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에스기 무네후사
우에스기 무네후사(일본어: 上杉宗房, 1718년 7월 14일 ~ 1746년 9월 26일)는 일본 에도 시대의 다이묘로, 요네자와번의 7대 번주이다. 초명은 가쓰토요(勝豊)이며, 관위는 종4위하, 민부대보(民部大輔), 시종(侍従)이다.
우에스기 무네후사 上杉宗房 | |
---|---|
본명 | 가쓰토요 |
로마자 표기 | Uesugi Munehusa |
출생 | 1718년 7월 14일 |
사망 | 1746년 9월 26일 |
성별 | 남성 |
국적 | 일본 |
경력 | 요네자와번 7대 번주 |
직업 | 다이묘 |
활동 기간 | 1734년 ~ 1746년 |
교호 3년(1718년) 6월 17일에 요네자와 번의 5대 번주 우에스기 요시노리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간세이 중수 제가보(寛政重修諸家譜)』에서는 쇼토쿠 2년(1712년)에 태어났다고 하였으나, 우에스기 가 연보에 의한 교호 3년설이 유력하다. 교호 19년(1734년), 형이자 선대 번주인 우에스기 무네노리가 후사 없이 사망하자, 그 양자가 되어 가문을 계승했다. 겐분 원년(1736년)에 요네자와로 처음 입부하였다.
무네후사 재위 때, 번 재정이 궁핍해진데다가 연공 미납 등의 상황도 심각해져, 무네후사는 백성에 대하여 겐분 3년(1738년) 연공의 해당년도분 완납을 조건으로 한 7개월 분 납부 연체 허가 등의 대책을 강구했다. 또 겐분 4년(1739년)에는 번사들에게 대출한 금전을 일부 갚는다는 조건으로 검약령을 선포하여 번 재정의 재건을 시도하였으나 효과는 별로 없었다.
간포 2년(1742년), 오키타마 군 36,889석(34개 촌)과, 무라야마 군 14,948석(13개 촌) 영지가 요네자와 번의 소유가 되었고, 다카바타케(高畠)와 우루시야마(漆山)에 진야를 세웠다. 엔쿄 3년(1746년) 8월 12일, 형과 마찬가지로 후사 없이 사망하였다. 동생인 우에스기 시게사다가 그 뒤를 이었다.
전임 우에스기 무네노리 |
제7대 요네자와번 번주 1734년 ~ 1746년 |
후임 우에스기 시게사다 |