[17][18]. 라고 정설의 수용은 왜의 임나일본부를 한반도에 토착한 사실을 자인한 결과를 초래하였으니 고대 왜의 왜곡된 식민역사의 정사를 바로 잡아야 한다.[19]
이사(爾赦) 곡명의 추정 해석
편집우륵의 제11곡 이사(爾赦)의 사(赦)는 미상으로 속단할 수 없으나 한해농사를 갈무리하면서 자연재해의 가뭄 등 관개수리 갈등을 화합하고 사면하는 대동단결의 향가로 추정한다.[20]
각주
편집- ↑ 《三國史記 卷第三十二 雜志 第一 樂》
- ↑ 《三國史記 卷第三十二 雜志 第一 樂》에는 사자미상(赦字未詳)으로 수록했다.
- ↑ 국사편찬위원회《한국사데이터베이스》
- ↑ 송방송《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17》
- ↑ 이희승《국어대사전》(2000)
- ↑ 田中俊明《于勒 十二曲と大加耶聯盟》
- ↑ 盧重國, 申東河, 金泰植, 權悳永《譯註 三國史記 4 -주석편(하)-》, 韓國精神文化硏究院, 2001, p. 66, 71.
- ↑ 정구복 외, 《역주 삼국사기 4 주석편(하)》,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7, 71쪽
- ↑ 국사편찬위원회《한국사데이터베이스》
- ↑ 《청풍 성열현인 악성 우륵의 사료집성》(2013)
- ↑ 《청풍 성열현인 악성 우륵의 사료집성》(2013)
- ↑ 《大加耶聯盟の興亡と任那》
- ↑ 《일본서기(日本書紀) 卷第19》에 임나십국은 加羅國, 安羅國, 斯二岐國, 多羅國, 卒麻國, 古嵯國, 子他國, 散半下國, 乞飡國, 稔禮國이다.
- ↑ 다나카 도시아키, 1990, <우륵 12곡과 대가야 연맹>, 《동양사학연구》48-4
- ↑ 김태식《우륵의 출신지에 대하여, 의령신문, 2008. 5. 17
- ↑ 《大加耶聯盟の興亡と任那》
- ↑ [[정구복 외, ≪역주 삼국사기 4 주석편(하)≫,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7, 66쪽)
- ↑ 국사편찬위원회《한국사데이터베이스》
- ↑ 《청풍 성열현인 악성 우륵의 사료집성》(2013)
- ↑ 《청풍 성열현인 악성 우륵의 사료집성》(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